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9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We can love completely without complete understanding.

“완전한 이해 없이도 우리는 완벽하게 사랑할 수 있습니다.

 

내가 참 좋아하는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A River Runs Through It)’에 나오는 대사의 일부분이다.

 

우리는 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사랑하기조차 거부한 채 마음의 벽을 쌓고 지낼 때가 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마음의 벽은 오히려 가까운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더 많이 쌓이곤 한다.

 

그것은 아마도 그렇게 가까운 관계이고 사랑하는 관계인 만큼, 상대방에게 실망하거나 원망하게 되는 감정의 골 역시 더욱 깊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 주 수요일(18) 자정 무렵, 한국 시간으로는 19일 추석날 아침에 한국에 계신 할아버지께 안부 전화를 드렸다.

 

일 년에 고작 두 번, 추석과 설날에만 전화를 드려서 간단히 안부 인사만 드리는 나로서는 그저 죄송할 따름인데, 할아버지께서는 연신 전화줘서 고맙다는 말씀을 하셨다.

 

요즘에는 건강이 많이 안 좋아지셔서 독한 술(양주나 안동소주)은 못 드시고, 맥주 정도만 간신히 드신다고 하셨다.

 

그래서, 할아버지께서 건강하실 때 제가 술도 좀 따라드리고 했어야 했는데 정말 죄송하다고 말씀드렸다.

 

할아버지와 불과 1~2분 가량의 짧은 시간 동안 이 몇 마디 안 되는 대화를 나누면서도 어찌나 울컥하던지, 안 그래도 할아버지와 통화하기 전에도 마음이 너무 아픈 상태였기에, 이래저래 도저히 맨 정신으로는 잠자리에 들기 어려울 것 같아서 결국 나는 다음 날 출근을 앞두고도 새벽 늦은 시간까지 혼자 술잔을 기울이며 뜨거운 눈물을 쏟았다.

 

사실, 나는 사리분별이 어느정도 가능해지기 시작한 청소년 시절부터 할아버지를 좋아하지 않았던 것 같다. 더 솔직히는 할아버지를 싫어했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그 당시에는 나름대로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고, 그러다 보니 어쩌다 할아버지를 뵈도 그저 형식적일 뿐이었다.

 

할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고, 원망도 많이 했다. 사실, 할아버지가 나에게 잘못하신 것은 전혀 없었다. 오히려 늘 용돈도 많이 주시고, 참 잘 해주셨다. 그럼에도 왜 그 때는 그렇게 마음의 벽이 쌓여만 갔는지...

 

할아버지는 매사에 철저하고 정확한 시계 같은 분이셨다.

 

우리 전씨 집안은 집안 대대로 술을 참 좋아했고, 할아버지도 매 식사 때마다 반주로 독한 술을 한 잔씩 드셨는데(심지어 아침 식사 때도), 정말 딱 한 잔씩만 드셨고 음식도 소식하셨다.

 

절제 없이 과음을 하면 알콜중독이 되고 몸이 망가지지만, 수십 년을 그렇게 철저히 절제하시면서 술을 즐기신 할아버지께는 그야말로 약주였던 셈이다.

 

그리고, 할아버지는 수십 년 동안 늘 정해진 시간에 식사, 후식, 산책을 하셨다. 하루 일과를 마치 기계처럼 정확히 관리하셨던 것이다.

 

어렸을 때는 몰랐는데, 지금 이렇게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해보니 할아버지의 그런 시계 같고 지독하리만치 철저한 면이 할아버지가 몸 담으셨던 은행권과 잘 맞았고, 그래서 할아버지께서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던 것 같다.

 

솔직히 나는 할아버지의 그런 시계 같은 철저함과 절제를 닮지 못했다. 나는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성적이고, 충동을 잘 절제하지 못하며, 기분을 따라 막 나가는 경향이 있다.

 

할아버지는 그런 철저함과 절제 덕분에 고령이 되셔서도 나름대로 건강을 잘 유지해오셨는데, 그래도 나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인지, 그렇게 평생 좋아하셨던 술도 이제는 예전처럼 드시기가 어려워져서 겨우(?) 맥주 몇 모금만 드시기에 이르렀다.

