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4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지난 2010년도부터 ‘스승의 날’ 즈음에 두 편씩 작성했던 시리즈가 벌써 다섯 번째 이야기를 맞이했다.

 

2010년도에 작성한 두 편은 초등학교 시절 선생님들에 대한 이야기였고, 작년에 작성했던 두 편은 중학교 시절 선생님들에 대한 이야기였으니, 올해는 할 말이 가장 많은 고등학교 시절 선생님들에 대한 이야기다.

 

나는 서울의 명지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당시에는 명지남고와 여고가 5분 정도 거리에 서로 떨어져 있었다.

 

지금도 한국을 방문할 때면 차를 타고 그 근처를 지나갈 때가 있는데, 내가 다녔던 남고 자리는 이제 대학으로 바뀌었고, 명지고는 이제 남녀공학이 되어 여고 자리로 살림을 합쳤다.

 

내가 다녔던 시절의 명지남고는 주간(1) 10, 야간(2) 10, 그러니까 한 학년 당 남자반만으로 총 20반씩이나 되었고, 게다가 여선생님이 단 한 명도 없는, 그야말로 진짜 ‘남고’였다.

 

게다가 명지고는 사립학교여서 같은 선생님들이 길게는 수십 년 씩 근무하셨으니, 그야말로 혈기왕성한 남학생들을 다루는데는 이골이 난 베테랑 남선생님들로 포진된 환경이었다.

 

이 글을 쓰면서 문득 지금도 근무 중이신 그 시절 선생님들이 계실까 싶어서 명지고 웹사이트를 방문했더니, 진짜로 내가 다녔던 시절 선생님들 다섯 분 가량은 아직도 근무 중이셨다.

 

벌써 20년 가량의 긴 세월이 흘렀고, 그 시절 빡빡머리 고등학생이었던 나는 이렇게 서른을 훌쩍 넘은 아저씨가 되어 버렸는데, 그분들은 여전히 학교에 계시다니, 정말 놀라울 따름이다.

 

게다가 같은 반 앞뒷 번호였던 녀석이 이제는 선생님이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너무나 반갑기도 했다.

 

지난 글들을 통해 몇 차례 밝힌 적이 있지만, 나는 고등학교 3년 내내 일산에서 서울로 통학을 하느라 지금까지 남은 고등학교 친구는 단 두 명 뿐이고, 아쉽게도 졸업 후 관계가 유지된 선생님도 단 한 분도 안 계시다.

 

사실, 나의 고등학교 시절은 늘 무언가에 억압되어 있었고 답답했던, 또 상당한 스트레스와 외로움으로 가득했던, 그래서 어떻게 보면 내 기억에서 지우고 싶을 때도 있을 만큼 아쉬운 시절로 남아있다.

 

그랬던 탓인지 고등학교 시절 그 많은 선생님들을 만났으면서도 평생 모시는 은사 선생님 한 분 없으니, 그저 후회스러울 따름이다.

 

어쨌든, 당시 우리들의 일과는 오전 8 0교시 수업부터 시작해서 오후 4 가량에나 수업을 마쳤던 것 같고, 그 긴 시간 동안 수 많은 선생님들과 함께 해야 했으니,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는 선생님들이 여럿 있다.

 

지리 선생님이었던 백X부 선생님은 90년대 명지고를 졸업한 이들이라면 누구나 떠올릴 만큼 개성 강한 선생님이셨다.

 

이 분은 정말 독특한 점이 수업시간 내내, 특히 칠판에 무언가를 쓰시면서 열성적으로 수업을 하실 때도 늘 시선이 교실 왼쪽 천정 구석을 향해 있으셨다.

 

우리와 절대 눈을 안 마주치셨고, 그 천정 구석에 무엇이 있길래 시선을 늘 그 곳에 고정시키신 채 수업을 하셨는데, 그러면서도 별안간 딴 짓을 하는 녀석에게 분필을 던져서 명중시키는 신기에 가까운 묘기를 보여주시기도 하셨다.

