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소기업, 수출 없이 일자리도 성장도 없다

by eknews posted Dec 0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중소기업, 수출 없이 일자리도 성장도 없다


881-경제 1 사진.jpg


일자리 창출과 성장의 열쇠는 역시 중소기업의 수출이었다. KOTRA와 중소기업학회가 11만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미 수출기업 중 42.9%가 최근 3년간 5% 미만의 저성장을 한 반면, 1천만 달러 이상인 수출기업은 80% 이상이 5%~20%의 높은 매출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액이 높을수록 고용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출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최근 불확실한 경제상황에서도 11.7%의 기업들이 향후 3년간 매년 수출과 매출 모두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여 중소기업 중심의 새로운 무역성장 동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주력생산품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2.89%였으며, 주력생산품의 비중이 높을수록 수출비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 평균은 8.79억 원이었으나 미 수출 기업의 경우 2.24억 원에 불과하여 제품의 전문화와 R&D가 수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시장에 대해서는 수출액이 적은 기업들은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 편중된 반면, 수출액이 많은 기업들은 유럽, 북미 등 주력시장의 비중이 컸으며, 신흥국 고가제품시장이 향후 가장 유망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수출애로요인에 대해서는 거래선 및 바이어 발굴에 가장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출액 규모별로 수출계획 수립, 현지 마케팅 활동, 바이어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주된 애로 요인에 차이를 보여 수출 성장단계별로 지원제도를 차별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해 중소기업관련 정.관.학계 전문가들은 역량 있는 내수전문 중소기업을 글로벌화하기 위한 유인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조석 지식경제부 차관은 “수출 초보·내수기업을 중견기업으로 육성하고 중견기업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일자리와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번 포럼을 공동주최한 KOTRA 오영호 사장은 “무역 1조 달러 달성까지 양적 무역성장을 위해 달려왔다면, 이제 국민경제 전체를 위한 질적 무역성장을 생각해야 할 때.”라며 그 중심에 중소기업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