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7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최근 발생한 한 국내 대기업 임원의 항공기 승무원 폭행 사건을 보면서 내가 너무나 사랑하는 조국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려면 아직 멀었구나 하는 생각에 그저 씁쓸할 따름이다.

 

결국 누워서 침 뱉기가 되겠지만, 왜 우리 대한민국의 국민성은, 한국인들의 본성은 그리도 못되고 못난 것일까?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표현이 무색하리만치, 나는 우리 한국인들이 기본적으로 참 예의가 없다고 본다.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나보다 나이 많은 혹은 지위 높은 사람에게 깍듯하다못해 벌벌 기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 진짜 예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어떠한 높낮이 없이 기본적으로 모두에게 지켜주고 존중해줘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슬프게도 한국인들은 상대방을 가려가면서 예의를 갖추거나 예의를 무시한다.

 

나이의 많고 적음과 존댓말이 철저히 존재하는 한국이다 보니 나이에 따라 예의가 갖춰지고 무시되는 것은 그렇다고 치자.

 

하지만, 사회적인 지위, 권력, 재력에 의해서도 예의가 갖춰지고 무시된다면, 이는 정말 후진국스러운 악습일 뿐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손님(고객)은 왕이다’라는 표현으로 대변되는 이상한 문화가 존재한다.

 

사실 맞는 말이긴 하다. 엄연히 댓가를 지급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받는 손님에게 최대한 예의를 갖추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해도 손님 역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들에게 기본적인 예의를 갖추는 게 도리이며 성숙한 의식이다.

 

그런데, 한국인들은 손님의 입장이 되면 자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들에게 무례하고 무시하는 게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게다가 그 손님이 나이가 제법 많고, 거기에 사회적인 지위와 권력, 재력을 갖춘 경우라면 그야말로 눈에 뵈는 게 없어진다.

 

“내가 누군 줄 알아?” 눈에 뵈는 게 없는 인간들이 조금이라도 수 틀리면 내뱉는 표현이다.

 

풀어서 얘기하면 “내가 너보다 이러 이러하게 높고 대단한 사람인데 감히 니가 나에게 이 따위로 대하느냐?”다.

 

당사자들은 “내가 누군 줄 알아?”하면서 큰 소리를 치면 본인들이 대단해 보이는 줄 알겠지만, 반대로 참 못나보인다.

 

그렇게 지위와 권력, 재력을 갖춘 이들이 겸손하고 예의바르며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모습을 보일 때 오히려 우리는 그 사람을 더욱 존경하게 되고, 진심으로 그 사람에게 예의를 갖추게 된다는 것을 그들은 정녕 모르는 걸까?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를 넘어서 이제 동물의 권리까지도 존중받고 있는 21세기에 한국인들은 마치 여전히 계급사회에 사는 것처럼 착각하고 있는 것일까?

 

나이, 지위, 권력, 재력에 있어서 나보다 조금이라도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는 함부로 대하고, 반대로 나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는 굽신거리는 우리들의 슬픈 자화상이다.

 

이번에 항공기 승무원을 폭행한 대기업 임원은 과연 외국 항공기에 외국인 승무원이었더라도 동일한 일을 벌였을까?

 

물론, 외국인이더라도 어떤 외국인이냐에 따라 달랐을 것이다. 한국인들이 은근히 무시하는 동남아 승무원이었다면 비슷하게 안하무인 식으로 굴었을 테고, 반면 서양인 승무원이었더라면 더 못한 서비스를 받으면서도 암말 못하고 그저 땡큐만 연발했을 것이다.

 

우리는 강자에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한 전형적인 못난 기질을 타고났기에, 바로 나부터 이런 기질을 버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진정한 선진국민은 약자에게도 예의를 갖출 줄 아는 이들이다.

 

이번 항공기 승무원 폭행 사건은 마침 나이, 지위, 권력, 재력을 두루 갖춘 대기업 임원이 가해자라 뭔가 딱 맞는 그림(?)이 되었지만, 사실 한국인들은 비단 지위나 재력이 상당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자신이 ‘갑’의 입장이 될 때 유독 ‘을’에게 무례하게 구는 경우가 많다.

