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5년 한-일 국교정상화 후 對日 상품수지는 5천억 달러 적자

by eknews posted Jun 17,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65년 한-일 국교정상화 후 對日 상품수지는 5천억 달러 적자


1965년 6월 22일 한국, 일본간 국교정상화 후 49년동안대일 무역 누적 적자액이 5,000 억 달러에 가깝고,올 3분기중에 5,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2015년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에 앞두고 발표한“한일 국교정상화 이후 경제협력 성과와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1965년 대비 지난 해 양국간 상품교역규모가 431배 늘어난 가운데, 한국은 일본과의 상품무역에서는 누적기준 5,000억 달러에 가까운 적자를 본 반면, 서비스 교역과 직접투자에서는 각각 134억 달러, 약 297억 달러 흑자를 거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양국간 상품교역은 1965년 2.2억 달러에서 2013년 950억 달러로 431배 증가했으며, 지난 4월 현재 누적수출 5,843억 달러, 누적수입 1조 787억달러로 대일 누적 상품수지 적자는  4,944억 달러(약 51조 3천억원)로 이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과의 연간 상품무역 적자규모는 2010년 사상최대인 361억 달러까지 늘어났다가 소재·부품 對日 의존현상이 개선되면서 250억 달러 수준까지 축소되었다. 특히, 2009년 기준 일본과의 상품교역 적자는 277억달러에서 OECD 부가가치 무역기준으로 계산하면 95억 달러로 1/3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일본 누적수출액은 49년간 5,843억 달러로 대중국 누적 수출액 (92년~13년 4월) 1조 1,913억 달러의 절반 수준이며, 대미 누적수출액(65년~13년 4월) 9,953억불에 이은 3번째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이 가장 많이 수출되었는데,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본내 석유제품 수급에 차질로 2배 이상 수출이 증가하였다. 

대일 누적 수입액은 1조 달러를 넘어섰는데, 이는 1965년 이후 우리나라 총 누적 수입액 6조 1,545억 달러의 17.3%를 차지하는 금액이다. 대일수입액은 2011년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올해 1분기까지 연속 감소하고 있으며, 전체수입 중 일본의 비중은 1967년 약 45%에서 올해 들어 10.15%로 떨어졌다. 품목별로 반도체가 가장 많이 수입되었는데, 1988년 이후 누적수입액이 950억 달러에 이르렀다. 

서비스무역, 98년 이후 한국이 약 134억불 흑자

 대일 누적 서비스수지는 통계 자료가 시작된 1998년부터 2012년까지 134억 달러의 흑자를, 대일 누적 직접투자는 1965년부터 2013년까지 29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 기간동안 대일 누적 서비스수지는 134억 달러 흑자로서 주요 교역국 중 거의 유일하게 일본에서만 흑자를 거두었다. 참고로 같은 기간 한국의 누적 서비스수지는 991억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한국방문 일본 관광객이 일본을 방문한 한국관광객에 비해 약 2천만명 더 많았던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1985년부터 2013년가지의 누적관광객수는 한국을 방문한 일본 관광객수가 일본을 방문한 한국 관광걕수보다 2,200만명 이상 더 많았다.


일본의 대한국 투자가 6배 이상 많았고, 
고용유발효과가 큰 소재·부품 기업 직접투자비중이 높아 

한국이 일본과의 상품교역에서 적자를 본 반면, 투자분야에서는 약 297억 달러 흑자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대한국 투자는 2013년까지 누적 355억 달러로서 한국의 대일 투자액인 58억 달러에 비해 6배 이상 많았다. 일본은 1965년 이후 누적 금액기준 전체 외국인투자의 약 16%를 점유하여 미국에 이은 2위 투자국이며, 투자 건수와 기업 수 기준으로 1위 국가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의 대한국투자는 고용유발효과가 큰 직접투자 비중이 13년 기준 52.8%로 24% 이하에 그친 2위 EU의 투자패턴과는 대조를 이루었다. 


일본 현지시장에 맞춘 수출전략, 
정밀화학분야 일본기업 유치 전략 필요 

2012년 기준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64개 중 중국과 12개 품목에서 경쟁 중이며, 메모리 반도체, 철강제 관 등 7개 품목은 점유율 3%이내에서 경쟁 중이었다.
 전경련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통상 한일 경제관계 언급시 ‘대규모 대일 무역적자, 소재·부품 의존’만 초점이 맞춰져 서비스수지, 직접투자 등 다른 분야의 경제협력 성과에 대한 조명도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아울러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철강판 등 주요 대일 수출품목에서 중국의 거센 추격으로 대일 수출감소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우려하였다. 우리 기업에는 일본 종합상사 및 유통회사와 적극 협력해 일본 시장상황에 맞춘 수출을 주문하였다. 그리고 대일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품소재를 지속적으로 국산화하고, 특히 정밀화학 분야는 일본기업들이 일본 내수 부진으로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이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자유치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 유로저널 이준동 기자
eurojournal10@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