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31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우리나라 기자의 프랑스 와인 기행 2


 와인생산자, 그 투박한 손과의 만남.


 

35“Salon des Vins des Vignerons Indépendants” 행사가 지난 11 28일부터 12 2일까지 5일 동안 Paris Expo Porte de Versailles에서 열렸다



35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독립 와인 생산자들이 자신들이 생산한 와인을 일반 소비자들과 전문인 중간 판매자에게 직접 소개하고 판매하는 만남의 장 및 판매의 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6유로의 입장료가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골 와인 가게에서 받거나, 신문에서 오려온 초대권을 이용하여 무료로 입장한다



입장권이나 초대권을 이용하여 등록하고 시음용 와인잔을 받은 후 행사장에 들어서면 먼저 엄청난 숫자의 부스에서 와인을 따라주는 생산자들과 시음을 하는 사람들과 마주하게 될 것이다



대규모 시음회의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라면 어디에서부터 뭘 해야 할지 몰라 당황스러울 수도 있다



그래서 당황하지 않고 이 축제를 더 잘 즐길 수 있는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사진1.JPG

사진 1.

 


우선 와인을 잘 모르지만 알고 싶은 마음이 있는 사람이라면 보르도, 부르고뉴, , 샹파뉴, 루아르, 알자스 등의 대표 산지별로 한 부스씩 찾아가 시음하는 방법을 권한다



친절하게 산지별로 다른 색상의 피켓이 부스별로 꽂혀 있다. 이렇게 시음을 해 본다면 프랑스 대표 산지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고, 그 느낌을 기억할 수 있다면 다음에 레스토랑에서 와인을 주문하거나 마트에서 와인을 살 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기왕 한두 곳만 갈 거, 좀 더 잘 만드는 와인을 마셔보고 싶다면 콩쿠르 메달 수상 현황이 적혀

있는 게시판이나 팸플릿을 참조하자



이 콩쿠르는 “Des Vignerons Indépendants”에서 직접 주최하는 것으로 매년 다수의 전문인 그룹과 일반인 그룹이 함께 블라인드 테이스팅을 한 결과에 바탕을 둔 것이기에 개개인의 평가보다는 아무래도 좀 더 객관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사진2.JPG

사진 2.


 

다음으로 프랑스 와인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자신이 선호하는 와인 스타일을 알고 있는 경우라면 자신이 좋아하는 산지를 위주로 시음하면서 평소에 궁금했지만 흔치 않고 가격도 비싸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스타일의 와인을 조금씩 마셔보는 방식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부르고뉴 지방 와인을 집중적으로 시음하고 마지막에 몇몇 독특한 산지의 와인들을 경험한다면 부르고뉴 각 세부 산지별 느낌까지 상당히 깊이 있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고, 거기에 쥐라(Jura), 칼바도스(Calvados), 아르마냑(Armagnac) 등에 대한 감상은 별책부록으로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와인을 좀 더 알고 싶은 마음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프랑스어를 좀 알아들을 수 있다면 하루에 세 번씩 열리는 무료 시음 강의를 들어보는 것도 권할만하다



강의는 약 50분 동안 진행이 되는데, 프랑스 와인 산지와 품종, 그리고 와인 양조에 대한 개괄 등의 기본 설명을 한 후 두 세 종류의 와인을 직접 맛보며 효과적인 시음 방법 및 표현 방식을 알려준다



현재 파리에 있는 이와 같은 방식의 1일 교육 프로그램 비용이 30만 원이 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시간이 가능하다면 한 번 들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

 

다음으로 그날 하루를 즐겁게 보내고 싶다면 와인과 잘 어울리는 음식들과 함께해 보자



시음장에는 와인 생산자뿐만 아니라 각종 치즈, , 푸아그라 등 프랑스 전역의 특산 음식들을 파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각각의 음식을 구입해서 바로 즐길 수도 있는데, 특히 지금이 제철인 신선한 굴을 부르고뉴의 마을 단위 급 샤블리나 루아르의 뮈스카데와 같은 가볍고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과 곁들여 즉석에서 함께 먹으면 맛이 아주 그만이다. 아쉽지만 초고추장은 없다.



 

사진3.JPG

사진 3.


