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시, ‘35세에서 49세 서울 미혼男’ 20년 새 10배 증가

by eknews posted Aug 01,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서울시, ‘35세에서 49세 서울 미혼男’ 20년 새 10배 증가


865-사회 2 사진.jpg


서울의 낮은 출산율을 반영하듯이 서울남녀의 평균초혼연령이 높아지고, 미혼인구 및 미혼증가 연령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35~49세 연령층에서는 미혼남성이 지난 20년 새(1990년~2010년) 10배나 증가하여 같 은 기간동안 같은 연령층 미혼여성 증가(6.4배)보다 더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10년 현재 35~49세 남성 미혼율은 20.1%로 이 연령층 남성 5명 중 1명이 미혼이며, 동일 연령층 여성 미혼율(11.8%)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5세 이상 미혼인구의 학력상태를 보면 35~49세 미혼 중 남성은 고졸이하가 52.4%를 차지하고, 여성은 대졸 이상이 61%를 차지하고 있어 남성은 저학력에서, 여성은 고학력에서 미혼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최근 2년 새 변화를 나타냈다. 남성은 `08년까지만 해도 결혼은 꼭해야 한다 는 응답(24.3%)이 ‘선택사항’이라는 견해(22.8%)보다 높았으나, 2010년에는 결혼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 은 ‘선택사항’이라는 견해(29.8%)가 반드시 해야한다(20.7%)보다 높아졌다.

경제활동측면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변화는 육아 및 가사를 전담하는 비경제활동 남성이 2011년 3만5천명으로 2010년(3만6천명) 대비 소폭 감소하긴 하였으나, 2005년(1만6천명) 대비 2.2배 증가했으며, 연령별로 본 남성 취업자는 2007년부터 40~50대가 20~30대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년 간에 남성도 ‘반드시 결혼해야 한다(20.7%)’는 당위성 보다 ‘선택사항(29.8%)’이라는 견해가 더 높아지는 쪽으로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를 보였다. 

박영섭 정보화기획담당관은 미혼증가의 원인으로 학업기간이 길어지고, 취업이 늦어지면서 초혼연령이 높아 지는 사회변화 및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이 있으며, 또한 여성의 학력상승 및 경제활동참여 증가가 고학력 미혼여성 뿐만 아니라 저학력 미혼남성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이러한 미혼증가는 저출산과 직결되고 있어 미혼증가 현상이 지속되는 한 초저출산 문제가 극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사진: mbn 뉴스 화면 캡쳐> 


한국 유로저널 구자억 기자 

eurojournal10@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