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혼전임신,‘계획임신 중요’
요즘 결혼하는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임신 상태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있다. 이른바 ‘속도위반’으로 불리는 혼전임신이지만, 고령 결혼과 난임부부가 많아져 혼전임신이 일반화되면서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인정되는 추세로 변한 것이다.
따라서, 미리 측근에게 임신상태를 밝히고 웨딩드레스를 고르거나, 태아의 안전을 위해 가까운 곳으로 신혼여행을 떠나고, 혼수와 육아용품을 한꺼번에 장만하는 부부들도 늘고 있다.
실제로 미리 임신계획을 세운 임신부는 임신이 확인되지 않은 임신 초기에도 기형 유발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절반 가량 낮다.
국내 한 병원에서 임신부 1354명을 대상으로 기형 유발물질과 계획 임신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임신을 미리 계획한 임신부(697명)는 알코올, 약품, 흡연, 방사선 등에 노출된 비율이 38.3%로, 그렇지 않은 임신부(657명)의 77.3%에 비해 절반 수준이다.
이에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일생 동안 출산하는 자녀의 수가 한 두 명에 그치는 만큼, 건강한 2세의 출산을 위한 계획임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조병구 총무이사는 “계획임신은 원하는 시기에 자녀를 갖고 출산하기 위한 것으로, 부부의 건강과 재정적인 면을 사전에 검토하고 미리 준비할 수 있어 건강한 자녀의 출산과 양육에 훨씬 유리하다. 임신을 계획했다면 산부인과의 임신 전 검진을 미리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풍진이나 A형, B형 간염 등 바이러스 질환, 부지불식간에 감염될 수 있는 성 전파질환 등에 대한 검사와 임신 중 겪기 쉬운 빈혈 여부, 태아가 열 달 동안 자라날 자궁과 난소, 골반 장기 등에 이상은 없는지 초음파 검사로 태내 환경 이상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다.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는 고혈압, 당뇨 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이 없는지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미리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임신 계획을 세우면 임신 3개월 전부터 엽산제와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제를 미리 복용해 태아의 신경관 결손과 철 결핍성 빈혈 등도 예방할 수 있다.
조병구 총무이사는 “금주, 금연은 물론,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식습관 조절 등으로 미리 몸을 만들어 둔 예비엄마라면 태아가 건강하고 똑똑하게 자랄 뿐 아니라, 출산을 수월하게 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신생아 100명중 2.1명은 ‘혼외출생’
한편, 혼외관계에서 태어난 아이가 지난해 1만명을 넘은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2년 혼외출생 아기가 전년보다 1.9%(185명) 증가해 1만144명으로 1981년 9741명 이후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혼외 출생아는 저출산 영향을 받아 1997년 4196명으로 감소했으나 2000년 이후 연간 5000명을 계속 웃돌고있다.
혼외출산 비율은 2.1%로 지난해 1만명을 넘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낮은 수치다.
동거출산이 보편화된 유렵의 경우 혼외 출생자 비율이 1990년 17.4%에서 2011년 39.5%로 대폭 증가할 정도로 혼외출산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가별로 봐도 슬로베니아 57%, 불가리아 56%, 프랑스 56% 등 절반 이상의 아기가 혼외출산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의 경우 혼외임신이 낙태로 이어지거나 출산이후 버려지는 경우가 있어 실제는 더 많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5년 미혼 여성의 연간 인공임신중절 시술 건수 14만3918건은 전체 중절 건수 34만2433건의 42%를 차지한 바 있다.
유로저널 사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