 

하지만 위의 모든 방식은 와인을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왔을 때 해당하는 것이고, 만약 와인에 별로 관심이 없는 여자친구, 아내와 함께 온 육식남의 경우라면 무조건 그녀들이 원하는 대로 하자



그것이 시음장에 좀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자 평화를 지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만약 분위기에 취해 지루해하는 그녀들을 이리저리 끌고 다닌다면 1월에 있을 백화점 세일 때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두렵지들 않으십니까?"


 

이 행사는 이름 그대로 독립생산자들의 시음회이다. 헐리우드 블록버스터와 독립영화가 다르듯이 이곳은 보르도나 부르고뉴의 수퍼스타들을 만날 수 있는 자리는 아니다



그렇다 보니 어떤 사람들은 누구나 알만한 아주 유명한 와인이 나오지 않아서 실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음회가 매력적인 것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만나서 맛을 보고 구입할 수 있기에 합리적인 가격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와인을 골라서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큰 카트에 자신들이 마실 반년치 와인을 사가는 아줌마, 아저씨들이 뭘 몰라서 저렇게 많이 사는 것이 아니다.


 

사진4.JPG

사진 4.


 

또 다른, 어쩌면 더 근본적인 매력은 각각의 와인을 만든 수많은 생산자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서, 그들이 직접 따라 준 와인을 마시며 그들과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시음회에는 이름있는 샤토와 도멘의 양복을 차려입은 잘 생긴 영업담당자와 만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옆집에 사는 이웃과 같은 평범한 모습의 생산자들을 만날 수 있다



그들이 우리 옆집의 이웃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그들이 투박한 손을 지닌 진짜 농부라는 것이다. 그 거친 손과 악수를 하고, 그들과 이야기를 나눈 후 마신 와인은 더 이상 그전의 것이 아닐 것이다



아마도 그들의 와인을 더 잘 이해하게 됐을 것이다



왜냐하면, 와인은 그 와인을 만든 사람과 닮았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는 와인뿐만 아니라 사람도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즐거운 축제를 안전하게 마무리 하기 위해 거쳐야 할 것이 하나 있다




출구로 나가는 구석에 사람들이 줄을 서서 뭔가를 하고 있기에 가 봤더니 그것은 다름 아닌 음주 측정기였다



물론 무료이다



이 얼마나 건전한 시음회인가선진화를 위한 도입이 시급하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5
2238 최지혜 예술칼럼 "Stop Everything! And just Be!" file 편집부 2020.10.27 971
2237 최지혜 예술칼럼 "시간으로 존재하지 않고, 오직 회화만 존재한다.” (시그마 폴케3) file 편집부 2022.04.04 176
2236 최지혜 예술칼럼 'Surrealism Beyond Borders'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1) file 편집부 2022.03.11 103
2235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가정의 달' 5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file 편집부 2020.05.04 2798
2234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봉 마르셰 에피세리' 슈퍼마켓을 찾아서 file 편집부 2019.04.03 1313
2233 유로저널 와인칼럼 '신들의 음료', 쌩떼밀리옹 그랑크뤼 시음회 file eknews 2016.06.07 3307
2232 최지혜 예술칼럼 '일단 유명해져라, 그렇다면 사람들은 당신이 똥을 싸도 박수를 쳐 줄것이다.' file 편집부 2018.10.14 1450
2231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호국보훈의 달' 6월에 전하는 평화의 선율 file 편집부 2020.06.16 2092
2230 조성희의 마인드 파워 칼럼 1. 사람은 생각대로 된다 (We become what we think about) file 편집부 2019.01.15 1290
2229 아멘선교교회 칼럼 1. 인류의 첫 사람,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 file 편집부 2020.02.24 993
2228 조성희의 마인드 파워 칼럼 10. 미치도록 사랑해보았는가? 인내심은 사랑이다. (Persistence is Love) 편집부 2019.03.26 994
2227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거주 영주권 신청과 배우자비자 eknews 2013.09.26 3888
2226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YMS와 EEA퍼밋 eknews 2014.10.21 2766
2225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거절과 이후 비자 방법 eknews 2016.07.19 2446
2224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거절과 추방 eknews 2017.06.27 5985
2223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비자단절과 해외체류 문제 eknews 2015.11.08 2652
2222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신청시 체류기간 부족한 경우 eknews 2016.05.03 2497
2221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과거 비자연장 리턴되어 한국 간 경우 eknews 2014.08.12 3158
2220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교환학생 기간 어떻게? eknews 2015.07.14 2796
2219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도중에 비자문제 있는 경우 eknews 2015.02.10 247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