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2015.02.23 01:32

사람은 무엇을 먹고 사는가

조회 수 21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사람은 무엇을 먹고 사는가




의식주에서 식食의 비중이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그 의식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세계화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식생활도 많은 변화가 있어

우리 방식만을 고집할 수도 없게 되었지요. 



어떤 이는 식도락가여서 음식을 즐기기 위해 시간과 돈을 과감히 쓰기도 합니다.
또 어떤 이는 식탐이 많아서 음식에 욕심이 많기도 하지요.
아마 넉넉하지 못하였던 그 어느 시절에 생긴 습관이 몸에 배인 탓일 수도 있습니다. 



언젠가부터 유기농의 바람이 부는 것을 보니

먹거리의 귀중함을 우리는 몸으로 느끼나 봅니다.
사람이 귀하다고 하므로 사실 귀한 음식을 먹어줘야 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음식을 준비할 때는 또한 정성스레 해야 하지요.
음식과 함께 바로 그 정성을 먹는 것이니까요.
우리가 남의 집에 가서 대접을 받고 진심으로 감사함을 느낄 때

바로 주인의 정성에 감복해서일 것입니다. 



음식을 먹을 때는 그렇지만 또한 안 먹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 보아야 한다고 보는데,

어디서인가 어느 스님께서 일년에 한 달 정도는 단식을 한다고 하는 이야기를 듣고

제 무릎을 친 적이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종교관에 의해서도 하시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도 음식의 고마움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고 또한 자신의 몸에게 쉴

시간을 주면서 나쁜 기운을 배출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배가 고파오면 사실 정신은 더 맑아집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오전금식 이런 식으로 시도를 해 보시는 것도 좋은

같습니다.  무리는 금물이며 3일에서 일주일 이런 식으로 시작을 해서 조금씩 더 늘려나가

것이 방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는 때로는 아무리 먹어도 배가 차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먹거리로 해결할 때가 그럴 수도 있고

또한 마음이 고플 때는 먹어도 먹어도 허전하고 배가 차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자신의 마음을 채워줘야 합니다. 



사람은 본래 불완전하게 창조가 되었다고 하는군요.
그 불완전을 완전에 가깝게 변화시킬 때 사람은 사실 만족하게 됩니다.
물론 한꺼번에 변화시킬 수는 없어 하나씩 하나씩 조금씩 조금씩 변화시키는 것인데요.
충족을 시켰을 경우 밥을 안 먹어도 배가 부르며 자신감이 충만하게 되지요.
스스로 만족 시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불완전을 잘 모릅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본인을 제외한 다른 이는 모두 안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우리는 곧잘 “저 사람은 저게 문제야” 하는 말을 하지요.
모두가 문제인 줄 아는데 본인은 스스로에게 익숙한 탓인지 잘 모르거나 관심이 없거나 하지요. 



사실 먹고 살기도 바쁜 세상이니 어떻게 이런 문제를 파서 볼 것이

또한 본인의 문제를 안다고 하더라도 어떤 방법으로 해결을 할 것인지요.
그러므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답을 찾으려 노력하지는 않지요. 



사람들은 누구라도 진화 내지 영적인 발전을 해야 만족을 하게끔 태어났으므로

끊임없이 자신을 진화시키기 위해 무언가를 항상 갈망하고 있답니다. 



우리가 무엇인지를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찾아 다니는 이유일지도 모릅니다.
때로는 배움의 방법으로, 때로는 일탈의 방법으로, 때로는 방랑의 방법으로요.



그러므로 허전함을 느낄 때는 어디서 오는 것인가를 알아 내셔야 합니다.
정신적인 허전함은 음식으로는 해결이 안 되며

만약 음식으로 해결하려 한다면 결국 육체적인 비만으로 이어지겠지요.
본인 스스로를 만족시키는 그 무엇을 찾아 내셔야 합니다.
사람이 먹어야 하는 양식은 식食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Grinee, Lee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현재 호주 시드니 거주
grineelee@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4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56
480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3)-소박한 거품(bulles)과 귀로 마시는 와인의 즐거움 (1) file 편집부 2019.09.24 1333
479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밤을 지새는 백야 축제 '라 뉘 블랑쉬' ( La Nuit Blanche) file 편집부 2019.09.24 2346
478 최지혜 예술칼럼 제2의 현대미술에 관한 논의 file 편집부 2019.09.30 1978
477 영국 이민과 생활 사업비자 연장심사와 인터뷰 file 편집부 2019.09.30 1240
47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의 부유함은 누가 가지고 있나 (2) file 편집부 2019.09.30 1689
475 아멘선교교회 칼럼 예루살렘에 있는 양문 곁에 편집부 2019.09.30 2056
474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열정적 로맨스와 그들만의 사랑 file 편집부 2019.10.01 1993
473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끝없는 불확실성을 좋아한다 file 편집부 2019.10.07 2635
47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의 부유함은 누가 가지고 있나 (3) file 편집부 2019.10.08 1328
471 아멘선교교회 칼럼 어떤 병든 자가 있으니 편집부 2019.10.08 1521
470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4)-소박한 거품(bulles)과 귀로 마시는 와인의 즐거움 (2) file 편집부 2019.10.08 1657
469 영국 이민과 생활 특수한 경우 10년루트 배우자비자 file 편집부 2019.10.09 1694
468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미라보 다리에서 흘러간 사랑 file 편집부 2019.10.09 2043
467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학위과정과 한국 군대문제 편집부 2019.10.24 2468
466 아멘선교교회 칼럼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았느니라 편집부 2019.10.25 1342
465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사랑의 매력, 사진의 매력 편집부 2019.10.29 1376
464 최지혜 예술칼럼 수많은 예술언어의 놀이 file 편집부 2019.11.03 1477
463 영국 이민과 생활 솔렙비자 신청자격과 영국 활동범위 편집부 2019.11.04 1262
462 최지혜 예술칼럼 클레멘트 그린버그가 보증한 작가 file 편집부 2019.11.04 1475
46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이야기 file 편집부 2019.11.05 2786
Board Pagination ‹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