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일 영토 분쟁, 美 냉정 촉구에도 설전 계속

by eknews posted Oct 02,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중-일 영토 분쟁, 美 냉정 촉구에도 설전 계속



중국과 일본에 동중국해 섬을 둘러싸고 가열되고 있는 영유권 분쟁에서 미국 정부가 거듭 영토 분쟁에서 특정 입장을 갖고 있지 않다고 표명하면서 냉정을 촉구했으나 수 시간 후 양측 외교관들은 유엔에서 가시 돋친 설전을 벌였다.

미 관리측의 말을 인용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클린턴 장관은 뉴욕 유엔 총회 참석 도중 27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을 만나 " 도서를 둘러싼 일본과의 다툼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말하면서 “ 다시금 사태 진정을 위한 냉정함과 中日 양측 간 대화를 촉구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일본과 중국이 이에 직접 대처하고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기지와 자제력, 그리고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면서 “이것이 양측에 보내는 우리의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양제츠 부장은 그러나 이날 유엔총회 연설의 일부분을 할애해 중국의 입장을 거듭 천명하면서 문제의 도서가 고대로부터 중국 영토였으며, 일본이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이를 압류했다고 주장했다. 양 부장은 아울러 이달 초 일본 정부가 민간 소유자로부터 섬을 구입한 것을 비난하면서 “일본 정부의 조치들은 전적으로 불법이고 무효”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은 일본이 댜오위다오와 부속 도서들을 훔쳤으며 이들이 중국의 영토라는 역사적 사실을 결코 바꿀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본 측은 반박 연설에 나서 영토분쟁은 존재하지 않으며 일본은 문제의 도서들을 1895년 병합하기 10년 전부터 탐사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섬들이 중국에 속한다는 어떠한 증거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고다마 가즈오 유엔 주재 日 차석대사는 “중국과 대만 정부가 센카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라면서 “그 전에는 그들은 어떤 반대도 표명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에 지지 않으려는 듯 리바오둥 유엔주재 中대사가 반격에 나섰다. 그는 日 대사가 “모든 이성과 논리에 반하는 거짓 주장에 호소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최근 이른바 섬 구입은 돈세탁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면서 일본이 훔친 재산을 매입했다고 비난했다.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것으로 여겨지는 동중국해 도서를 둘러싼 분쟁 속에 양측 어느 쪽도 영유권 주장을 두고 뒤로 물러서지 않으면서, 중일 관계는 수십 년래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한편, 미국은 그러나 군사공격의 경우 미-일 안보조약이 문제의 섬들에 적용될 것임을 거듭 확인해왔다.


873-국제 3 사진.jpg 중국 군부는 센카쿠를 둘러싼 영유권 갈등이 본격화된 이후 일본을 겨냥해 각종 실전 훈련을 해오고 있다.
중국 해군 동해함대가 지난 9월 21일 센카쿠 해역 인근에서 공중전이 벌어진 상황을 가정하고 동중국해 모 해역에서 공중조기경보기와 전투기 등을 투입해 해·공군 합동 실전·실탄 사격 훈련을 실시한 지 10여일만에 다시, 중추절(추석)인 지난달 30일 동해 해역에서 해·공군 합동 실사격 훈련을 했다.
일본과 영유권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무력시위성 훈련이라는 분석이다.중국군 기관지 해방군보 1일자 보도에 따르면 동해함대 소속 전투기와 폭격기, 구축함, 유도탄정이 9월 30일 동해 모 해역에서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 신형 전투기들이 가상 적진인 한 섬에 접근해 정밀 폭격을 가하는 것으로 시작된 훈련은 이어 폭격기 편대가 고공에서 융단 폭격을 퍼부었고 원거리의 구축함들은 함포지원 사격을 했다.
항공기 폭격과 함포 사격, 가상 적진인 무인도에서 화염이 솟아오르는 화면이 중국 TV를 통해 생생하게 방송됐다.


중국·대만 경비함 센카쿠 근해 재출현


한편,중국과 대만 경비함이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에 다시 출현했다.

대만 경비함이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한 것은 지난달 25일 양국 함정이 물대포를 서로 쏘며 충돌한 이후 처음이다. 또 이날 중국 해양감시선 4척이 잇달아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했다. 중국 선박은 지난달 26일 이후 5일 만에 다시 나타났다.

또한, 일주일만인 10월 1일에는 대만의 해안순방서(해양 경찰) 순시선 1척과 중국 해양감시선 6척 등 7척이 센카쿠의 일본 측 접속수역에 진입한 데 이어 10월 2일에도 중국 해양감시선 4척이 센카쿠 해역의 일본 측 접속수역에 진입한 데 이어 영해도 침범했다.

일본 당국이 무선으로 영해에 진입하지 말라고 경고하자 대만 측은 "어선 보호활동을 하는 중이며, 이곳은 대만의 경제 수역"이라고 응답했고 통신은 전했다. 중국 선박은 "댜오위다오는 옛날부터 중국의 고유 영토다. 귀 선박의 행위는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 방해하지 말라"고 대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