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비박-비노'의 중도파,'천-손-정'트로이카 신당설 난무

by eknews posted Jul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비박-비노'의 중도파,'천-손-정'트로이카 신당설 난무


국회법 거부권 정국에서 불명예 퇴진한‘유승민 파동’으로 새누리당이 쑥대밭이 되면서 여권 내 비박(비박근혜)계와 야권 내 비노(비노무현)계의 연대설이 불거지고,야권에서는 '천-손-정'트로이카 신당설이 재부상하고 있다.
먼저,집권여당과 제1야당의 극심한 계파 갈등에 시달리고 있는 거대 양당 체제의 비주류인 이들이 좌도 우도 아닌‘중도 노선’을 기치로 거국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논리다.



새누리당 초·재선 수도권 의원들이 20대 총선 전패에 공포에 휩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야 분화에 따라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과 비박·비노 신당, 친노(친노무현)의 새정치민주연합으로 재편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거부권 정국에서 박 대통령에게 사실상 백기 투항한 비박계가 탈당할 감행할 명분과 실익이 없어 현실적으로 희박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1004-정치 1 사진.png


참여정부 출범으로 친노계가 정치 전면에 등장하자, 그 반작용으로 구민주계의 ‘호남 신당론’이 정치적 국면마다 야권발 정계개편을 이끌었다. 야권 내부가 ‘친노계 vs 비노계’, ‘영남 vs 호남’ 구도가 고착되기 시작했다.



게다가 한 번 여당에서 달콤한 정치를 했던 사람들이 가시밭길의 야당을 하기는 더욱 어렵다는 것이다.
비박·비노 연대설은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을 지냈던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발언으로 급물살을 탔다. 이 교수는 “(여권) 비박 성향의원 중 수도권 등에 개혁성향 의원들과 (야권) 비노 진영의 수도권·호남 일부 분들도 상당히 개혁 지향적이고 진영논리에 염증을 느끼는 분들이 있다”며 “정치권 변화에 따라 연대, 나아가서는 제3당도 불가능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천정배 신당 합류설이 나오는 YS(김영삼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 고려대학교 지속발전연구소 교수는“박근혜 세력은 탈당해 ‘도로 민정당’으로 가고 비박 세력은‘신(新) YS 세력’으로 뭉치고 비노(비노무현) 세력은‘신 DJ(김대중) 세력’으로 재편해 친노 세력과 갈라서면 된다”고 말했다.
반면,정치권 한 관계자는 비박·비노 연대설과 관련해 “정계개편 과정에서 흔히 있는 현실 가능성이 극히 낮은 시나리오”라며 “거대 양당이 지역주의에 묶여있는 상황에서 비박·비노계의 지역 거점은 어디인가. 결국 정치적 미아가 될 것”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한편,야권에서도 친노(친노무현계)계와 대립각을 세워온 천정배 무소속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정동영 전 상임고문이‘비노(비노무현) 중심의 신당 창당 및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발 정계개편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월 신당설에 휩싸인 천정배 의원은 ‘뉴 DJ(김대중 전 대통령) 플랜’을 천명하고 있으며,손학규 전 고문은 전남 강진 토담집에 칩거 중이고, 4·29 재·보궐선거 패자인 정 전 고문은 최근 전북 순창으로 귀향해 있어 이들의 호남 민심 의지는 부인할 수가 없다.



천 의원 측은 호남 신당이 아닌 전국적 신당을, 정동영·손학규 전 고문 측은 “정치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지만, 호남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상징 정치’에 나섰다는 분석도 부인하기는 어렵다.
새정치연합 전략통인 한 의원은 비노 인사들이 저마다 호남에 상징성을 부여하는 행보에 나서는 것에 대해“야권 경쟁 국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도층이 아닌 지지층 선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야권 등 정치권에서는 이들 트리오가 야권 신당 창당을 위해서는 "새정치연합의 세컨드 이미지 극복,세력을 규합할 수 있는 대선주자 확보 등"을 실현할 수 없다면 야권만 분열시켜 새누리당에게 또다른 어부지리 승리만을 안겨줄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i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