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건설 산업, 지난해 '경쟁력' 세계 7위 유지

by eknews posted Jan 1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 건설 산업, 지난해‘경쟁력’ 세계 7위 유지

국내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관련국 21개 국가 중 7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별 건설 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 결과 3년 연속 미국이 1위, 중국이 2위를 차지하였고, 독일·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3~6위, 한국은 2012년과 동일한 7위를 차지하여 미국과 유럽의 강세가 지속되었다. 
세부지표인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지표 평가결과 2012년에 이어 중국이 1위, 미국이 2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8위를 기록, 2011년 11위, 2012년 10위에 이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건설인프라 경쟁력의 순위상승은 세부지표 중 건설시장 성장률의 비약적 상승(2012년 16위에서 2013년 8위) 및 우수한 건설리스크 관리 환경(2년 연속 4위)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한편, 건설시장규모·건설제도·인프라 분야는 10위, 시장안정성 부문은 13위로 중위권 수준을 형성하여 향후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세부지표인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결과에서는 미국이 작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2년 연속 7위를 유지하였다. 
세부지표별로 살펴보면 시공경쟁력은 해외매출액이 전 분야에 걸쳐 큰 성장세를 보이며 순위가 상승(2012년 8위에서 2013년 4위)하였으나, 설계경쟁력 평가에서 전력과 상수도 분야 해외매출액 저하로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순위가 하락(2012년 10위에서 2013년 19위)하여 전체적으로는 동일 순위를 유지했다.
이에따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기술력 확충과 시장개척을 위한 R&D 투자 확대 및 건설기술관리법 전면개정을 통한 건설기술진흥법 시행을 통하여 건설제도 보완 및 설계 경쟁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013년 해외건설 수주 누계 6000억불 돌파

한편,1965년 태국에 첫 진출한 이래 48년만에 해외건설 수주 누계액이 6000억불을 돌파하는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로써,우리 기업들의 세계 건설 시장 점유율은 2007년 4.8%로 세계 13위에서 2012년 8.1%를 차지해 세계 6 위를 기록했다. 
해외 건설 누적 금액면에서 볼 때 중동이 3477억불로 가장 많고, 이어 아시아가 1783억불,중남미 244억불,아프리카 181억불, 기타 332억불을 기록했다.
공종별 공사 계약 현황을 살펴보면 과거의 토목 공사에서 그 수준이 한층 높아져 산업설비가 3320억불(55.3%)로 가장 높고,건축 1300 억불(21.7%),토목 1161억불(19.4%),전기 122억불(2%),용역 79억불(1.3%),통시 29억불(0.5%)을 차지했다.


한국 유로저널 이준동 기자
  eurojournal10@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