 

시선은 분명 천정 구석을 향해 있으셨는데, 도대체 어떻게 딴 짓을 하는 녀석을 발견하셨고, 또 어떻게 분필까지 명중시키셨는지, 지금 생각해봐도 정말 신기하다.

 

사실, 고등학교 선생님들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백X부 선생님을 일순위로 언급한 것은 몇 년 전에 TV에서 선생님의 모습을 봤기 때문이었다.

 

하필 최근에 그 두 명의 선배들 모두 좋지 못한 일로 대한민국을 떠들석하게 해서 너무나 아쉽지만, ‘룰라’의 신X환과 고X욱은 비록 한 번도 직접 본 적은 없지만 어쨌든 명지고등학교를 졸업한 몇 년 위 학교 선배다.

 

그런데, X부 선생님께서 이 둘을 참 아끼셨던 모양이다. 나의 고등학교 시절 당시 룰라의 인기는 정말 하늘을 찌를 듯 했고, X부 선생님께서는 수업 중 우리들에게 이 두 선배에 대한 얘기를 종종 언급하셨다.

 

경상도 사투리에 말도 무척이나 빠르고 터프하셨던 백X부 선생님께서는 의외로 참 마음씨가 따뜻한 분이셨는데, 아마도 이 두 선배들이 학창시절에는 속을 많이 썩였지만, 졸업 후 잘 되어서 그게 참 흐뭇하셨던 것 같다.

 

아니나 다를까, 몇 년 전 인터넷을 통해서 본 한국의 TV 방송에서 이 두 선배들이 은사 선생님을 찾는 내용이 나와서 ‘혹시 백X부 선생님을 찾지 않을까?’했는데, 진짜로 백X부 선생님을 찾아갔고, 이제는 정말 많이 연로해지신 선생님께서 두 제자를 끌어안고 눈물을 흘리시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찡했었다.

 

어떻게 보면 비록 이렇게 방송을 통해서였지만, 내가 고등학교 졸업 후 목격한 유일한 선생님이 백X부 선생님이시기도 한 셈이었다.

 

두 제자의 성공에 유난히 기뻐하셨던 선생님이셨는데, 공교롭게도 두 선배들 모두 좋지 못한 일로 언론을 오르내리게 되어서 선생님께서 그 누구보다 많이 속상해하실 듯 하다.

 

다음 회에 계속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성민의 '서른 즈음에' - 필자 소개 file 유로저널 2007.01.19 12967
233 아직도 한국을 잘 모르는 사람들 유로저널 2007.02.02 2447
232 아직 끝나지 않은 무대 file 유로저널 2009.06.21 1453
231 아주 오래된 물건들 file 유로저널 2009.05.09 2279
230 아주 가끔은 커다란 기계의 작은 부품이고 싶다 file 유로저널 2009.10.02 2062
229 아버지의 퇴직 file 유로저널 2011.02.18 3190
228 아버지라는 이름의 산 file 유로저널 2007.12.20 1967
227 아는 게 힘 vs 모르는 게 약 eknews03 2012.07.23 3041
226 심심해서 좋은 영국의 여름날 file eknews03 2013.07.16 2552
225 실감되지 않는 기쁨 eknews03 2013.01.08 1769
224 신용을 쌓기 위해 신용카드를 쓰라고? eknews03 2014.05.12 1323
223 슬픈 장미의 나라 file eknews03 2014.06.09 1806
222 스카보로의 추억 file 유로저널 2009.07.06 5109
221 스위스 그리고 스위스 사람들 file eknews03 2015.02.09 3414
220 스웨덴, 바이킹 민족이 이룬 복지국가 file 유로저널 2009.10.11 3581
»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5) eknews03 2012.05.14 2406
218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4) eknews03 2011.05.22 3306
217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3) eknews03 2011.05.15 3942
216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2) 유로저널 2010.05.22 3058
215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1) 유로저널 2010.05.16 3109
214 스승의 날 떠오르는 얼굴들 eknews03 2014.05.18 1280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0 Next ›
/ 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