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우(不遇)하다는 말은 재능이나 포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를 만나지 못하여 출세를 못하거나 살림이나 처지가 딱하고 어려운...

by eknews15  /  on Jul 07, 2013 16:23

불우(不遇)하다는 말은 재능이나 포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를 만나지 못하여 출세를 못하거나 살림이나 처지가 딱하고 어려운 것을 말합니다. 불우이웃을 돕는다 할 때는 대개 후자의 경우입니다.

원시시대의 불우한 이웃은 사냥하다 다치거나 병이 들어서 사냥을 할 수 없는 이웃일 겁니다. 사냥을 못하니 끼니를 거르게 되고 사냥한 짐승의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지 못하여 의식주(衣食住)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이웃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그리고 다른 부족과의 전쟁에서 남편을 잃고 어린 아이들을 데리고 살아가기가 막막한 아낙네와 아이들도 불우한 이웃입니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신분의 구분이 엄격해지고부터는 사회적으로 천한 신분이어서 물질적으로 궁핍하고 사회적으로 천대받고 사는 사람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궁핍하다 보니 먹는 것, 입는 것, 살림살이도 부실하고 충분한 교육을 받을 기회도 없어서 가난과 천한 신분을 대물림하는 사람들,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다 보니 늘 병고(病苦)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인지(認知)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複雜)다기(多岐)해 져서 지적(知的)으로나 물질적(物質的)으로 풍요로운 시대에는 지식(知識)과 부(富)를 가지지 못한 자는 이웃과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핍박을 받습니다. 아는 것이 힘이고 부를 가지면 권력과 명예가 따르는데 아는 것이 없어서 힘도 없고 부를 가지지 못하여 권력과 명예도 없는 사람들이 사회적 약자인 불우한 이웃입니다.

한 때 종교가 전부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 시절에는 성직자들이 가장 명예로운 지위를 누리고 존경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신앙이 절대 우위였기 때문에 신앙의 교리를 어기면 왕도 파문(破門)을 당하고 신앙의 교리와 맞지 않으면 과학적 진실도 부정되었습니다. 종교재판에서 마녀로 판정되면 산채로 불에 태워죽이기도 하였습니다. 종교의 이름으로 이교도(異敎徒)를 내쫓아 죽이고 이교도와 전쟁도 일으켰습니다. 이렇게 종교가 개인의 삶과 사회와 국가를 지배하던 시절에는 신앙적으로 무지하거나 경전을 정통 교리와 다르게 아는 사람을 불쌍한 사람이라고 하였을 것입니다.

인간 완성을 이루게 되는 우주의 한 때에는 인간 완성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완성의 때가 도래하였음을 모르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완성의 때가 되었다고 말해주어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완성을 이루는 것을 보고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람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완성의 때를 모르고 기다리기만 하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되게 하지는 못하고 말로만 떠드는 엉뚱한 곳에 매여 있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살아서 이루지 못하고 죽어서 이루어진다고 믿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인간의 멍에와 짐을 벗겨주지 못하고 말만 하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화석화(化石化)된 경전의 해석에 매여서 진리를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진리를 찾아 나서지 못하게 하는 사람이 불우한 이웃입니다.

더 보기 :
List of Articles
Copyleft © The Sketch Book Since 2001. by hikaru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