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럽 벤처기업의 부흥


최근 독일 소재 벤처 캐피털 (venture capital) 회사인 Rocket Internet가 시가총액 미화 80억불 ( 9조원 상당) 이상 금액으로 주식을 상장해 (initial public offering) 미화 16억불을 주식시장에서 조달해서 화제가 되었다


불과 2007년도에 설립한 점과 65% 지분을 갖고 있는 세 명의 설립자들이 하루 아침에 미화 50억불 이상의 (장부가 기준) billionaire 대열에 든 것을 감안하면 어마 어마 한 금액이다


또한, 독일 인터넷 업체인 Zalando 도 최근에 상장했는데 시가총액이 미화 60억불 이상이다. 물론 최근 중국 인터넷 업체인 Alibaba의 역대 세계 최대의 주식 상장 (시가총액 미화2300억불) 에 비하면 약소하다고 까지 할 수 있지만 유럽에서 벤처 회사들에 대한 재조명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벤처 기업이란 주로 첨단 기술 분야의 (technology) 업종에서 역사가 짧은 ()소 기업을 말하지만 경제에 미치는 잠재 영향력은 크기에 비해 엄청나며 소위 “disruptive” (파괴적인) 한 신기술을 경제에 도입할 경우 경쟁을 촉진 시키며 사회와 일상생활에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에 한국 및 많은 선진국들이 벤처기업의 활성화를 경제정책의 중점으로 두고 있다.


Apple, Google, Alibaba 등 역사가 길지 않은 기업들이 현재 세계에서 시가총액 상위 10위 안에 있다는 것을 감안 하면 벤처기업의 잠재력과 위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성공만 한다면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이다.

 

OECD 국가들의 GDP 캐대비피털 규모:


 970_박준영칼럼1.png


(출처: OECD, 2013)


전통적으로 미국의 Silicon Valley는 벤처 캐피털의 메카 이며 아직도 Facebook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을 창출하는 비옥한 시장이다. 시장 크기도 유럽의 3배는 된다. 유럽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벤처 회사들이2010년에 미화 8억불의 자금조달을 한 반면 3년 후인 2013년에는 미화 19억불을 조달했다[1]. 이렇게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은 여건들이 뒷받침 되었기 때문이다.

 

첫째, EU가 단일 경제시장이 되면서 인적자원의 유동화를 허용케 해, 미국과 맞먹을 수 있는 경제영역을 만들어서 하나의 ecosystem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EU내에서는 비자나 여권이 필요 없기 때문에EU내의 우수한 인재들은 본인을 필요로 하는 시장에 갈 수 있어 아이디어와 활발한 교류가 가능해 졌다는 것을 뽑을 수 있다


만약 한국/중국/일본이 이러한 노동 시장을 만들 수 있다면 그 위력은 어떠할 것인지 상상해 볼 수 있다. 또한, 유럽 각국의 경제/국가 크기, 자본시장의 규모, 법률체제의 투명성 및 R&D규모 등이 벤처시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영국은 금융관련 종사자가 10만명을 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은행 10순위에 4개가 있는 등 명실상 세계적인 금융도시이기 때문에 financial technology 회사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스웨덴은 혁신을 강조하는 문화로 skype, Klarna, Ericsson 등을 창출했고 세계적인 휴대폰Nokia를 창출했던 핀란드는 Angry Birds, Supercell 등 휴대폰/태블릿 관련 게임업체들이 많이 탄생하고 있다. 독일은 e-commerce를 중점으로 하는 벤처기업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이처럼 국가 경쟁력 및 제반적인 인프라 등에 의해 유사한 회사들이 생길 수 있는 cluster 들이 형성 되고 있는 것을 볼 수 가 있다.

 

벤처시장 경쟁력 상위 20개 국가 순위:

  970_박준영칼럼2.jpg

Source: Global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Country Attractiveness Index 2013

 

둘째, 현재 우리는 인터넷의 제 2부흥기에 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90년대 부터 시작한 제 1부흥기는 소위 인터넷의 인프라가 구축되었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 뉴스, 메일 등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이 1차 적인 것이었다면 현재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시키는 사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여러분의 스마트폰에 다양한 app들을 보시면 아실 거다. 메모리 크기와 기술이 향상 되는 반면 단가는 감소하면서 인터넷 사업을 시작해도 예전만큼 비용이 많이 안 든다는 것이다.

