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2015.07.06 00:01

경제학 그리고 영국 (Economics and UK)

조회 수 19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경제학 그리고 영국 (Economics and UK)



‘유용한 물 한잔보다 왜 쓸모없는 다이아몬드가 더 비싼가’라는 질문에 대한 설명이 가능한 것은 경제학 (Economics)이 있기 때문이다.



철학 (Philosophy)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독자분이 있을지 모르지만, 필자의 견해로는 사실 철학은 위 질문을 만들어 냈고, 대답은 수리경제학 (mathematical economics)이 했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경제와 철학을 묶어 생각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는지 경제철학 (philosophy of economics)이라는 것도 있긴하다. 다른 분야와 달리 유달리 경제학은 인물중심의 학습이면서 각각의 경제학자 (economist)들이 주창한 학설만 배워도 경제학을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늘 생각하곤 했다. 또 한편으로는 왜 주요 경제학자들이 모두 영국인일까 의아해하며, 영국 국민들은 경제이론 만들기에 마치 생사를 건 사람들처럼 보였다.



오늘 칼럼에서는 세금 (taxation)이나 회계 (accounting)를 잠깐 옆으로 옮겨두고, 13-18세기의 중상주의 (mercantilism)이후의 근대 경제학 계보를 간략하게 살펴볼까 한다.


근대 경제학 (modern economics)은 영국에서 이렇게 시작된다;



아담 스미스 (Adam Smith)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담 스미스 (Adam Smith)가 자유방임 시장경제 즉, 국가가 여러 경제 활동에 간섭하지 않는 자유 경쟁 상태에서도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에 의해 사회의 질서가 유지 발전되고, 그리고 국제무역은 절대우위 (absolute advantage)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국부론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을 스코틀랜드에서 저술하자, 영국 남서부의 온천 휴양지 Bath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던 데이빗 리카도 (David Ricardo)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우연히 이 책을 읽고 크게 감명받아 독학으로 경제학을 공부한다.



데이빗 리카도 (David Ricardo)
이후 데이빗 리카도는 아담 스미스의 절대우위설을 뒤집어, 비교우위론 (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를 근거로 자유무역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경제학 및 과세의 원칙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등을 저술하며, 아담 스미스와 더블어 최초로 근대 경제이론인 고전 경제학 (classical economics) 체계를 완성한다. 그리고 경제학자들중에서 유일하게 대학 문턱을 밟지 못한 런던 토박이 (Londoner) 경제학자다.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현대의 여러 학파들은 대부분 고전학파로부터의 탈피를 거침으로써 비로써 성립하게 되는데, 데이빗 리카도의 Bath 휴가후 새롭게 등장하는 마르크스경제학 (Marx economics)과 데이빗 리카도를 계승하는 신고전학파 (Neoclassical economics)의 두 갈래로 나누어볼 수 있다.



‘공산주의 교과서’ 또는 ‘사회주의 성서’ 로 불리는 ‘자본론 (Das Kapital)’는 1980년대말까지 한국에서는 금서로 묶여있다가 1989년에 비로소 금서해지된 책이다. 총 3권까지를 정통 마르크스의 ‘자본론’으로 보는데, 제1권은 마르크스가 이어 2권, 3권은 마르크스가 영국에 망명후 하루 10시간씩 도서관 (British Library)에서 집필할 때 만나게 되는 프리드리히 엘겔스 (Friedrich Engels)에 의해 마르크스 사후 완성된다.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런던 북쪽 Highgate에 묻혀있는 마르크스가 사망한 1883년에 신고전학파를 대표하며,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통해 현대 거시경제학의 창시자로 추앙받는 케인즈가 영국 Cambridge에서 태어난다.



세계 2차대전이후 1970년대 석유파동전까지 케인즈의 경제정책은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하게 되며 (Keynesian Revolution), 이후 미국의 밀턴 프리드먼 (Milton Friedman)의 신자유경제학 (Capitalism and Freedom)에 2010년까지 잠시 자리를 내주었다가(?) 최근 2007년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이후 다시 케인즈 경제학 (Keynesian economics)이 조명을 받고 있다.



참고로,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은 경제성장, 경기변동, 실업, 인플레이션등 경제 전체의 움직임을 다루며,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은 개인과 기업등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을 다룬다.



회계사 최무룡
WWW.ORGANICACCOUNTANCY.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0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3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9
2239 박심원의 사회칼럼 희망의 종소리 file eknews 2017.01.02 1624
2238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file eknews02 2018.10.10 1275
2237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 학업 마친 후 남은 비자기간 여행,재입국 유로저널 2011.02.14 5846
2236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0
2235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파괴의 결합이다 - 피카소 (5) file eknews 2017.07.10 5096
2234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19
2233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사 또는 자영업 eknews 2015.02.17 1748
2232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계사는 회계사가 아니다 eknews 2015.02.03 3583
2231 최지혜 예술칼럼 환경에 처한 인간을 표현한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1.14 1863
2230 최지혜 예술칼럼 화제가 되고 있는 예술가 file 편집부 2019.09.02 2622
2229 최지혜 예술칼럼 화가들은 경험이라는 어려운 시련들을 통해 훈련된 존재들이다 file eknews02 2018.09.30 1484
2228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혼자서 스트레스 풀기 eknews 2016.03.07 1910
2227 최지혜 예술칼럼 호크니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 file 편집부 2019.08.19 1839
2226 아멘선교교회 칼럼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eknews02 2018.06.11 1126
2225 CBHI Canada 건강 칼럼 혈압약과 골다공증 편집부 2024.03.10 42
2224 최지혜 예술칼럼 현존 아티스트 중 가장 비싼 작품 file 편집부 2019.07.07 1982
2223 최지혜 예술칼럼 현재의 미술의 주도권은? file 편집부 2019.03.11 1597
2222 영국 이민과 생활 현재 YMS비자로 영국에서 좀 더 많이 체류하면서..... file 편집부 2017.12.05 2095
2221 박심원의 사회칼럼 현실은 미완성된 과거를 완성해 가는 것 file 편집부 2018.02.13 1225
2220 최지혜 예술칼럼 현대 미국 추상미술사의 선구자 file 편집부 2019.12.08 190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