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2015.07.06 00:01

경제학 그리고 영국 (Economics and UK)

조회 수 19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경제학 그리고 영국 (Economics and UK)



‘유용한 물 한잔보다 왜 쓸모없는 다이아몬드가 더 비싼가’라는 질문에 대한 설명이 가능한 것은 경제학 (Economics)이 있기 때문이다.



철학 (Philosophy)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독자분이 있을지 모르지만, 필자의 견해로는 사실 철학은 위 질문을 만들어 냈고, 대답은 수리경제학 (mathematical economics)이 했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경제와 철학을 묶어 생각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는지 경제철학 (philosophy of economics)이라는 것도 있긴하다. 다른 분야와 달리 유달리 경제학은 인물중심의 학습이면서 각각의 경제학자 (economist)들이 주창한 학설만 배워도 경제학을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늘 생각하곤 했다. 또 한편으로는 왜 주요 경제학자들이 모두 영국인일까 의아해하며, 영국 국민들은 경제이론 만들기에 마치 생사를 건 사람들처럼 보였다.



오늘 칼럼에서는 세금 (taxation)이나 회계 (accounting)를 잠깐 옆으로 옮겨두고, 13-18세기의 중상주의 (mercantilism)이후의 근대 경제학 계보를 간략하게 살펴볼까 한다.


근대 경제학 (modern economics)은 영국에서 이렇게 시작된다;



아담 스미스 (Adam Smith)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담 스미스 (Adam Smith)가 자유방임 시장경제 즉, 국가가 여러 경제 활동에 간섭하지 않는 자유 경쟁 상태에서도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에 의해 사회의 질서가 유지 발전되고, 그리고 국제무역은 절대우위 (absolute advantage)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국부론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을 스코틀랜드에서 저술하자, 영국 남서부의 온천 휴양지 Bath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던 데이빗 리카도 (David Ricardo)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우연히 이 책을 읽고 크게 감명받아 독학으로 경제학을 공부한다.



데이빗 리카도 (David Ricardo)
이후 데이빗 리카도는 아담 스미스의 절대우위설을 뒤집어, 비교우위론 (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를 근거로 자유무역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경제학 및 과세의 원칙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등을 저술하며, 아담 스미스와 더블어 최초로 근대 경제이론인 고전 경제학 (classical economics) 체계를 완성한다. 그리고 경제학자들중에서 유일하게 대학 문턱을 밟지 못한 런던 토박이 (Londoner) 경제학자다.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현대의 여러 학파들은 대부분 고전학파로부터의 탈피를 거침으로써 비로써 성립하게 되는데, 데이빗 리카도의 Bath 휴가후 새롭게 등장하는 마르크스경제학 (Marx economics)과 데이빗 리카도를 계승하는 신고전학파 (Neoclassical economics)의 두 갈래로 나누어볼 수 있다.



‘공산주의 교과서’ 또는 ‘사회주의 성서’ 로 불리는 ‘자본론 (Das Kapital)’는 1980년대말까지 한국에서는 금서로 묶여있다가 1989년에 비로소 금서해지된 책이다. 총 3권까지를 정통 마르크스의 ‘자본론’으로 보는데, 제1권은 마르크스가 이어 2권, 3권은 마르크스가 영국에 망명후 하루 10시간씩 도서관 (British Library)에서 집필할 때 만나게 되는 프리드리히 엘겔스 (Friedrich Engels)에 의해 마르크스 사후 완성된다.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런던 북쪽 Highgate에 묻혀있는 마르크스가 사망한 1883년에 신고전학파를 대표하며,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통해 현대 거시경제학의 창시자로 추앙받는 케인즈가 영국 Cambridge에서 태어난다.



세계 2차대전이후 1970년대 석유파동전까지 케인즈의 경제정책은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하게 되며 (Keynesian Revolution), 이후 미국의 밀턴 프리드먼 (Milton Friedman)의 신자유경제학 (Capitalism and Freedom)에 2010년까지 잠시 자리를 내주었다가(?) 최근 2007년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이후 다시 케인즈 경제학 (Keynesian economics)이 조명을 받고 있다.



참고로,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은 경제성장, 경기변동, 실업, 인플레이션등 경제 전체의 움직임을 다루며,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은 개인과 기업등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을 다룬다.



회계사 최무룡
WWW.ORGANICACCOUNTANCY.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576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3 레옹 카발로의 팔리아치 ( Pagliacci) file eknews 2015.12.07 3789
575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4 지아꼬모 푸치니(Giacomo Puccini)의 마농 레스꼬(Manon Lescaut) file eknews 2015.12.14 4220
574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5 쥬세폐 베르디(Giuseppe Verdi)의 맥베스(Macbeth) file eknews 2016.01.01 4546
573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푸치니(Puccini)의 라 보엠(La boheme) file eknews 2016.08.23 4375
572 최지혜 예술칼럼 작업하는 동안 내가 무엇을 그리는지 나는 모른다- 피카소4 file eknews 2017.07.03 4853
571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잘못된 장소와 시간, 자아가 없는 우리 file eknews 2017.01.16 1993
570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재산상속세 eknews 2015.02.10 2585
569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그림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는 전혀 모른다” (2) file 편집부 2022.03.10 159
568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다른 사람이 했던 게 아니라, 단지 내가 해야 할 것을 하기로 결정했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152
567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라우센버그가 들라크루아라면 재스퍼 존스는 앵그르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54
566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마음/거울 file 편집부 2022.03.10 54
565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미국 미술의 영웅 (5) file 편집부 2022.03.11 59
564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생존 작가 미술 작품 중 가장 비싼 이유 (6) file 편집부 2022.03.11 230
563 최지혜 예술칼럼 잭슨을 감동시켰다 file 편집부 2020.02.02 2767
562 아멘선교교회 칼럼 전날 17, 18년 깡패였던 박영문 목사의 천국과 지옥의 증언 file 편집부 2018.04.04 1506
561 전문대 졸업자도 영국취업비자 신청가능 한가요? eknews 2012.04.24 8409
560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전설적인 음악의 반항아 세르쥬 갱스부르 Serge Gainsbourg file 편집부 2020.03.02 1521
559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전염병을 연주하는 음악 file 편집부 2020.04.20 4519
558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전염병의 시대를 살아내는 음악 편집부 2021.03.29 801
557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전자계좌시스템 도입과 전자정부 eknews 2015.04.07 1391
Board Pagination ‹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