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제조업 경쟁력 강화로 유럽 경제 버팀목 역할

by eknews posted Oct 22,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독일, 제조업 경쟁력 강화로 유럽 경제 버팀목 역할

제조업 기반이 튼튼한 독일은 2008년 금융위기이후 빠른 경제 회복력을 보이며 유로존의 버팀목이 되어 왔다. 

독일 제조업은 유럽 총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차지할 뿐만이 아니라 유럽 총 상품 수출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은 자동차, 기계 등 산업에서 1990년 이후 세계 수출 1위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스탠다드로 인식되고 있다. 

TOP 5 수출 시장에 대한 집중도도 독일은 2012년 기준 36.0%로 이탈리아 47%, 프랑스 44.4%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그만큼 지역 경제상황에 따른 리스크를 줄였다. 

독일의 제조업에 기반을 둔 상품 수출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1.8배 증가하면서 1조 유로를 넘어 최고치를 기록하였고,유럽 총 상품 수출의 1/4를 차지하며, 세계 1위 기업도 1,300여개에 달한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011년 이후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제조업 수출 부문의 성과는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3위를 기록하는 높은 기술력을 갖춘 1,300여개의 히든 챔피언에 기인하고 있다는 평가이다.

독일 제조업은 고용 비중이 높고 고부가가치화가 진전되어 있다. 

독일 제조업에 고용된 인원은 2012년 기준 727만명으로 총 고용의 17.5%로 높고 2000년 대비 하락폭도 가장 작았다. 제조업의 1인당 노동 생산성도 2012년 기준 73,500유로로 이탈리아, 프랑스 대비 높고 독일 전 산업 평균인 57,400유로와 비교했을 때 고부가가치화 되어 있다. 

이로인해 독일 제조업은 유럽 총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차지한다.

독일의 비중은 2000년 26.9%에서 꾸준히 상승하며 2012년 30.4%로 3.5%p 높아진 반면, 이탈리아, 프랑스 등은 비중이 하락했다. 각 국의 총 부가가치 중 제조업 비중도 독일은 2000년 이후 22%대(글로벌 금융위기 제외)로 높게 유지된 반면 다른 국가들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독일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인 

독일의 제조업 경쟁력이 높게 유지되는 비결에 대해 현대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첫째, 시장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우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시장 다변화에 성공했다.

둘째, 인적 자본 측면에서는 낮은 노동비용 상승세와 현장 실습형 직업 교육을 통해 인력의 효율성은 높이고 인력 수급의 미스매칭은 낮췄다. 독일 제조업의 단위노동비용 지수는 2011년 97.5(2002=100)로 이탈리아 122.4, 스페인 111.9에 비해 노동 비용 상승세가 낮았다. 

또한, 독일의 현장 실습형 직업 훈련 프로그램은 취업자 중 대학이상 학력자가 2012년 기준 28.9%로 스페인 39.5%, 프랑스 35.2%, 영국 39.9%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노동 생산성은 꾸준히 향상되었다. 

셋째, 혁신 부문에서는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와 함께 기술 허브 구축이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리스크는 낮추고 성과는 높이고 있다. 독일의 연구개발 지출 규모는 2011년 930.6억 달러(PPP 기준)로 유럽 내 1위이다.

특히,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자동차, 기계 등 주요 5개 산업의 기업들도 R&D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한다. 기술 허브는 각 지역에 소재한 약 300여개의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R&D 투자가 상품 개발과 혁신으로 연결될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독일의 혁신기업 비율은 약 83%로 이탈리아 59.2%, 프랑스 56.1% 등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프라에서는 상품 교역의 용이성을 높이는 최상의 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세계은행의 물류성과 지수에 따르면, 독일은 인프라 부문 세계 1위, 전체 물류 부문 세계 4위로 평가됐다. 또한, 제조업의 특성상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과 기업 대출은 신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와 지역 기반 금융을 통해 제조업체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 측면에서도 설비투자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FDI 자금의 유입 등으로 투자의 지속성을 높인다. 

독일은 설비투자 증가율은 2004~2012년까지(금융위기인 2009년은 제외) 평균 5.3%로 이탈리아 2.5%, 영국 2.6%에 비해 높았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독일 제조업으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자금도 404.2억 달러(2009-2011년)로 2001년 이후 유입된 규모의 68%에 달할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독일 유로저널 김지웅 기자
                        eurojournal0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