 

아쉽게도 나는 그렇게 술을 좋아하시는 할아버지와 제대로 술 한 잔 해본 적이 없다. 그리고, 지금은 그게 너무나 아쉽고 후회된다.

 

갑자기 할아버지가 막 이해되고 좋아진 것은 아닌데도, 까닭 모를 그 무엇이 지난 시절 할아버지를 원망하고 싫어했던 내 마음의 벽을 허물었고, 오히려 할아버지를 향해 애틋한 마음이 들도록 했다.

 

하지만, 이제는 정작 할아버지께서 술을 잘 못 드시고 내가 영국에서 살다보니, 할아버지께 술 한 잔 따라드리기가 현실적으로 너무나 어려워졌다.

 

결국, 시간이 흐르면 이렇게 눈 녹듯 허물어질 그 부질없는 마음의 벽으로 인해 지난 세월을 야속하게 흘려보낸 셈이다.

 

해바라기의 노래 어서 말을 해의 가사 미워하면 무슨 소용 있나, 가고 나면 후회할 것을처럼, 결국은 세월이 흐르면 좀 더 사랑하지 못했던 것을 후회하게 될텐데.

 

그럼에도 우리는 그저 지금 이 순간 내가 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용납하지 못해서, 그 사람이 내 뜻대로 따라주지 않고 실망시킨다는 이유로 마음의 벽을 쌓고 살아간다.

 

완전한 이해 없이도 완벽하게 사랑할 수 있는 것인데, 비록 나의 기준에는 실망스럽고 원망스러울 지라도 그저 상대방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바라봐주고 격려해주면서 얼마든지 사랑할 수 있는 것인데...

 

정말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면 결국 그 마음의 벽은 세월이 흐르면 허물어지기 마련인데, 그렇다면 조금이라도 더 일찍 그 마음의 벽을 허무는 게 좋지 않을까?

 

사랑만 하면서 지내기에도 너무나 짧은 인생인데, 사랑하는 사람들끼리라도 서로 사랑하고 격려하지 않으면 너무나 외롭고 고단한 세상살이인데...

유로저널광고

  1. 전성민의 '서른 즈음에' - 필자 소개

  2. No Image 06Jan
    by eknews03
    2014/01/06 by eknews03
    Views 1910 

    2007~2014

  3. 2013년의 끝자락에서

  4. 올해의 마지막 이야기

  5. 1월이 오지 않는 12월

  6. 해외진출 성공 스토리 최우수상

  7. 다시 찾은 스웨덴 (2) 잊지 못할 무대

  8. 다시 찾은 스웨덴 (1) 첫 인상이 틀릴 수도 있다

  9. No Image 12Nov
    by eknews03
    2013/11/12 by eknews03
    Views 1556 

    좋은 것을 경험할수록 오히려 그리워지는 건...

  10. 노장은 죽지 않는다

  11. No Image 21Oct
    by eknews03
    2013/10/21 by eknews03
    Views 1832 

    영국 9년차

  12. No Image 14Oct
    by eknews03
    2013/10/14 by eknews03
    Views 1625 

    갑작스레 찾아오는 찬바람에

  13. No Image 07Oct
    by eknews03
    2013/10/07 by eknews03
    Views 2232 

    Good Samaritan

  14. 비엔나에서의 하룻밤

  15. No Image 24Sep
    by eknews03
    2013/09/24 by eknews03
    Views 1985 

    세월이 지나면 허물어질 마음의 벽

  16. 런던,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의 꿈이 이루어지는 곳

  17. No Image 10Sep
    by eknews03
    2013/09/10 by eknews03
    Views 2464 

    한국을 탈출하려는 한국 젊은이들

  18. 20년 만에 다시 만난 공룡들

  19. No Image 26Aug
    by eknews03
    2013/08/26 by eknews03
    Views 1879 

    생긴 대로 살리라

  20. No Image 20Aug
    by eknews03
    2013/08/20 by eknews03
    Views 2071 

    음악 학원, 미술 학원이 사라지는 시대

  21. No Image 12Aug
    by eknews03
    2013/08/12 by eknews03
    Views 1950 

    어른의 탈을 쓴 어린이들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 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