 

셋째, 정부 지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떠한 국가들은 직접 정부가 펀드를 차려 벤처에 투자하는 경우가 있지만 큰 결과는 못 보며 오히려 민간 자본의 crowding out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오히려 세제 정책으로 유인하는 경우가 더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법인세를 개인소득세 보다 적게 해 신규사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벤처 활성화를 위한 컨퍼런스 및 주요 회의에 총리/대통령이 출현해 각광을 받게 한 것도 작게나마 작용했을 것이다

 

BRIC국가들 및 신흥경제국가에서도 앞으로 많은 세계적인 벤처기업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저술한 경제규모 및 자본시장의 확장이 점진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필요한 여건들이 형성 되어 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가장 큰 걸림돌은 혁신 문화 (entrepreneurial culture) 가 많이 정착되어 있지 않고 벤처 투자자들을 보호 할 수 있는 투명한 법적 체제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업들이 아직 대부분 미국을 비롯해 유럽과 같은 선진국들에서 많이 배출되는 이유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산업들이 있기 때문이고 이를 뒷받침 해 질 수 있는 경제 인프라 (법률, 자본시장, 투명성, 투자자 보호 체제 등)가 구축 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벤처기업 육성에만 초점을 갖기 보다 국가 경쟁력의 향상에도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1] Go4Venture Advisers


--------------------------------------------------------------------------------------------------------------------------------------------------------------------------------------------

박준영

CSFB, Rothschild, Lehman Brothers에서 10년 이상 서울, 뉴욕, 홍콩에서 investment banking 근무

현재는 런던 소재 국제금융기구인 유럽개발부흥은행(EBRD)에서 30개 이상 국가에 있는 금융기관에 투자 업무 담당. 터키와 러시아 회사 사외이사도 겸임.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일본 게이오대 MBA 졸업.

--------------------------------------------------------------------------------------------------------------------------------------------------------------------------------------------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6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6
759 박심원의 사회칼럼 우물 안 개구리 file eknews 2016.06.27 3952
758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우주 eknews 2015.10.19 1480
757 아멘선교교회 칼럼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유를 지으신 신께서는 천지의 주재시니... 편집부 2018.11.20 914
756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우주의 심정 eknews 2015.09.07 1323
755 빈나리의 개발도상국 뉴스 우크라이나 (Ukraine) eknews 2016.04.23 2082
754 최지혜 예술칼럼 운명으로 정해진, 평생을 함께 할 동반자가 되는 것입니다 file 편집부 2019.01.07 1631
753 최지혜 예술칼럼 움직이지 않으면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file 편집부 2019.08.07 1838
752 최지혜 예술칼럼 워싱턴 스퀘어의 피카소 file 편집부 2020.01.20 806
751 영국 이민과 생활 워크비자 동반자 영주권 체류기간 부족 시 eknews 2016.10.18 1844
750 최지혜 예술칼럼 원시에 대한 두 가지 시각 file 편집부 2020.03.01 1124
749 유로저널 와인칼럼 원조? 대세! 아르헨티나 말벡 file eknews 2016.05.03 2744
748 제임스강의 행복나침반 위장된 불행의 씨앗 eknews02 2018.03.12 1162
747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유능한 사람 eknews 2015.11.17 1462
74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 문화 예술 산책 예수 이야기 file 편집부 2018.04.10 1388
» 유럽 벤처기업의 부흥 file eknews 2014.10.21 2131
744 유럽 중앙은행 (ECB) QE 와 유로 (Euro) 관계 file eknews 2015.03.16 1441
743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에서 프랑스에서 먹고 마시는 전통과 상징 (1) file 편집부 2019.09.02 1414
74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에서 프랑스에서 먹고 마시는 전통과 상징 (2) file 편집부 2019.09.09 2122
74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문명과 역사에서-여성의 이야기 (1) file 편집부 2019.03.12 6230
74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문명과 역사에서-여성의 이야기 (2) file 편집부 2019.03.18 4159
Board Pagination ‹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