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경제, 하반기 3.7% 성장 예상 불구 투자 및 제조업 경기는 부진

by eknews posted Sep 08,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국내경제, 하반기 3.7% 성장 예상 불구 투자 및 제조업 경기는 부진


지난해 부진했던 수출이 글로벌 경기 회복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성장률이 3.9%로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수출물량은 지난해 하반기를 저점으로 점차 반등하고 있으며, 향후 선진국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수출물량지수가 OECD 선행지수를 느리게 따라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완만한 수출 증가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따라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올 하반기 국내 경제 성장율 전망 보고서는  전반적인 하반기 경기흐름은 상반기(3.9%)와 비슷한 추이를 보이는 가운데 연간으로 3.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민간소비는 소득 개선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 부담 등의 영향으로 3%대 초반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가계 대출 사상 최고로 민간소비 위축

특히, 가계 대출 잔액이 7월말 현재 사상 최대액을 기록하고 있어 민간 소비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0조9천549억원으로 한달전보다 5조7천290억원이나 증가해 지난 2월 말(688조1천억원) 이후 6개월 연속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최경환 경제팀의 성장 위주 정책과 함께 LTV(주택담보대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부동산 규제 완화로 가계대출은 8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만큼 당분간 더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가계의 처분 가능 소득 중 소비지출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이 2011년 이후 하락세를 보여 최근에는 73%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 보고서는 가계 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높은 전세가격, 실질 국민소득 증가세 둔화, 미래 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이 소비 성향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평가된다. 특히,세월호 사태가 소리심리를 더욱 위축시킬 가능성도 있어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GDP 증가율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설비투자는 2014년 연간 5% 중반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기저효과가 약화되는 하반기에는 3~4%로 증가율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후반기 성장 불구 투자 및 제조업 경기는 부진

2011년까지 제조업 부가가치 대비 설비투자 비중은 35% 내외를 기록했으나 최근에는 30%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한국은행의 조사에 의해 의하면 지난해 국내 기업들은 설비투자보다는 부채를 갚는데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2013년 1분기말 상장기업 부채비율은 96.2% 이었으나 3분기말에는 91.6%로 하락하였다. 향후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 등으로
IT 부문을 중심으로 일부 산업에서 설비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산업은 설비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최근 제조업의 경기 회복은 전기·전자 등 일부 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 외 대부분의 산업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2013년 경제성장 중 50%는 서비스의 성장이 기여했으며, 제조업은 30%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제조업 중 전기전자(13.3%), 운송장비(6.7%), 화학(6.7%)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성장기여도는 0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의 경우 수주 감소, 정부의 SOC 예산 축축소 등의 영향으로 올해 1%대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결국내수 부문은 본격적인 회복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수출 의존의 경기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경상수지 흑자 확대로 원화 강세 지속

원화는 강세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연말 약세 요인 부각 가능성. 금리는 하반기 소폭 반등이 예상되며, 원/달러 환율은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하반기에도 하락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리스크 선호가 확대되고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될 경우 3분기 중 일시적으로 1,000원선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다만 미국의 테이퍼링이 종료된 10월 이후 미국의 금리 인상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원/달러 환율이 반등할 가능성이있음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국내 금리는 하반기 물가 상승 및 미 테이퍼링 종료 등의 영향으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국내 내수가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기업들의 투자심리 회복도 쉽지 않아 국내 금리의 상승폭은 크지 않고 저금리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

한국 유로저널 정보영 기자
eurojournal1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