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여성 대통령 시대, 기업 44% “여성임원 늘어날 것”

by eknews posted Mar 2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여성 대통령 시대, 기업 44% “여성임원 늘어날 것”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 시대를 맞은 가운데 상당수 국내기업들은 향후 여성임원 수가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대·중견기업 300여개사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여성인재 활용에 관한 기업인식’을 조사한 결과, 향후 여성임원·관리자 수에 대한 전망으로 응답기업의 43.8%가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3.9%, ‘줄어들 것’이라는 답변은 2.3%에 그쳤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58.1%)이 중견기업(39.1%)보다 여성임원이 늘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대한상의는 “최근 건강, 엔터테인먼트, 패션, 화장품 등 소프트한 산업들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는 한편 소비력을 갖춘 젊은 여성층이 핵심 소비집단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에 여성임원을 늘려 기업경영전략 수립에 여성의 풍부한 감성과 섬세함을 반영하려는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성의 업무능력에 대해서도 남성과 대등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신입남성직원 대비 신입여성직원의 업무역량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8.6%가 ‘남성과 비슷하다’고 답했고, '남성보다 우수하다‘는 답변도 13.9%로 ’부족하다‘(7.5%)는 응답을 앞질렀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수한 역량으로는 복수 응답에서 친화력(37.5%), 성실성·책임감(35.9%), 창의성(26.0%)을 차례로 꼽았고, 부족한 역량으로는 리더십(36.2%), 팀워크(30.9%), 주인의식(26.6%) 순으로 답했다.여성인재 확보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점차 늘고 있긴 하나, 기업 내 여성임원 수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대표나 임원 중 여성이 1명이라도 있다는 기업이 4곳 중 1곳(23.7%)에 불과했고, 이들 기업 1개사당 여성대표·임원 수도 평균 2.2명에 그쳤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8명)이 중견기업(2.3명)보다 적었다.
상의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고 있지만 남성에 비해 핵심 업무를 경험할 기회가 부족하고, 출산·양육부담으로 경력단절을 겪는 여성이 많았던 탓”이라고 분석했다.
여성임원 선임경로에 대해서는 내부 승진이라는 응답이 79.2%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외부 영입이라는 답변은 15.3%였다.또한 여성임원이 있는 기업 중 절반은 여성임원이 될 만한 중간 관리자 인력풀이 부족한 편(50.0%), 충분한 편(50.0%)이라고 응답해 중간 관리자부터 여성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들은 여성경력개발 강화를 위해 여성인력을 전 부서에 고르게 배치하고, 다양한 과업을 부여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95-사회 2 사진.jpg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사진)은 “공공기관 여성 임원 할당제 도입은 좀 더 논의를 거쳐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 국내 일간지와 인터뷰에서“여성 인재라 할지라도 능력이 안 되고, 경험 없는 사람들을 할당제로 임명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해 여성부가 그동안 핵심 정책으로 추진해 온 ‘공공기관 여성 임원 할당제’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여성직원 배치부서를 묻자 복수응답에서 인사·총무(30.6%), 영업·마케팅(29.9%), 재무(28.9%), 연구·개발(17.8%), 생산(14.5%), 고객관리(12.8%) ,기획 (7.6%).기술지원(2.0%) 순으로 나타나 전 부서에 고르게 배치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여성임원 양성을 위해 전문성 강화와 경력단절 해소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여성관리자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방안에 대해 전문성 강화를 위한 도전적 과업부여(29.6%)와 경력단절 해소를 위해 출산휴가·육아휴직 활용 권장(28.9%)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이어 여성 특화 교육훈련 실시(13.2%), 법정기간보다 긴 육아휴직 보장(12.2%) ,채용·승진시 여성할당제(11.5%), 유연근무제(11.2%), CEO와의 정기 간담회(9.9%), 멘토링 프로그램(8.2%), 직장보육시설 운영(6.3%) 등을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여성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과 사회적 지원뿐 아니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여성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여성이 임원으로 성장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일과 가정을 조화시키려는 여성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50.7%)을 첫 손에 꼽았다. 이어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등 출산·양육 관련 사회적 지원(24.0%),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17.8%), 여성 할당제 의무화(3.9%), 모성보호제도 관련 기업 의무 강화(3.6%) 등의 답변이 있었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여성인재 활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여성직원이 경력단절 없이 임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기업과 사회가 함께 조성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