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3 Bordeaux – 1

 

"와인을 진지하게 음미하려면 클라레(Claret)를 마셔야 한다."

- 사무엘 존슨(Samuel Johnson)

 

세계적인 와인 평론가이자 강사인 캐빈 즈랠리(Kevin Zraly)가 그의 명저 와인 바이블(원제 : Windows on the World Complete Wine Course)’의 보르도(Bordeaux) 편에서 인용한 구절이다. 클라레는 영국인들이 보르도 와인을 지칭했던 단어로, 당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등 남쪽 나라의 진한 와인에 비해 색깔이 연해서 붙은 표현이다


18세기 영국의 문학가였던 사무엘 존슨의 이 표현은 당시 영국에서 보르도 와인이 차지하는 위치를 잘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사실 그 위치는 지금까지도 변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와인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프랑스, 그중에서도 보르도는 고급 와인의 대명사로 여겨질 것이기 때문이다.

 

앞에서 이야기 한 바와 같이, 보르도 와인은 예로부터 특별히 영국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아왔다. 왜 그랬을까? 단지 그들 입맛에 잘 맞았기 때문일까? 여러 국가의 와인 산지 중에서 영국과 가까워서 수송이 편해서였을까? 물론 그런 영향도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인과 관계가 그렇게 단순 명쾌하지는 않다. 정치적 요소가 끼어들면 더욱 그렇다.

 

현재 보르도가 속해 있는 아키텐느(Aquitaine) 지역은 12세기 아키텐느 공국의 공작 기욤 10(Guillaume X, duc d’Aquitaine)에 의해 지배되었다. 그는 1137년 자신이 죽기 전, 당시 프랑스의 왕이었던 루이 6세에게 자신의 장녀 알리에노르(Aliénor)를 그의 아들, 훗날 프랑스의 왕 루이 7(Louis VII)의 아내로 삼아주기를 부탁한다. 그렇게 그들의 두 자녀는 결혼하지만, 그리 행복하지 못했던 결혼생활은 15년 만에 막이 내린다.

 

알리에노르는 1152 5, 첫 번째 결혼생활을 정리한 지 약 8주 만에 한 남자와 재혼을 하게 되는데, 그가 바로 2년 후 영국(정확하게는 잉글랜드라고 해야 하겠지만)의 왕위에 오르게 되는 앙리, 아니 영국식으로 헨리 2(Henri II)이다. 결국, 보르도를 포함한 아키텐느의 상속녀인 알리에노르는 영국의 왕비가 되고, 자연스럽게 보르도는 영국령이 됐다.

 

당시 영국은 식수 오염 문제로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여러 국가로부터 와인을 수입했었다. 그런 상황에서 수송 거리도 가깝고, 질이 좋은 와인이 생산되는 보르도가 자신들의 지배에 들어오자 보르도 와인에 대해 특급 대우를 해 줄 것은 불을 보듯 뻔했고, 13세기가 되자 보르도 와인은 영국 와인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게 된다


그 이후 보르도 와인의 영국 점유율은 점점 낮아졌지만, 그 품질은 최고급이었기에 여전히 영국 상류 사회에서 보르도 와인은 고급 와인의 대명사로 남아있었다. 그리고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이 최고로 인정하는 와인은 그들의 영향력이 닿는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최고로 여겨져 왔다.

 

1. luventicus.org.jpg

                                                                                               출처 : luventicus.org

 

프랑스 지도를 한 번 보자. 녹색으로 색칠되어 있는 곳이 아키텐느 지역(region)인데 보르도가 그 주도이다. 보르도라고 하면 두툼한 스테이크나 푸아그라 같은 무겁고 진한 요리의 이미지와 함께 프랑스 내륙 어딘가에 붙어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사실은 바다와 접해 있다. 유럽 최대의 양식 굴 산지인 아르카숑(Arcachon)이 이 지역이라는 것을 떠올리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보르도(Bordeaux)라는 지명의 어원을 물가라는 뜻의 ‘Bord de l`eau’에서 찾는 사람도 있지만, 사실 아직까지 이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키텐느라는 지명은 라틴어로 물을 뜻하는 아쿠아(Aqua)에서 왔으며, 아키타니아(Aquitania)물의 나라라는 뜻이다. 보르도에는 대서양으로 흘러가는 지롱드(Gironde), 가론(Garonne), 도르도뉴(Dordogne) 3개의 강이 흐르는데, 이 풍부한 물줄기가 보르도의 와인을 훌륭하게 만들어 주는 원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 vins-web.fr.gif

                        출처 : vins-web.fr

 

위의 세부지도를 보며 이제 포기할 때가 왔구나.’ 하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편에서는 아주 간단한 것만 설명할 테니 포기하지 말자. 지롱드 강과 가론느 강 왼쪽에 있는 메독(Médoc), 그라브/페삭 레오냥(Graves & Pessac-Léognan) 지역 등을 말 그대로 좌안(左岸)이라고 부른다. 반면 지롱드 강과 도르도뉴 강 오른쪽에 있는 생테밀리옹(Saint-Emilion), 포므롤(Pomerol) 지역 등을 우안(右岸)이라고 부른다.

 

보르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메를러(merlot),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sauvignon), 카베르네 프랑(Cabernet-franc)을 섞어서 와인을 양조하는데, 좌안에서는 더 힘 있고 강건한 품종인 카베르네 소비뇽을 중심으로 하고 다른 품종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반대로 우안에서는 좀 더 부드럽고 풍성한 메를러를 중심으로 사용한다. 좌안과 우안. 보르도를 이해하는 핵심 열쇠를 아주 단순하고 거칠게 알아봤다.

 

다음 편에는 좌안과 우안의 핵심 마을과 복잡다단한 등급체계를 살펴보려고 하니 에스프레소 진하게 한 잔 마시고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2236 박심원의 사회칼럼 희망의 종소리 file eknews 2017.01.02 1624
2235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file eknews02 2018.10.10 1275
2234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 학업 마친 후 남은 비자기간 여행,재입국 유로저널 2011.02.14 5846
2233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0
2232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파괴의 결합이다 - 피카소 (5) file eknews 2017.07.10 5096
2231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18
2230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사 또는 자영업 eknews 2015.02.17 1748
2229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계사는 회계사가 아니다 eknews 2015.02.03 3583
2228 최지혜 예술칼럼 환경에 처한 인간을 표현한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1.14 1862
2227 최지혜 예술칼럼 화제가 되고 있는 예술가 file 편집부 2019.09.02 2620
2226 최지혜 예술칼럼 화가들은 경험이라는 어려운 시련들을 통해 훈련된 존재들이다 file eknews02 2018.09.30 1483
2225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혼자서 스트레스 풀기 eknews 2016.03.07 1910
2224 최지혜 예술칼럼 호크니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 file 편집부 2019.08.19 1839
2223 아멘선교교회 칼럼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eknews02 2018.06.11 1125
2222 CBHI Canada 건강 칼럼 혈압약과 골다공증 편집부 2024.03.10 42
2221 최지혜 예술칼럼 현존 아티스트 중 가장 비싼 작품 file 편집부 2019.07.07 1980
2220 최지혜 예술칼럼 현재의 미술의 주도권은? file 편집부 2019.03.11 1597
2219 영국 이민과 생활 현재 YMS비자로 영국에서 좀 더 많이 체류하면서..... file 편집부 2017.12.05 2095
2218 박심원의 사회칼럼 현실은 미완성된 과거를 완성해 가는 것 file 편집부 2018.02.13 1225
2217 최지혜 예술칼럼 현대 미국 추상미술사의 선구자 file 편집부 2019.12.08 189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