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류 100달러 수출하면 소비재 수출은 412달러 증가해

by eknews posted Jun 0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류 100달러 수출하면 소비재 수출은 412달러 증가해


한류문화상품 수출과 소비재 수출 증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최초의 통계분석 자료가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5월 29일 발표한 ‘한류수출 파급효과 분석 및 금융지원 방안’에 따르면 문화상품 수출이 100달러 늘 때 소비재 수출은 412달러나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가 92개국에 수출한 문화상품 수출액과 소비재 수출액 데이터를 회귀 분석한 결과다.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의 확산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면서 휴대폰 등 한국 IT제품의 선호도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연구는 문화상품 수출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높여 소비재 수출 증가로 파급되는 과정을 계량적으로 추정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소비재 품목별로 보면 문화상품 100달러 수출 증가 시 핸드폰이나 가전제품 등 IT제품 수출이 평균 395달러 늘어나 소비재 가운데 수출 ‘증가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 ‘증가비율’은 가공식품 > 의류 > IT제품 순으로 높았다. 문화상품 수출 1% 증가시 가공식품 0.07%(31달러), 의류 0.051% (35달러), IT제품 0.032%(395달러) 수출이 증가했다.

수출지역별 특성도 다소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아시아 지역에선 CD나 테이프 등 음악 수출이 화장품 수출을 견인하는 효과가 높았고, 드라마나 오락프로그램 등 방송 수출은 휴대폰·컴퓨터 등 IT제품 수출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중남미 지역으로 CD나 테이프 등 우리 음악을 수출하면 휴대폰·컴퓨터 등 IT제품 수출이 가장 많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은 관계자는 “문화산업 수출이 현 단계에서는 직접적인 경제효과가 높지 않더라도 기타 상품으로의 수출 파급효과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면서 “K팝 등 문화산업 수출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더욱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유로저널 김하늘 기자

eurojournal28@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