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중 섬유·휴대폰·철강 경쟁력차 적어 시진핑시대 역전가능

by eknews posted Nov 20,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중 섬유·휴대폰·철강 경쟁력차 적어

시진핑시대 역전가능


중국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섬유산업의 경우 경쟁력 차이가 단 1%에 불과하는 등 한국의 턱밑까지 추격해 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중국 시진핑시대 개막과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가격경쟁력을 주무기로 했던 중국산업이 품질과 기술력까지 갖추면서 한중간 경쟁력 격차가 크게 좁혀진 상태”라며 “시진핑호가 본격 출범해 산업구조 고도화정책을 적극 추진하면 업종과 품목에 따라 경쟁력 역전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대한상의가 최근 산업연구원에 의뢰해 10여개 업종에 대한 가격·품질·기술수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섬유산업의 경쟁력을 100이라 할 때 중국의 경쟁력은 99.1로 0.9%포인트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중국의 휴대전화 제조경쟁력은 우리의 93.3%, 철강은 92.7%, 유화는 91.6%로 이들 업종의 양국간 경쟁력 격차는 한자리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79-경제 1 사진.jpg


중국 조선업의 경쟁력은 우리의 85.0%, 자동차는 77.8%, 디스플레이는 76.7%로 다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업종의 경우, 조사대상 품목 중 경쟁력 격차가 가장 커 30.0%포인트(중국의 반도체 제조경쟁력이 우리의 70.0%)로 분석됐다. 이에 대한상의는 대중 산업경쟁력의 유지·확대방안으로 △ OLED, 지능형 장비, 해양 엔지니어링, 자동차, 고기능 섬유, 바이오 등의 분야 등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개발 △ IT와 나노기술 등을 활용한 산업융합 촉진 △ 대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무버 전략 강화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시진핑호의 내수활성화정책으로 예상되는 중국시장의 고급화 경향에 부응하여 정보통신, 제약, 화장품,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진출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상거래, 홈쇼핑 등 새로운 패턴의 유통채널, 소셜마케팅을 적극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한상의 박종갑 상무는 “시진핑호의 경제정책 방향이 산업구조 고도화와 내수활성화로 예상되고 있어 앞으로 IT, 신소재, 신재생에너지 등 우리의 주력산업과 미래 신성장산업을 놓고 한중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한편으로는 핵심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표준 제정등의 분야에서 한중간 기술협력도 확대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 유로저널 이준동 기자

eurojournal10@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