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직장인들 모두 높은 수치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긍정적

by eknews posted Apr 01,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직장인들 모두 높은 수치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긍정적 

943-사회 1 사진.png

정규직 근로자 10명 중 7명은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전환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파인드잡이 25세~39세 정규직, 비정규직 남녀 1583명을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정규직의 70.8%, 비정규직의 72%가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전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선택제를 고려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업무시간보다 개인의 자기개발 시간에 더 투자하고 싶어서’가 절반 가까이(48.5%)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개인생활의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생활 중심자’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2위 ‘업무 스트레스로’(19.4%), 3위 ‘잦은 야근으로 개인시간이 없어서’(18.7%), 4위 ‘정규직과 업무 면에서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아서’(13.4%)라 답했다. 

시간선택제로 줄어드는 수입을 감수하고 얻게 될 가장 큰 혜택 1위로는 ‘취미 및 학업 투자가능’(44.4%)을 꼽았다. 다음으로 2위 ‘일상에 대한 가치향상’(25.1%), 3위 ‘육아 등 가족과의 관계 증진’(18.9%), 4위 ‘스트레스 감소로 건강증진’(11.8%)이라 답했다. 이를 통해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삶의 질을 높이는 또 다른 해법이자 돌파구로 여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시간선택제 근무에 대해 당당히 밝힐 수 있는지 여부를 질문한 결과, 대다수(87.9%)가 긍정적으로 답해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부정적 응답자는 12.1%에 그쳤다. 

또한, 시간선택제 선호도를 소득수준과 비교해본 결과, 연봉이 높을 수록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5000만원 이상’의 고연봉 직장인의 경우 시간선택제 일자리 희망자는 0%, 그 뒤를 이어 ‘3000만원 이상~3500만원 미만’은 3.3%에 그쳤다. 

반면, ‘2000만원 미만’은 전체의 73.1%가 선택하며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 외에 ‘2000만원 이상~2500만원 미만’은 11.9%, ‘25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은 11.2%의 분포를 보였다.

한국 유로저널 황윤시 기자
    eurojournal14@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