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내년 여성인구 남성 첫 추월, 인구구조 대변혁 전망

by eknews posted Nov 2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내년 여성인구 남성 첫 추월, 인구구조 대변혁 전망


내년 여성인구가 처음으로 남성 인구를 추월해 이른바 '여초시대‘가 열리는 등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대변혁이 예고되고 있다.

 974-사회 7 사진.png

전체 인구는 2030년 5천 216만명까지 늘어난 뒤 2031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은 내년 여성인구는 2,531만명으로, 남성인구 2,530만명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남아선호 사상이 강했던 우리나라에서 남녀 인구 역전은 정부가 196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이다.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보다 많은 이 같은 여초 현상은 저출산과 고령화 때문으로 분석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올해 639만명에서 계속 증가해 2017년에는 712만명으로, 14세까지의 유소년 인구를 사상 처음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 이후 17년만에 고령사회를 맞게 되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구가 줄면서 노동 공급이 위축돼 취업자 수는 2026년 이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고령화에 따른 총요소생산성이 약화돼 실질성장률이 올해 3.6%에서 갈수록 하락해 2060년에는 0.8%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한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