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이탈리아
2008.05.30 22:47

이탈리아,언론 및 방송

조회 수 63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
extra_vars2 |||||||||||||||||||||||||||||||||||||||||||||||||||||||||||||||||||||||||||||||||
  가. 개  요  

    ㅇ 이탈리아는 자유 언론의 상징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기 간행물과 방송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중의 하나

    ㅇ 헌법 제21조에 표현의 자유 및 검열금지가 규정되어 있으며, 모든 신문과 잡지는 등록만으로 발행 가능

  나. 신  문  

    ㅇ 110여종의 신문(약 1,200만부)와 수천여종의 정기 간행물을 발행하고 있으며, Corriere della Sera와 La Repubblica
        양대 일간지를 비롯하여 여러 전국지와 유력 지방지외에 유럽 유수의 경제일간지 Il Sole 24 Ore가 발행  

        -  오랜 역사의 일간지는 La Nazione(1859년), La Stampa(1867년), Il Corriere della Sera(1876년),
          Ⅱ Messaggero(1878년), La Gazzetta di Mantova(1735년), Il Giornale de Bergamo(1812년) 등

        -  지방지는 Lazio(Rome) 17개지, Lombardy 17개지, Puglia 7개지, Emilia-Romagna 6개지, Sicilia 5개지,
           Liguria (Genoa) 4개지, 기타 지방 1-3개지

        -  이탈리아에는 신문 배달제도가 없으며 뉴스 스탠드 판매 방식 또는 정기구독자에게 우편 발송 방식으로 배포

    ㅇ 주요신문

        -  Il Corriere della Sera*(밀라노)  100만부(우익)

        -  La Stampa*(토리노)                50만부(중도우익)

        -  La Repubblica*(로마)              100만부(중도좌익)

        -  Il Messaggero*(로마)              30만부(중도우익)  

        -  L'Unita(로마,밀라노)               7만부(좌파민주당기관지 성격의 전국지)

        -  Il Giornale*(밀라노)                   35만부(중도)

        -  Il Giorno*(밀라노)                    29만부(중도)

        -  Il Tempo(밀라노)                     10만부(중도우익)

            ※ 표 신문은 이탈리아 6대 일간지(전국 배포)

    ㅇ 전문지

        -  Il Sole 24 Ore(밀라노)                50만부(경제)

        -  La Gazzetta Dello Sport(밀라노)  73만부(스포츠)

        -  Il Corriere Dello Sport(로마)         55만부(스포츠)

  다. 정기 간행물

    ㅇ 약 6,000여종의 정기간행물 발행

    ㅇ 주요 잡지는 Panorama, L'Espresso, Domenica del Corriere, Oggi, Gente, Epoca 등

  라. 통 신 사

    ㅇ 대부분 Rome에 본부를 둔 다수의 통신사가 있는 바, 주요 통신사로는 ANSA(Associated National Press Agency),
        ADN KRONOS, A.G.I. 등

  마. TV 및 라디오

   ⑴ 개  요

        ㅇ 1924년 첫방송 실시

        ㅇ 2,000개의 라디오 방송국 존재

        ㅇ TV는 1954년 첫방송을 실시했고 칼라방송은 1978년부터 방영을 시작

            -  현재의 TV 방송수는 약 500개국

        ㅇ 1975년까지 라디오 및 TV 방송은 RAI(국영 방송)의 독점체제였으나, 불법적인 사설 방송에 대한 RAI의 제소가
            위헌(언론의 자유)을 이유로 RAI의 패소로 귀결됨으로써 현재와 같이 많은 지방 TV방송의 출현을 초래

    ⑵ 국영방송(RAI)  

        ㅇ 국영방송인 RAI는 국영기업인 IRI의 출자로 운영되고 있으며, 제1, 제2, 제3의 전국 네트워크 방송 보유

        ㅇ RAI는 당초 총리 직속이었으나 뉴스 프로의 공정성이 문제됨에 따라, 현재는 40인(상원20, 하원20)으로 구성된
           국회 방송위원회가 운영

            -  국회 상·하원 원장이 RAI 회장과 이사회 위원 4명을 추천하고 회장과 이사회가 RAI 사장 선출

        ㅇ RAI의 직원수는 14,000명으로서 세계 굴지의 규모이며, 우리나라와 방송 협력협정 체결

    ⑶ 민영 지방 TV 방송

        ㅇ 로마, 밀라노 등 대도시와 주요 지방도시에 100여 개의 민간 지방 TV 방송이 소재

        ㅇ 전국 네트워크을 갖고 있는 민영 방송 중 Rete 4, Canale 5, Italia 1 등 3개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Mediaset
           그룹(Berlusconi 전총리의 소유)과 TMC (Televisione Montecarlo)의 2개 채널이 대표적인 민영 방송
유로저널광고

  1. 유럽건강보험카드(EHIC) 제도에 대해

  2. 러시아,오페라『황제에게 바친 목숨 : 이반 수사닌』

  3. 러시아,푸쉬킨 박물관

  4. 러시아,볼쇼이 극장(신관)

  5. 러시아,국립 트레챠코프 미술관(The State Tretyakov Gallery)

  6. 러시아,크레믈린

  7. 아일랜드,축제

  8. 아일랜드,언론/방송

  9. 네덜란드,언론매체

  10. 네덜란드,의료제도

  11. 네덜란드,사회 / 문화

  12. 이탈리아,사회보장제도

  13. 이탈리아,언론 및 방송

  14. 스페인,언론매체

  15. 스위스,언론매체

  16. 오스트리아,레져 및 문화생활

  17. 오스트리아,영화관 안내

  18. 오스트리아,2006 비엔나 필름 페스티발

  19. 오스트리아,모짜르트 250주년 기념행사

  20. 오스트리아,문화교류의 가교, ‘한·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1. 폴란드,종교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Next ›
/ 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