 

흔히 ‘감정 노동자’라고 불리우는 다양한 서비스업 종사자들, 그리고 각종 상담원, 안내원들이 겪는 수모와 스트레스는 정말 상당하다고 한다.

 

하지만, 당신이 그 언제가 무례하게 굴었거나 윽박질렀을 그 종업원, 그 상담원은 당신의 동생일 수도 있고, 당신의 자녀일 수도 있다.

 

그들 역시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이며, 그들 역시 자신의 임무를 다 하는 평범한 근로자일 뿐인데, 왜 그들에게는 자존심도, 인격도 없다고 함부로 여기는가?

 

영국에서는 아무리 손님이라고 해도 종업원/상담원에게 어느 정도 갖춰야 하는 예의가 있고, 요구할 수 있는 게 있으며 요구할 수 없는 게 있는데, 한국에서는 그저 손님이 왕인지라 목소리 높이고 어거지를 쓰면 안 되는 게 없다.

 

사실, 영국에서는 내 돈 주고 서비스를 받으면서도 충분히 서비스를 못 받는다고 느낄 때도 많고, 특히 각종 상담원/안내원들은 대부분 영국인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인지 고객 입장에서 오히려 불쾌할 때도 종종 있으니, 한국과 비교했을 때 정말 아이러니다.

 

어쩌면 한국은 손님이 받는 서비스,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담원/안내원의 서비스가 세계 최고 수준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이면에 감정 노동자들의 눈물과 극도의 스트레스가 자리하고 있다면 우리는 부끄러워해야 한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예의, 지켜야 할 배려가 있는 법인데, 어떤 이유로는 내가 그 사람보다 나이가 많다고 해서, 지위가 높다고 해서, 권력과 재력이 더 많다고 해서 그것들을 무시한다면 그 사람은 참으로 못난 사람이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5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43
1620 영국 이민과 생활 T1G연장시 승인점수 어떻게 적용되나요? 유로저널 2010.07.20 2810
1619 영국 이민과 생활 어떤 일을 하면서 살 것인가? 한인신문 2009.05.20 2810
1618 최지혜 예술칼럼 <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2 > 아시아 앤디워홀, 무라카미 다카시 ( 2 ) file eknews 2016.06.12 2809
1617 영국 이민과 생활 조기유학생, 친척에게 맡기는 것 신중해야… 한인신문 2009.05.20 2805
1616 영국 이민과 생활 T2G비자 연장 중 해외여행과 영주권 연봉 eknews 2014.08.05 2803
1615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조선을 사랑한 법국의 외교관 <세번째 이야기> file 편집부 2019.04.09 2800
1614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가정의 달' 5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file 편집부 2020.05.04 2799
1613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17 : 불편하지만 편안한 와이너리, Domaine Coche-Bizouard file eknews 2014.05.13 2799
1612 오지혜의 ARTNOW 영국 화폐의 새 얼굴, 터너 (J.M.W Turner) file eknews 2016.04.25 2798
1611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교환학생 기간 어떻게? eknews 2015.07.14 2796
1610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학업중단과 영국서 배우자비자 신청에 대하여 유로저널 2010.06.22 2795
1609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에서 행복하게 사는 방법(1) - 온돌 한인신문 2009.05.20 2794
»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아래 사람 없다. eknews03 2013.04.28 2793
1607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유로저널 단독 건강 칼럼 (4) : 요통에 좋은 약초들과 운동 요법 file eknews 2014.02.10 2791
1606 영국 이민과 생활 우린 무엇으로 사나? 한인신문 2009.05.20 2788
1605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이야기 file 편집부 2019.11.05 2786
1604 영국 이민과 생활 9년 넘게 체류 했는데 10년 영주권 어떻게? eknews 2015.06.21 2786
1603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역사 (1968-21세기) file eknews 2014.02.10 2786
1602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국외송금 (Remittance / Transfer of Funds) eknews 2015.08.16 2784
1601 최지혜 예술칼럼 잭슨을 감동시켰다 file 편집부 2020.02.02 2769
Board Pagination ‹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