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민 절반, '공적개발원조는 유상원조가 바람직' 등 금주의 경제 단신 이모저모

by eknews posted Mar 2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올해 중소제조업 설비투자 급감 전망

국내 중소 제조업체 가운데 올해 설비투자를 계획 중인 곳은 4곳 중 1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의 ‘2013년 중소제조업 설비투자 전망조사’를 보면, 응답기업의 26.8%만이 올해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설비투자 실적(35.2%) 대비 8.4%p 줄어든 것으로, 국내외 경제의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고 이에 따른 수요 회복이 늦어지면서 설비투자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약화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규모별 설비투자 계획을 보면 중기업(60.0%→49.2%)과 소기업(29.3%→21.5%) 모두 지난해 대비 감소했으며, 업종별로도 1차금속(40.2%→ 29.0%)과 기타운송장비(26.9%→14.3%) 등 대부분의 업종이 줄어들었다. 설비투자를 계획하지 않는 이유로는‘기존 설비만으로 충분’, ‘투자의욕 상실’등의 응답비율이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IBK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중소제조업체의 투자여력이 크게 줄어들면서 기계장치와 건물 등의 대규모 투자는 물론 공구 등의 소규모 투자마저 저조한 상황”이라며, “최근 재고증가도 설비투자 위축을 가속화 시킬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안성준 기자
  eurojournal11@eknews.net


국민 절반, '공적개발원조는 유상원조가 바람직'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이상은 공적개발원조(ODA)를 '유상원조'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민 10명 중 4명은 ODA를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으며, 국민의 30% 가량은 ODA 규모를 축소하거나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 인식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46.5%는 바람직한 ODA 형태로 '유상과 무상을 적절히 하되 유상원조가 좀 더 많아야 한다'고 답했다. '무상원조가 좀 더 많아야 한다'는 의견은 27.6%에 그쳤다.
응답자의 43.1%는 ODA 재원이 국민의 세금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지난해 ODA 예산이 국민소득(GNI)의 0.12%인 1조9천억원(국민 1인당 연간 약 2만8천원) 수준인 것과 관련해, 응답자의 53.8%는 '적당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좋지 않고', '국내의 빈곤층도 많은데 해외에 ODA를 제공할 만큼 부유하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ODA를 축소 혹은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31.5%나 됐다.
대표적인 한국형 ODA 프로그램인 KSP에 대해 국민들은 '개발도상국의 발전'(76.6%)과 '우리나라와의 경제협력 활성화'(74.7%)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