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44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21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3 Bordeaux – 2

 

, 이제 보르도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 좀 알아보겠다. 우선 마트에서 보르도 와인을 고르는 김 대리의 모습을 따라가 보자. ‘오늘은 보르도 와인 마니아 김 부장님 생신이시니 보르도 와인 중에서 고급을 골라야겠어. 보르도, 보르도…… 찾았다! 아니, 그런데 6유로밖에 안 하네? 보르도(Bordeaux)라고 쓰여 있는 와인 중에서는 이게 가장 비싼 것이라니! 부장님 생신 선물로 6유로짜리 와인을 드릴수도 없고……’

 

완전히 남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보르도라고 적혀 있는 와인은 우리나라 경기미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경기미 중에서도 이천쌀이나 김포쌀처럼 지역이 더 한정되는 고급 쌀이 있는 것처럼, 보르도의 와인도 세부 지명이 붙을수록 고급 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제 보르()에 속해 있는 읍동을 알아보도록 하자.

 

vignobledebordeaux-medoc.jpg

사진 출처 : www.vignobledebordeaux.fr

 

먼저 메독(Médoc) 지역 명칭과 등급을 살펴보자. 메독은 보르도 좌안(左岸)에 위치한 세부 지역으로 보면 된다. 지도에서 다른 건 절대로 보지 말고 오로지 왼쪽의 진한 글씨만 보자! 메독(Médoc), -테스테프(Saint-Estèphe), 뽀이약(Pauillac), -쥘리앙(Saint Julien), 리스트락-메독(Listrac-Médoc), 물리--메독(Moulis-en-médoc), 마고(Margaux), 그리고 오-메독(Haut-Médoc). 메독이라는 마을을 다시 8개 세부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메독이라는 큰 지명 아래 다시 메독이라는 이름이 나온다는 것이다. 원래 이는 메독이라는 지역 중에서 위쪽에 위치한 곳이 -메독’, 낮은 곳에 위치한 곳이 -메독(Bas-Médoc)’인데, 프랑스어 오(Haut)높은’, ‘위쪽의’, (Bas)낮은’, ‘아래의라는 뜻이 있어서 와인의 질이 낮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것을 염려한 바-메독 지역에서는 그냥 메독이라고 쓰는 것이다. 그리고 지도를 보고 -메독이 더 아래에 있는데 이름이 잘못된 것이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준은 강이 흘러 하구인 바다로 흘러가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 강의 상류 지역이 위쪽, 하류 지역이 아래쪽. 헷갈리지 말자.

 

이 메독 지역 중에서도 최고급 산지는 뽀이약, 마고, -쥘리앙, 이렇게 3개 마을이라고 할 수 있다. 3개 마을이 메독 지역의 61그랑 크뤼 클라세(Grands Crus Classés)’ 등급 와인 중 80%가 넘는 50개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 이쯤에서 똑똑하고 용감한 학생은 이런 질문을 할 것이다. “그랑 크뤼 클라세 등급이 뭔가요?”

 

1855년 프랑스에서 열린 만국박람회 때 당시 와인업계 관계자들은 프랑스를 대표할 최고의 와인을 선정해 달라고 황제 나폴레옹 3세에게 요청을 했었다. 그래서 나폴레옹 3세는 하부 기관을 통해 61개 샤토의 와인을 1등급에서 5등급까지 5개의 등급으로 선정했다. 그런데 그 분류 기준은 당시 와인의 유통 가격이었다. 이것만큼 편리한 기준이 어디 있겠는가?

 

그렇게 정해진 등급은 거의 16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래서 와인 에티켓에 ‘Grand Cru classé en 1855’라고 적혀 있다면 품질도, 그리고 가격도 상당한 수준이라고 보면 되겠다. 사실 평범한 사람의 경우, 이런 그랑 크뤼 클라세 와인은 1년에 한 번 맛보기도 쉽지 않고, 웬만한 동네 마트에서는 찾아보기도 힘들다.

