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40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한국음식 글로벌화 (12) 맞춤법 마케팅


"야아! 이 새색시는 칼 잡을 줄도 모르네!" 하며 채소를 쓸고 있는 내 손에 자기 손을 감싸며 어떻게 칼을 잡는 것인지를 보여주던 내 또래의 친구도 있었는데, 그런 내 음식 맛이 좋다는 칭찬을 들을 때면 잘 믿어지지가 않았다. 우리음식은 정말 맛있게 많이도 먹으며 자라왔지만 만드는 데는 참여를 피해온 나였기 때문이다.

그런 내가 외국생활 하면서 아무리 우리음식 흉내를 내서 만들어도 한국 전통의 맛은 저리가라 할진대, 다행히 외국인들이 우리 전통음식을 몰라서 ‘아, 한국음식 참 맛있네요!’ 할 때면 안도감이 생긴다. 그런데, 실상 외국인들이 바라는 것은 그것이 전통음식이던 뽕짝으로 만든 퓨전음식이던 그들의 식성에 맞는 음식이면 최고다. 특히 동양적인 음식의 재료로 새로운 모양과 맛을 보여줄 때는 인기가 만점이고… 

그래서 퓨전푸드, 그것은 영국에 있는 인도 음식점의 카레 요리가 그 나라 인도에서 먹고 있는 카레 음식과는 달리, 영국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으로 변화시켜 팔고 있어 이제는 카레가 영국의 '피시 엔 칩'보다 더 사랑 받고 있는 퓨전푸드라는 것을 봐서라도, 전통을 고집하는 것 보다는 시장조사를 해서 그곳 사람들의 식성에 맞춰주는 맞춤법 요리를 하는 것이 성공을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런데 한국에 가보니 한국형 피자 또한 정말 퓨전피자였다. 아니 세상에 피자에 고구마를 올려놓는 것은 처음 봤는데 어떻게 그리 맛이 좋던지... 그리고 피자뿐만이 아니라 김치 아이스크림도 있는 것을 보면 정말 한국인의 상상력은 각양각종의 새 음식과 물건을 창조하는데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그런 우리에게 이제 필요한 것이 있다면 마케팅이다.

k-food marketing.jpg

그 무한한 창조력과 노력이 작은 한국의 시장 안에서 서로 부대끼며 생존경쟁을 하는 것에서 세계시장으로 넓이 나아가는 에너지로 쓰이면 어떨까? 그 시작으로는 테스코나 월마트 같이 국제적으로 자리를 굳게 잡은 슈퍼에 우리 음식을 납품하고, 점점 줄어드는 유럽과 동남아 인류의 트랜드 와는 달리 오히려 매년 늘어나는 중동 시장의 소비자들도 무시 못할 것이다. 그러기에 그 동안 멀리하던 할랄 시장에 세계음식 계는 물론 화장품 등의 무역업자들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종교를 떠나 중동의 경제와 문화시장을 누가 먼저 들어가서 자리를 잡을 것이냐?’ 라는 급박함 까지 갖고... 이슬람 특유의 얼굴을 가리는 여성복을 입고 거리에 나오면 큰 액수의 벌금을 내게 하면서까지 이슬람 권의 사회침투를 저지하면서도 프랑스에서는 할랄경제를 뚤고 들어가기 위해서 무한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고 심지어는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도 다른 어느 나라에 앞서 할랄 동양음식을 마케팅 하기에 여념이 없다. 

김이 노리로, 김치가 기무치로, 된장이 미쏘라는 일본이름으로 서양에 알려진 것처럼, 중동시장에서도 일본어로 동양음식의 이름을 인식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면 그에 비슷한 다른 동양음식들이 나중에 들어와도 자연히 일본이름을 연상하게 될 것이니… 이미 한국의 드라마, 케이팝과 한국 브랜드의 상품 등으로 한국에 대한 세계인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이때에 우리음식도 빨리 중동 및 세계시장에 진출해야 될 것이다. 

헌데, 돈 많은 사람이 돈 만들 줄 안다고, 할랄음식의 인증을 받으려면 무척이나 큰돈이 들어간다고 중소업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작은 업자들이 독자적으로 인증을 받는 것 보다는 이제 여러 업자들이 협력해서 큰 시장에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한다. 비슷한 상품을 만드는 제조업자들이 모여서 협조하면, 마케팅에 필요한 노하우, 언어, 인터넷 소통, 상품의 질, 가격의 경쟁력과 다수의 주문에 따를 수 있는 생산능력 등을 갖춤으로 빠른 속도를 원하는 국제적 큰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율이 커질 수 있지만 독자적으로 하려면 오히려 얼마 안가 문을 닫는 제조업체들이 늘지 않을까 염려된다. 

우리 중소업체들이 국제시장이라는 커다란 바다 위에 종이 배처럼 혼자 외로이 떠돌다 거친 풍파에 휩쓸려 쓰러지지 않으려면 손에 손을 잡고 협력을 해야 할 때이다. 어쩌면 이것은 협력의 문을 열어주는 범 정부적인 적극적 도움이 필요할 것이고… 기회란 종종 찾아오는 것이 아니어서 그때를 놓치면 어쩌면 영영 잃어버리게도 되는데 오늘 놓칠 수 없는 절호의 기회가 우리에게 주어지고 있는 이때에 한국음식의 글로벌화를 위해 우리 고유의 맛과 현지의 맛을 결혼시켜 맛있고 멋있는 건강 다이어트 음식, 케이 푸드로 세계인의 식탁에 과감히 올려주도록 하자.

유로저널광고

  1. 삶의 미스테리 (8)

  2. 삶의 미스테리 (7)

  3. 삶의 미스테리 (6)

  4. 삶의 미스테리 (5)

  5. 삶의 미스테리 (4)

  6. 삶의 미스테리 (3)

  7. 삶의 미스테리 (2)

  8. 삶의 미스테리

  9. 여자들의 화려한 외출 (4) 우연이었을까?

  10. 여자들의 화려한 외출 (3) 켄터버리에서의 어머니들

  11. 여자들의 화려한 외출 (2) 에어 쇼

  12. 여자들의 화려한 외출

  13. 한국음식 글로벌화 (12) 맞춤법 마케팅

  14. 한국음식 글로벌화 (11) 권면보다는 매혹으로

  15. 한국음식 글로벌화 (10) 후식 개발

  16. 한국음식 글로벌화(9) 인류의 건강을 위하여

  17. 한국음식 글로벌화 (8) 블랙푸드 자장면!

  18. 한국음식 글로벌화 (7) 미세스 비톤

  19. 한국음식 글로벌화 (6) 재료 소개

  20. 한국음식 글로벌화 (5) 브랜딩 K-Food!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