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출中企 ‘엔·달러 환율, 마지노선 넘어서’

by eknews posted May 3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수출中企 ‘엔·달러 환율, 마지노선 넘어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정 엔·달러 환율선이 무너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엔화 약세가 지속되어 달러당 엔화값이 110엔에 이를 경우 중소기업 총수출이 14.4%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출 중소기업 500여개사를 대상으로 ‘엔화약세에 따른 수출중소기업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엔·달러 환율 마지노선은 101.1엔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22일 기준 엔·달러 환율이 102.5엔까지 오른 만큼 상당수 수출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97.7엔), 석유화학(99.6엔), 자동차·부품(99.7엔), 정보통신기기(100.3엔), 음식료·생활용품(100.7엔), 섬유·의류(100.9엔), 고무·플라스틱(101.1엔), 가전(101.3엔) 등 대다수 업종의 환율 마지노선이 붕괴됐고, 철강(103.0엔), 기계·정밀기기(103.2엔), 조선·플랜트(103.5엔)도 마지노선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엔화값이 110엔에 이를 경우 중소기업 총수출은 14.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음식료·생활용품(-26.5%), 고무·플라스틱(-20.5%), 반도체·디스플레이(-20.0%)의 수출이 20%이상 급감하고, 철강·금속(-18.6%), 조선·플랜트(-13.6%), 자동차·부품(-12.5%) 등도 10% 이상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의는 “원화상승과 엔화하락이 겹치면서 세계시장에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어 수출시장을 일본기업에 빼앗기고 있다”며 “내수가 침체된 상황에서 수출마저 부진하여 중소기업의 체감경기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수출불안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엔저현상(32.8%)이 첫 손에 꼽혔다. 이어 미국경기 둔화 (27.6%), 유가·원자재가격 상승(25.9%), 유럽재정위기(25.3%), 중국 경기둔화(19.3%), 신흥국 경제둔화(9.9%),보호무역주의 확산(6.9%)등이 차례로 꼽혔다. 

엔화 약세 지속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42.2%),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39.2%),결제통화 변경(25.4%), 해외마케팅 강화(22.8%), 환헤지 등 재무적 대응(10.8%),품질 향상 및 디자인강화(9.5%)순으로 응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아베노믹스로 촉발된 글로벌 환율전쟁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은 마땅한 대응책을 찾지 못한 채, 정부의 환율대책이 마련될 것을 고대하고 있다”며 “기업은 지금부터라도 환율변동을 일시적 변수가 아닌 상수로 삼아 적극 대응하고, 원가절감 노력과 기술개발을 통해 비가격 경쟁력 향상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정보영 기자
   eurojournal1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