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48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7장 랑그독-루씨옹(Languedoc-Roussillon) - 4


랑그독에는 레드 와인만 있는가? 레드 와인이 85%가량이니 대세는 물론 레드 와인이다. 하지만 '신에게는 아직 15%의 화이트가 남았습니다.' 오늘은 랑그독의 편안하지만 개성 있는 화이트 와인을 살펴보자.

먼저, 픽풀 드 피네(Picpoul de Pinet)는 나폴레옹 3세 때 이미 굉장히 유행하던 와인이다. 지금은 아는 사람이 별로 없지만. 심지어 프랑스인도. 이 아펠라씨옹은 픽크풀(Picquepoul)이라는 품종만 사용해서 화이트 와인만 만드는데, 산도가 높고 드라이한 다소 단순한 스타일이다. 

이곳은 지중해 연안인 ‘바쌍 드 토(Bassin de Thau)’에 접해있어서 석회석 토양에 바다 내음이 풍성하다. 그런 이유로 산도가 높고, 약간 짭조름한 미네랄리티가 느껴져서 굴을 비롯한 해산물과 상당히 잘 어울린다. 사실은 이 동네에서 가장 흔한 음식이 해산물과 생선이다. 

이 동네에 놀러가서 해산물을 먹는다면 굳이 샤블리를 시키지 말고 특산 와인 픽풀 드 피네를 마셔보자. 대단하지는 않지만 나쁘지는 않다. 특히 해산물과 함께라면.

www.thewinedoctor.com.jpg
사진 1. 픽풀 드 피네, 그 토양은 바다!                                                                     www.festivaldethau.com



다음은 클레레트 뒤 렁그독(Clairette du Languedoc)이라는 좀 특별한 화이트 와인이다. 우선, 이 와인은 클레레트라는 생소한 품종만 사용한다. 이 와인은 드라이, 세미-스위트, 스위트 등 다양한 버전이 있다. 여기에 '헝씨오(Rancio)'라고 부르는 버전도 있는데 꿀, 견과류, 말린 과일 향, 그리고 약간은 숙성된 화이트 와인에서 오는 독특한 향이 강해서 호불호가 명확히 갈린다. 

쥐라(Jura) 지역의 ‘방존(Vin Jaune)’ 애호가라면 좋아할 것이다. 이와 비슷한 '클레레트 드 벨가르드(Clairette de Bellegarde)'도 가끔 볼 수 있다.

더운 여름날에는 시원한 화이트, 그것도 기포가 있는 스파클링이 생각나게 마련이다. 비록 샹파뉴는 없어도 랑그독에도 괜찮은 스파클링이 있다. 그것도 상당히 저렴한. 리무 지역 사람들을 비롯한 많은 이들은 리무에서 세계 최초의 스파클링 와인이 나왔다고 주장한다. 그만큼 리무는 스파클링에 대한 자긍심이 대단한 지역이다.

sdf.jpg
사진2. 블랑케트 드 리무.                                                                                                                                           http://www.thewinedoctor.com/



그중 첫 번째는 ‘크레망 드 리무(Crémant-de-Limoux)’다. 프랑스에는 샹파뉴를 제외한 스파클링 와인 중 전통방식(병내 2차 알코올 발효)으로 생산하는 스타일을 보통 크레망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크레망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곳은 한정되어 있는데, 리무가 그중 하나다. 

샤르도네(Chardonnay)를 주품종으로, 슈낭 블랑(Chenin blanc)을 보조품종으로 쓴다. 그리고 모작(Mauzac)과 피노 누아(Pinot noir)를 첨가할 수 있다. 반면, 같은 리무 지역 스파클링 중에 ‘블랑케트 드 리무(Blanquette-de-Limoux)’라는 것이 있는데,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블랑케트 드 리무의 경우 모작이라는 품종을 90% 가량 사용한다는 것이다. 둘 다 가성비 훌륭한 스파클링 와인이다. 그리고 낮은 알코올 도수, 가녀린 기포, 약간의 당도가 있는, 대한민국 마트 와인 코너를 점령한 그 유명한 '모스카토 다스티' 같은 스파클링을 좋아한다면 '블랑케트 메토드 엉쎄스트랄(Blanquette méthode ancestrale)’을 권한다. 

물론 아스티의 엄청나게, 또는 지나치게 화려한 향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이 여름, 부르고뉴, 보르도, 샹파뉴 지역 화이트 와인이 아닌 새로운 세계로 바캉스를 가고 싶다면, 남쪽 나라로 떠나보자. 강렬한 레드 와인의 고장, 랑그독. 이곳에도 화이트 와인이 있다!! 랑그독의 수퍼 화이트는 마지막 시간에 다시 한 번 다루겠다.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2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4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40
2240 박심원의 사회칼럼 희망의 종소리 file eknews 2017.01.02 1624
2239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file eknews02 2018.10.10 1275
2238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 학업 마친 후 남은 비자기간 여행,재입국 유로저널 2011.02.14 5846
2237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0
2236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파괴의 결합이다 - 피카소 (5) file eknews 2017.07.10 5096
2235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19
2234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사 또는 자영업 eknews 2015.02.17 1748
2233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계사는 회계사가 아니다 eknews 2015.02.03 3583
2232 최지혜 예술칼럼 환경에 처한 인간을 표현한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1.14 1863
2231 최지혜 예술칼럼 화제가 되고 있는 예술가 file 편집부 2019.09.02 2622
2230 최지혜 예술칼럼 화가들은 경험이라는 어려운 시련들을 통해 훈련된 존재들이다 file eknews02 2018.09.30 1484
2229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혼자서 스트레스 풀기 eknews 2016.03.07 1910
2228 최지혜 예술칼럼 호크니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 file 편집부 2019.08.19 1839
2227 아멘선교교회 칼럼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eknews02 2018.06.11 1126
2226 CBHI Canada 건강 칼럼 혈압약과 골다공증 편집부 2024.03.10 43
2225 최지혜 예술칼럼 현존 아티스트 중 가장 비싼 작품 file 편집부 2019.07.07 1982
2224 최지혜 예술칼럼 현재의 미술의 주도권은? file 편집부 2019.03.11 1597
2223 영국 이민과 생활 현재 YMS비자로 영국에서 좀 더 많이 체류하면서..... file 편집부 2017.12.05 2095
2222 박심원의 사회칼럼 현실은 미완성된 과거를 완성해 가는 것 file 편집부 2018.02.13 1225
2221 최지혜 예술칼럼 현대 미국 추상미술사의 선구자 file 편집부 2019.12.08 190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