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결혼하면 맞벌이하고 결혼 후 경제권은 아내에게 맡겨

by eknews posted Mar 0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결혼하면 맞벌이하고 결혼 후 경제권은 아내에게 맡겨 

939-사회 3 사진.jpg

미혼 직장인 10명 중 9명은 결혼 후 맞벌이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미혼 직장인 1,362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맞벌이 계획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인용한 데이타뉴스에 의하면 89.5%가 ‘맞벌이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남성(90.2%)뿐 아니라 여성(88.8%)도 대부분이 맞벌이를 원하고 있었다.

맞벌이를 하려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되기 위해서’(66.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서 외벌이로는 생활비가 부족해서(49.5%), 각자 자아실현을 위해서(39.7%),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32.6%), 내 집 마련 등 목돈 드는 곳이 많아서(31.7%), 서로를 더욱 이해할 수 있어서(2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반면 맞벌이를 하지 않으려는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자녀 양육, 뒷바라지가 더 중요해서(52.4%, 복수응답),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어려워서(35%), 회사생활로 인한 스트레스가 커서(28%), 가사가 더 중요해서(26.6%) 등을 들었다.

결혼 후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것에 대해서는 남성(70.8%)이 여성(48.3%)보다 부모님을 모시고 살 의향이 많았다. 또, 남성은 38.5%가 처가살이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나, 여성의 경우 시댁살이 의향이 있는 비율은 19.1%에 그쳤다.

결혼을 결심하게 만드는 배우자의 조건으로는 절반 이상(54.8%)이 ‘성격, 인성’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밖에 가치관(11.5%), 사랑(7.9%), 경제력(6.8%), 집안환경, 분위기(5%), 비전(3.2%), 직장(2.1%), 직업(2.1%) 등이 있었다. 

가정의 경제권은 아내에게 있다, 47.3%

한편,우리나라 부부의 경제권은 절반에 가까운 47.3%가 아내에게 있고 남편이 관리하는 경우는 13.0%에 불과했다.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워킹맘뿐만 아니라 집에서 살림하고 있는 전업주부인 경우조차 경제권을 아내에게 맡겨두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당연히 돈 관리는 여자가 해야 한다'는 응답이 58%로 가장 많았다.
부부 가사분담의 경우는 48.5%가 아내가 한다고 답했으나, 여자가 연상, 남자가 연하일 때 가사분담이 가장 잘 되고, 남자가 연상이고 여자가 연하일 때 아내가 가사 일을 거의 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몰래 비자금을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남편(37.7%)보다 아내(44.8%)가 더 많이 비자금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답했다. 비자금이 필요한 이유는 64%가 ‘배우자 모르게 돈을 쓸 일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서’라고 답했다.





유로저널 사회부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