 

예전에 흔히들 국적은 바꿀 수 있어도 학적은 바꿀 수 없다.’는 말을 했었다. 그런데 이런 학벌보다 더 무서운 것이 이 그랑 크뤼 클라세 등급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당시에 1등급이었던 와인은 지금도 1등급이고, 당시 5등급은 지금도 5등급이다. 예외는 없다(1973년의 Chateau Mouton Rothschild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승격된 것을 제외하고). 그리고 당시에 등급을 못 받은 와인은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무등급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무등급 와이너리들은 억울하지 않겠는가? 그중에는 그 당시 등급 체계에 불만이 있거나 무관심해서 참여하지 않은 곳도, 당시에는 품질이 별로 좋지 못했지만, 각고의 노력 끝에 지금은 뛰어난 수준을 자랑하는 곳도, 심지어 160여 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기에 평가를 받을 기회조차 없었던 곳도 부지기수일 테니 오죽하겠는가? 그런 메독 지역의 와이너리들이 모여서 만든 등급이 크뤼 부르주아(cru-bourgeois)’이다.

 

크뤼 부르주아 등급은 1932년 제정되어 몇 차례 개정을 거친 후 2003년 공식적으로 3개의 등급으로 결정, 10년 주기로 개정하기로 했었다. 당시 분류된 등급은 크뤼 부르주아 엑셉시오넬(Cru Bourgeois Exceptionnel) 9, 크뤼 부르주아 쉬페리에르(Cru Bourgeois Supérieur) 87, 크뤼 부르주아(Cru Bourgeois) 151개로 총 247곳이었다.

 

하지만 2003년 더 높은 등급에 포함되지 못했거나, 아예 등급에 들어가지 못한 와이너리에서 당시 심사가 공정하지 못했다고 소송을 제기했는데, 2007년 법원이 이를 인정하여 받아들였다. 결국, 이 등급 분류는 효력 정지가 됐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2009년 다시 도입되지만 세 등급은 과거 크뤼 부르주아라는 하나의 등급으로 통합되었다. 이로 인해서 그 권위가 많이 떨어지게 됐고, 특히 과거 크뤼 부르주아 엑셉시오넬 같은 상위 등급의 고급 샤토들은 이 등급에서 이탈하기도 했다.

 

이처럼 말 많고 탈 많은 크뤼 부르주아 등급 와인의 경우 그랑 크뤼 클라세 5등급 정도에 해당하는 고가도 있지만, 저렴한 것은 10유로 근처로 동네 마트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친구 집에 초대받았을 때 이런 설명과 함께 선물한다면 괜찮지 않을까?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60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993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079
2040 ECB 양적 완화 (QE) 실시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 file eknews 2015.02.02 1671
2039 영국 이민과 생활 EEA 시민권자와 그 가족 영국 거주카드 eknews 2016.05.17 2585
2038 영국 이민과 생활 EEA 패밀리 거주카드 소득 체류 증명 eknews 2017.01.17 1404
2037 영국 이민과 생활 EEA 패밀리로 영주권과 시민권 eknews 2014.12.09 2903
2036 영국 이민과 생활 EEA복수국적자와 결혼 및 거주카드 file 편집부 2018.03.20 1141
2035 영국 이민과 생활 EEA인과 그 배우자 영주권과 시민권 file 편집부 2019.04.03 1202
2034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 거주권과 10년 영주권 편집부 2020.01.20 847
2033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 영국유학과 브랙시트 file 편집부 2019.07.08 1633
2032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로 영주권을 받으려면 eknews 2016.04.12 1705
2031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와 영국 영주권자 배우자비자 eknews 2017.06.19 1621
2030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퍼밋과 거주카드 신청시기 eknews 2016.12.20 1372
2029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퍼밋과 거주카드 요즘 심사상황 file 편집부 2018.01.23 1717
2028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퍼밋과 영국 직장 잡기 eknews 2016.10.25 1643
2027 영국 이민과 생활 EU국적과 영국국적자와 결혼 시 어떤 비자 받는가? eknews 2016.09.20 2301
2026 EU기업들을 사들이기 시작한 중국기업들 (Part I) file eknews 2015.07.06 2225
2025 EU기업들을 사들이기 시작한 중국기업들 (Part II) file eknews 2015.07.13 1948
2024 영국 이민과 생활 EU인 배우자 거주증과 영주권 eknews 2013.12.18 5657
2023 영국 이민과 생활 EU인과 결혼 및 이혼시 영국체류문제 eknews 2016.06.14 2280
2022 영국 이민과 생활 EU인과 영국인 부모/가족초청 방법 eknews 2017.04.18 2703
2021 오지혜의 ARTNOW Fashion and Style file eknews 2016.04.03 1565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