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동서독 지역 생활수준 평준화, 거북이 걸음(1면)

by eknews21 posted Jul 1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동서독 지역 생활수준 평준화, 거북이 걸음


전문가들에 의하면, 동독 지역의 삶의 조건들이 서독지역의 생활수준에 근접하는 속도가 아주 느린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png 

(사진출처: Handelsblatt.com)


지난 13 독일의 주요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동독지역의 삶의 조건들이 아직도 서독지역의 생활수준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경제연구소 소속 브렌케(Karl Brenke) „동독은 지난 90년대 크게 만회할수 있는 시기를 가졌었다“면서 „지금 그러한 회복과정이 멈춘것은 아니지만, 속도가 너무 느리다“라고 설명했다. 


스스로 높은 수입을 자랑하는 구동독 지역 포츠담은 평균적으로 매년 주민 한명당 2 3,000유로의 수입으로 독일 전체 순위에서 하위의 중간쯤 수준을 보인다. 한명당 경제성과를 기준으로 동독지역은 서독지역의 71% 수준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통독 이래 최고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구 동독지역 발전에 여러 부족한 점이 보이긴 하지만, 지적할만한 구조적인 문제는 없어 왔다“고 의견을 보인 경제학자 브렌케는 무엇보다 동독지역의 성공적인 재산업화를 강조했다.


연방 경제부에서 드는 동독지역 재산업화의 핵심은 예나의 광학 전자산업과 드레스덴과 프라이베르크, 쳄니쯔 지역의 초소형 전자 공학 그리고 막데부르크의 기계 제조업이나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멘 지역의 특별기계 제조와 설비시설 제조산업 등이다. 밖에 독일의 폴크스바겐이나 포르쉐 또는 BMW 같은 자동자 제조업체 또한 동독지역에 공장을 넓혀왔다.    


동독지역의 경제를 위한 국가적 지원은 서독 지역의 상황보다 나빠지지 않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무엇보다 동독지역에 중요한 문제점은 서독지역보다 빠르게 줄어드는 인구와 노령화로써, 이제는 이상 값싼 인력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기 보다는 강한 혁신과 높은 질을 앞세워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독일 유로저널 박지은 기자

eurojournal0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