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 바이오산업,연평균 12% 성장에 생산규모 7조원 돌파

by eknews posted Mar 0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국내 바이오산업,연평균 12% 성장에 생산규모 7조원 돌파

국내 바이오 산업의 생산 증가율이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의 생산 증가에 힘입어 급증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의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2012년도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총 7조 1,292억원으로 2011년(6조 3,963억원) 대비 11.5% 증가하였으며, 2008년부터 지난 5년간 약 1.5배 수준으로 증가(4.5조원→7.1조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 년동안 연평균 증가율도 12.1%로 제조업 7.7%, 전자산업 9.7%에 비해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산업 분야별 생산 규모면에서는 바이오식품(40.3%)과 바이오의약(38.1%)이 전체의 78.4%를 차지했다.
생산 증가율로는 바이오화학(17.4%), 바이오식품(10.6%)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바이오화학이란 식물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바이오산업 수출규모는 2012년 3조 606억원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 년동안 연평균 12.6% 증가하여, 이 기간 연평균 수입 증가율 8.2%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수입의 경우는 2012년 한 해동안 1조 5,748억원으로 약 1조5천억 규모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액 및 비중을 살펴보면 사료첨가제(1조 2,819억원, 41.9%), 면역제제(3,247억원, 10.6%), 식품첨가물(2,321억원, 7.6%), 백신(2,023억원, 6.6%) 순이다. 바이오산업 내수규모는 2012년 5조 6,434억원으로 2011년(5조 2,081억원) 대비 8.4% 증가하였으며, 2008년(3조 7,551억원) 대비 50.3% 성장하였다.

바이오산업 기업투자는 20’12년 1조 5,455억원으로 2011년(1조 2,907억원) 대비 19.7% 증가했으며, 바이오의약의 비중(74.1%) 및 증가율(26.7%)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산업의 경우 2012년 종사인력은 연구(11,284명), 생산(11,924명)과 영업/관리(14,570명) 인력을 포함하여 37,778명으로 ‘11년(35,718명) 대비 5.8% 증가했으며, 연구·생산인력의 경우 박사(7.0%), 석사(25.9%), 학사(31.1%)로 고학력자 비중(64.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