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31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4장 부르고뉴(Bourgogne) – 4


오늘은 부르고뉴 레드 와인의 노른자위 중 노른자위를 살펴보자. 시작은 샹볼-뮈지니(Chambolle-musigny). 예전에 와인 잘 아는 한 지인이 마음에 드는 여성이 생겼으니 함께 마실 와인 한 병 추천해 달라고 했다. 샹볼-뮈지니 중에서. 샹볼-뮈지니는 그런 이미지의 와인이다. 부르고뉴 중에서도 가장 섬세하고 우아한 와인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겹겹의 다양한 층이 있어서 와인 전문가와 이제 막 입문하는 사람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초보자는 그 화려한 향에 압도될 것이고, 전문가라면 그 가녀린 듯하지만 강한 내면과 복합성에 감탄할 것이다. 누가 마셔도 참 맛있다.

 

사진 1 www.tempodivin.net (1).jpg

사진출처 : www.tempodivin.net


샹볼-뮈지니도 코트 드 뉘의 여느 유명 마을처럼 마을 단위급에서 그랑 크뤼까지 다양한 등급이 있다. 그중 최고의 밭은 샹볼-뮈지니 그랑 크뤼 중 그랑 크뤼, 르 뮈지니(Le Musigny). 세계에서 가장 섬세하고 우아한 레드 와인을 마셔보고 싶다면 훌륭한 생산자의 르 뮈지니를 마셔보라.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충분한 예산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샹볼-뮈지니 중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와인은 그랑 크뤼가 아니다. 그 주인공은 '연인들'이라는 뜻의 프르미에 크뤼, 레 자무휴즈(Les Amoureuses). 이름부터가 로맨틱하지 않나? 이 와인이 이름 덕을 본 것은 사실일 테지만, 냉정한 와인 세계에서 이름만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할 수는 없다. 웬만한 그랑 크뤼 와인 뺨을 시원하게 때릴 정도의 품질이 뒷받침되기에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품질과 대중적 인기가 받쳐 주니, 가격도 그랑 크뤼급이다. 연인과의 잊지 못할 저녁을 원한다면 투자하라. 맛이 있고, 이야기가 있다.

 

다음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부조(Vougeot) 마을이다. 부르고뉴 와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이곳은 정말 대단한 마을이다. 얼마나 대단한지, 이 마을 와인은 대부분 그랑 크뤼인 클로 드 부조(Clos-de-Vougeot), 나머지도 죄다 프르미에 크뤼다. 여타 마을에서는 가장 흔한 마을 단위급이 없다. 마을 단위급, 프르미에 크뤼, 그랑 크뤼의 상식적 개념이 전혀 안 통하는 마을이다.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의 작가, '이자크 디네센(Isak Dinesen)'이 쓴 소설 '바베트의 만찬'은 영화로도 만들어졌는데, 클라이맥스는 프랑스 유명 레스토랑 출신의 요리사가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지 않고 시골의 청교도 신자들에게 최고급 식사를 대접하는 장면이었다. 그 식사와 함께 내놓은 와인이 클로 드 부조였다. 프랑스 식탁에서 이 와인이 차지하는 위치를 잘 말해주는 장면이다.

 

부르고뉴 그랑 크뤼의 상당수는 언덕 7, 8부 능선에 있다. 일조량과 배수의 장점 때문이다. 그런데 클로 드 부조는 도로 바로 옆 평지다. 면적은 50ha로 부르고뉴 치고 굉장히 크다. 그 넓은 밭의 한쪽은 D974 도로와 맞붙어 있어서 토질이 떨어지고, 도로에서 먼 쪽 밭은 다른 그랑 크뤼인 그랑-에세죠(Grands-Échézeaux), 뮈지니와 맞닿아 있으니 의심할 여지 없는 최상급 땅이다. 그리고 클로 드 부조에는 70명 이상의 생산자가 와인을 만든다. 천차만별의 토질과 생산자. 편차가 굉장히 심할 수밖에 없다. 한 마디로, 별로 안 좋은 땅에서 실력 없는 생산자가 만든 클로 드 부조는 무늬만 그랑 크뤼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르고뉴 어떤 마을보다 생산자의 명성이 중요하다.

 

부르고뉴 와이너리 방문할 때 단 한 마을만 가야 한다면 어디로 갈 것인가? 필자라면 주저 하지않고 본 로마네(Vosne-romanée)로 향할 것이다. 자타공인 부르고뉴 레드 와인의 정점이다. 부르고뉴 각 마을 와인의 장점을 합쳐 놓은 것 같다. 만약 당신이 본 로마네 탑 클래스 생산자의 와인을 맛보고도 감흥이 없다면, 단언컨대, 전 세계의 어떤 피노 누아 품종도 당신을 만족시킬 수 없을 것이다. 아니면 그날 당신의 코가 심하게 막혔거나.

