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유통기업 해외법인 매출, 지난해보다 40% 올라

by eknews posted Dec 17,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유통기업 해외법인 매출, 지난해보다 40% 올라

국내 유통기업의 해외법인 매출이 꾸준히 늘면서 올해 해외법인의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39.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 발표에 따르면 해외법인 매출은 상의가 첫 조사를 한 2010년 17.2% 오른 것을 시작으로 2011년 24.2%, 2012년 32.7%, 올해 40% 가까이 늘며 4년 연속 상승하고 있다. 
이같은 매출성장세를 바탕으로 유통기업 10곳중 8곳이 ‘내년에도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하겠다’(82.3%)고 답해, 유통기업의 해외영업 성장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경영실적에 대해서(복수응답)는 과반에 육박하는 기업들이 흑자경영 가능(48.4%),손익분기점 근접(38.7%), 적자경영 예상(12.9%)로 응답되었고,  흑자를 예상하는 이유로 매출증가(73.3%), 한국상품 선호도 증가(33.3%), 현지시장 신뢰획득(26.7%), 마케팅 및 홍보강화(26.7%), 이익률 개선(23.3%) 등이 차례로 꼽혔다. 
한편 유통기업들이 가장 많이 진출한 국가(복수응답)는 중국(80.6%),미국(41.9%), 일본(30.6%), 베트남(25.8%), 인도네시아(17.7%) 등의 순으로 진출기업이 많았다.

향후 유망국가를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도 중국(53.2%)이 첫 손에 꼽힌 가운데 베트남(37.1%), 인도네시아(35.5%), 말레이시아(17.7%) 등 동남아 국가가 유망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시장이 유망하다고 보는 이유로는 거대 시장규모(72.6%), 한국상품 선호도 증가(53.2%), 우호적 시장 환경(17.7%), 높은 경제성장률(16.1%) 등을 언급했다. 
현지에서 겪는 애로요인 (복수응답)으로는 현지 유통망 구축(56.5%)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인력관리(45.2%),법적·행정적 규제(45.2%), 현지정보 부족(22.6%), 마케팅 활동(22.6%), 자금부족(17.7%) 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실제, 해외시장 진출 성공요인을 살펴본 결과, 대기업은 ‘철저한 현지화’를 가장 많이 꼽았으나 중소기업은 상품차별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며 “대기업은 주로 대형종합소매업 형태로 진출하여 해외시장에서 규범적·비규범적 규제의 대상이 되기 쉬운 반면, 중소기업은 화장품, 프랜차이즈 등의 분야에서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통해 진출하고 있어 현지 적응이 더 빠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경종 원장은 “국내 경제가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하면서 제한된 내수시장을 넘은 해외시장 진출은 우리 유통기업에게는 피할 수 없는 과제다”며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통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서만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정보영 기자
  eurojournal1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