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의 위기는 10년동안 지속될 운명,독일이 나서야 (1면)

by eknews posted Oct 14,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유로존의 위기는 10년동안 지속될 운명,독일이 나서야 

 유로존의 위기는 결코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에 유로존 내 주요 국가들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969-유럽 2 사진.jpg

유로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나인 한스 베르너 신 (Hans-Werner Sinn)은 " 특히 프랑스 같은 국가들의 노력 여부가 유로존의 운명을 좌지우지 할 수 있어, 중대한 개혁을 구현하지 않는 경우 유로존의 단일 통화를 무너뜨릴 수 있고, 경기 침체와 시민들의 불안이 향후 10년 동안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 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 보도에 따르면 현재 독일의 싱크 탱크 경제 연구 이포 연구소장 (the president of Germany’s Ifo Institute for Economic Research think-tank)이기도 한 한스 베르너는 “내 예측이 꼭 유로의 붕괴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현재의 경제 위기는 유럽을 끝없는 불황으로 이끌고 있고 이것은 유럽 사람들의 증오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며 경제 위기 탈출을 위한 주요 국가들의 노력을 다시 한 번 강조 했다고 전했다.

또 그는 " 우크라이나 사태가 유럽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국가 중 하나인 독일의 성장에 타격을 입히는 동안 독일이 입은 상처가 이웃 국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프랑스 뿐 아니라 독일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한편, 이와같이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의 위기로 독일 경제마저 리세션(경기후퇴) 위기에 처하면서 일부 유럽 경제 전문가들은 그동안 긴축재정과 구조개혁을 고수해온 독일이 재정완화 및 투자를 확대해야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동안 EU 내 최대 지분을 가진 독일의 긴축 주장과 정부재정을 풀어 경기침체에 대응해야 한다는 프랑스·이탈리아의 주장이 팽팽히 맞섰으나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 번째 유럽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면서 독일의 입지가 축소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유로존의 추가 성장은 수표를 남발한다고 달성되지 않는다"고 밝혀 독일에 집중되고 있는 지출확대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반면, 공공투자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에 대해서는 메르켈 독일 총리는 9일 "투자확대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처음으로 부양 기조로 정책을 바꿀 가능성을 시사했다. 


영국 유로저널 배성희 기자
 eurojournal24@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