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499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축제의 장과 도시 재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쫓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스포츠 축제를 위해 타오른 성화, 향후150년 간 런던 동부를 밝힐 계획이다

Trafalgar station.jpg
1908년과 1948년에 이어 2012년 런던은 근대 올림픽을 세 번이나 개최하는 최초의 도시가 된다


2005년 7월 6일 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응집해있던 4천여 명의 시민들은 현장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을 통해 2012년 올림픽 개최지로 파리를 제치고 런던이 결정됐다는 소식이 발표되자 일제히 환호하며 고함을 지르기 시작했다. 마치 200년 전에 넬슨 제독이 나폴레옹을 물리쳤던 트라팔가 해전이 재연된 것처럼 영국 전체가 흥분의 도가니였다. 런던은 축구, 테니스, 골프 등 근대 스포츠의 발상지라는 점과 특히 올림픽 후에도150년간 런던 동부 지역을 활기에 넘치는 질 높고 지속 가능한 복합 용도의 도시로 계획해 반 영구적인 유산으로 후대에게 물려준다는 발상이 높은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매 번 개최국이 단 2주간의 축제를 위해 쏟아 붓는 비용이 너무 엄청나다라는 비평에 시달려 왔기 때문이다.
다양한 문화가 밀집돼 있는 런던 동부는 현재 카나리 와프라는 비즈니스 허브 (Hub), 시티라는 국제 공항이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스트라트포드 국제 철도 역사까지 들어설 예정이어서 웨스트 민스터 시와 런던 시 다음으로 런던의 세 번째 시로 승격할 만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된 런던 동부 리 강 하류 유역 (Lower Lea Valley)은 도시적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고 유기된 공업 지대와 빈민가로 정평이 나있는 곳으로 도시와 도시 사이의 갈라진 틈이라고 표현하면 이해가 쉬울 듯 하다. 이 지역은 청결하지 못한 수로, 혼잡하게 얽힌 도로와 철길 그리고 여기 저기 산재한 철탑들로 분할되고 오염되어 있다.

Before-site.jpg
올림픽 사이트인 런던 동부 리 강 유역의 지저분하고 침울한 거리 광경들


하지만 2012년 런던 올림픽 개최와 더불어 교통망 재정비 계획을 포함해 약 160억 파운드(약 33조원)의 예산이 책정된 주목할 만한 도시 재생의 기회를 맞고 있다. 런던시내 다른 지역에 비해 경제수준 및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했던 런던 동부지역에 최소44%의 가족 단위 주택이 포함된 3만 5천 호 가량의 새로운 주거시설과 5만 명을 위한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전체적인 삶의 질적 향상이 재 개발의 목표로 정해진 것이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은 베이징에서도 사용됐던 ‘친환경’이라는 말 대신 ‘지속가능성’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화려한 경기장과 선수촌을 짓는 한쪽에 빗물저장시설이나 태양광시설 등을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친환경 운운하는 빛 좋은 개살구 식 정책이 아니라, 올림픽 시설 건설과 운영 모든 면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겠다는 결의다. 올림픽 시설이 집중될 하이드 파크와 비슷한 면적의 올림픽 공원의 건설을 위해서도 기존에 있는 건물을 허물 경우 대부분의 폐기물을 새로 짓는 올림픽 공원 건설에 재활용하고 경기장에서 쓰는 전력도 일부분 풍력 발전소에 의해 재생되는 에너지로 대체한다.



Olympic.jpg
수로와 수변 환경이 발달한 지역의 특성을 살려 환경 친화적으로 계획된 런던 올림픽 공원

olympic stadium.jpg

suzy-olympics-docklands_0091.jpg
랜드마크적 위상 보다는 실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디자인 된 런던 올림픽 주 경기장의 조감도와 공사 현장


