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스마트 혁명 24조원 투입해 제조업 혁신,2024년 수출 1조 달러 달성

by eknews posted Mar 2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스마트 혁명 24조원 투입해 제조업 혁신,2024년 수출 1조 달러 달성

989-경제 1 사진.png

정부가 2017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총 24조원을 투입해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고 스마트 제조기술을 개발하는 등 스마트혁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까지 민간 22조원, 정부 2조원 등 총 24조원의 혁신형 투자를 끌어내 경제활력을 높이고 2024년까지 수출 1조달러를 달성해 제조업 수출 4위를 달성할 계획이다.

우선 스마트 공장의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민관 공동으로 1조원의 재원을 마련해 공장 1만개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인이상 중소·중견기업의 공장 중 3분의 1가량을 IT기반의 생산관리를 갖춘 스마트 공장으로 육성한다.
대기업 주도로 협력사·지역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업종별 가치사슬 스마트화를 추진한다.

구체적으로는 올해 전자업종(삼성·LG) 120개, 자동차(현대차) 100개, 기계(두산·효성) 50개, 패션(제일모직) 25개 등 8개 업종에서 35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하도록 지원한다. 스마트공장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제조 현장과 결합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2017년까지 사물인터넷(IoT) 등 8대 스마트제조 기술의 연구개발(R&D)에 민관 공동으로 1조원을 투입하고 올해는 200억원 규모의 제조-IoT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기로 했다. 8대 스마트 제조기술간 유기적 연계와 전략적 투자를 위해 미래부와 산업부가 ‘스마트 제조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한다.

미래 성장동력 분야에서는 2017년까지 어군탐지용 무인기 등의 조기 제품화를 통해 150억달러 규모의 신규 수출을 창출한다. 또 2023년까지 미래 성장동력에 민관합동으로 5조원의 R&D 투자를 진행함으로써 2014년엔 수출 1000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으로 키워나가기로 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창업전주기를 원스톱 지원하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공장없는 제조업 창업의 허브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특허전략 등 지역별 특화 창업 프로그램 제공 등 아이디어 사업화 원스톱 서비스 및 기술사업화를 지원한다.
2020년까지 민관 공동 1조원 규모 재원을 조성해 1만개 공장의 스마트화 추진 수요가 높은 공정·업종을 중심으로 가상 운영환경과 실제공장이 연계된 업종별·수준별 다양한 모델공장 구축 및 확산한다.

융합 신제품의 조속한 출시를 위해 인증처리 기간을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하고 무인기 등 혁신제품에 대한 사전 검증을 할 수 있는 시범특구도 조성하기로 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