 

와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DRC'로마네-콩티(Romanée-Conti)', 만화 '신의 물방울'에서 꽃밭으로 묘사한 '리쉬부르(Richebourg)', '무라카미 류'의 소설 '와인 한 잔의 진실'에 등장하는 '라 타슈(La Tâche)', 그 외에도 '라 로마네(La Romanée)', '로마네--비벙(Romanée-Saint-Vivant) 등 주옥같은 그랑 크뤼가 밀집된 곳이 이 마을이다. 예전에 한 친구가 고급 와인 사는 것을 도와주려고 부르고뉴의 유명 캬비스트에 간 적이 있었다. 그 친구는 쉼호흡을 한 번 하고는 캬비스트 주인에게 DRC의 리쉬부르를 달라고 했다. 하지만 주인장의 대답은 이랬다. "운이 좋으시네요. 지금 주문하면 내년 이때쯤 받을 수 있습니다." 값도 비싸지만, 사고 싶다고 다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코트 드 뉘의 종착역은 뉘--조르쥬(Nuits-Saint-Georges). 코트 드 뉘의 뉘(Nuits)가 바로 이곳이다. 이 유명한 마을은 이상하게도 그랑 크뤼가 없다. 이렇게 강건하면서도 섬세한 맛이 훌륭한데 왜 그랑 크뤼가 아닐까? 1930년대 뉘--조르쥬의 생산자들은 자신의 밭이 그랑 크뤼가 되어 높은 세금 내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덕분에 지금도 그 품질에 비해 가격이 착한 편이다. 물론 유명 생산자의 훌륭한 프르미에 크뤼는 다른 마을의 그랑 크뤼만큼 비싸기도 하다. 그래도 코트 드 뉘의 메이저 마을 중에서는 싼 편이다.

 

많은 사람이 코트 드 뉘 레드 와인과 가장 잘 어울리는 계절을 가을이라고 한다. 오늘 배운 마을의 와인 한 병을 준비해서 소중한 사람과 마시자. 굳이 특별한 날에 마시려고 기다릴 필요는 없다. 소중한 사람과 그 와인을 마신다면, 그 날이 분명히 특별해질 테니까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5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44
380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1) 날마다 세상과 만나라 1 file eknews 2015.09.13 2494
379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2) 날마다 세상과 만나라 2 file eknews 2015.09.20 2150
378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럽(39)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2 file eknews 2015.08.30 3186
377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3)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1 - 뭐라고, 이것이 예술이라고? file eknews 2015.09.29 3950
376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4)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2 - 나는 평생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다 file eknews 2015.10.09 3564
375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5)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3 나는 언제나 무언가에 흔들리기를 바라고 있다 file eknews 2015.10.18 4259
374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6)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4 한국에서 내가 본 작품들 중 가짜는 없었다 file eknews 2015.10.25 16098
373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6)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5 “이우환 미술관? 한국에 내 이름만으로 된 미술관을 허락한 바 없다” file eknews 2015.11.01 6116
372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8) 새로운 경제적 가치로 급부상한 미학, 그러나 한국엔 미학이 없다! file eknews 2015.11.09 2187
371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만남이 내 삶을 결정한다! file eknews 2015.01.19 2062
370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0)수퍼 갑질과 노블레스 오블리즈 file eknews 2015.02.02 3372
369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1) 아름다움에는 이유가 필요해? 왜 그런지 알아? file eknews 2015.02.10 3675
368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2) 죽었어도 100억원을 움직일 수 있는 남자 file eknews 2015.02.16 3847
367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3) 신명나는 굿판속에서 진정한 소통이 피어나다 file eknews 2015.02.23 4819
366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4) 늘, 육신과 영혼이 가자는 대로 가세요 file eknews 2015.03.03 3323
365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5) 짓밟히는 꿈들이여! file eknews 2015.03.09 2042
364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6) 행운과 비운의 화가, 마크 로스코 1 - 나는 솔직히 나다! file eknews 2015.03.16 2389
363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8) 행운과 비운의 화가, 마크 로스코 3 - 소제목 : 무의식의 바다를 항해하다 file eknews 2015.03.31 9038
362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9) 신뢰가 무엇일까? file eknews 2015.04.05 2288
361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2)당신은 어떤 눈을 가지고 있는가? file eknews 2015.01.28 1821
Board Pagination ‹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