주 경기장을 중심으로 수영장, 농구, 사이클, 펜싱, 핸드볼 경기장 등 대부분 경기장과 선수촌을 올림픽 공원 근처에 건설해 참가자들의 동선도 최대한 줄일 방침이며 장애인을 제외한 전 관람객이 경기장에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에 의한 접근이 용이하게 하고 자전거와 도보로 경기장에 오도록 유도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자동차 이용은 전면 금지하고 항공 대신 수로를 이용한 화물 운송도 가능하다. 또한 유럽 관람객은 철도로 이동하는 것이 더 편리하도록 올림픽 공원에서 국제철도역인 런던 성 판크라스역 사이를7분 만에 연결하는 고속철도도 놓는다.
런던 올림픽 주 경기장은 베이징 올림픽 주 경기장보다 작은8만석 규모로, 경기가 끝나면 상부 5만 5천 석을 해체해 여러 개의 작은 경기장으로 만들어 쓸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등 전례를 살펴 보면 주 경기장은 올림픽 후 지역 경기장으로 사용하기에는 언제나 규모나 비용 면에서 지나치게 광대하고 비싸 장시간 비어 있기 일쑤다. 그래서 이 단점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케 하기 위해 일부를 떼어 내어 재활용하겠다는 계획은 건축적으로도 비슷한 예를 찾기 힘든 실험적인 발상이다.
2012년 여름 전 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될 리 강 하류 유역은 런던의 도시 체계를 전역으로 흡수하고 그 곳의 자연적 특성을 살려 녹지대와 수공간이 조화된 “물과 어우러지는 도시 (Water city)”로 다시 태어나면 도시 재생이라는 한 마리 토끼는 잡을 수 있겠지만 베이징 올림픽 주 경기장 같은 랜드마크없이 런던 올림픽이 축제의 장이라는 다른 또 한 마리의 토끼도 잡게 될지는 두고 보자.





박치원

RIBA, ARB (영국 왕립 건축사)
SMAL AND PARTNERS (도시 및 건축 설계 파트너쉽) 대표
뉴카슬 대학 건축 디자인 디플로마 튜터
www.smalandpartners.com
cpark@smalandpartners.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저자 박치원 소개 file eknews 2009.10.20 7252
22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2011년 이산화탄소 제로 도시라는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쾰른의 라이노하버 (Rheinauhafen) file 유로저널 2010.08.08 5497
21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런던의 새로운 경제 허브로 성장해 가고 있는 카나리 워프 file 유로저널 2010.08.02 17443
20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대각선으로 건너게 된 옥스퍼드 서커스 file 유로저널 2010.07.25 5399
»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런던 올림픽 file 유로저널 2010.07.25 4998
18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데미안 허스트에서 테이트 모던까지 file 유로저널 2010.07.25 6134
17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그랜드 파리 file 유로저널 2010.07.25 6725
16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빌바오 구겐하임 뮤지엄 효과 file 유로저널 2010.07.25 6290
15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베를린 장벽 철거 후 신 베를린 file 유로저널 2010.07.25 5138
14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보르네오 스포렌버그편 유로저널 2010.07.20 3276
13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 하펜 시티편 유로저널 2010.05.12 3287
12 유럽 도시 재생 총정리 - 바르셀로나 편 유로저널 2010.05.12 5155
11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11. 영국에서 장기간 반복되는 불경기를 틈타 부동산 재태크를 원한다면 Thames Gateway Plan을 참고해 보도록 하자 유로저널 2010.02.24 2896
10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10. 업무공간과 상업시설의 개발로 인해 세인트폴의 그림자에 가려 늘 어둡기만 했던 광장이 오히려 재활한 셈이다 유로저널 2010.02.24 2983
9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9. 전쟁으로 폐허가 된 지역이 주거, 교육 그리고 예술문화가 함께 하는 조그만 도시로 거듭난 바비칸 단지 유로저널 2010.02.24 3149
8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8. 철저한 대립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업무 시설을 위한 벤치마킹의 장이 된 런던의 시티지역 유로저널 2010.02.24 2345
7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7. 런던 강남지역의 또 하나의 아이덴터티 - 뱅크사이드내의 도시공원(Urban Forest) 유로저널 2010.02.24 3276
6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6. 문화 예술의 메카로 거듭나고 있는 런던의 강남지역 (South Bank) 유로저널 2010.02.18 3107
5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5. 유로저널 2010.02.18 2747
4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4. 템즈강 중앙을 가로 지르는 두 개의 보행 친화적 다리- 밀레니엄 다리와 골든 쥬빌리 다리 유로저널 2010.02.18 3048
3 박치원의 건축문화 칼럼 3. 하나로 융합된 내셔널 갤러리와 트라팔가 광장 유로저널 2010.02.18 208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Next ›
/ 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