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9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22.jpg|||20070613083154_1_4.jpg||||||||||||||||||
extra_vars2 |||||||||||||||||||||||||||||||||||||||||||||||||||||||||||||||||||||||||||||||||




필자가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1994년 가을, 지금은 폐관된, 그리고 아직도 수많은 영화광들의 추억 속에만 자리하고 있을 종로 2가의 예술/컬트영화 전문 상영관이었던 코아아트홀에 ‘중경삼림’이라는 한 편의 홍콩영화가 상영되었다. 오우삼의 ‘영웅본색’으로 시작된 홍콩느와르의 르네상스를 거쳐 주성치의 도박영화를 끝으로 자멸해버린 홍콩영화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이 작품은 당시 막강했던 임청하 신드롬, 매력남 금성무의 재발견, 왕정문이라는 천재배우의 발굴, 거리마다 울려 퍼지던 마마스 앤 파파스의 ‘California Dreaming’, 그리고 바로 오늘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 세 번째로 소개하는 왕가위 감독을 만나게 해준 소중한 작품이었다. 홍콩의 구석구석을 때로는 화려한, 때로는 쓸쓸한 조명으로 비추며 핸드헬드(Hand-Held, 촬영기사가 카메라를 직접 들고 이동하며 촬영하는 기법) 촬영을 사용, 영화 속 주인공들의 심리가 가슴 깊이 느껴지는 화면과 각 장면의 감동을 극대화시킨 음악, 영화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도시인의 고독과 홍콩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단상… 성공한 장르에 대한 삼류 아류작의 홍수와 홍콩스타의 부재, 그리고 헐리우드 영화의 막강공세에 눌려 한 동안 영화다운 홍콩영화를 맛보지 못했던 관객들은 마치 한 편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듯한 흡입력으로 액션과 도박이 아닌, 또 다른 이야기, 그것도 너무나 매력적인 이야기를 감각적으로 그려나간 이 작품에 열광하면서 한동안 왕가위 신드롬을 이어갔다.

1958년 7월 17일 중국 상해 출생한 왕가위 감독은 홍콩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 후, TV 드라마 일을 하다가 1998년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쓴 ‘열혈남아’(원제는 江湖龍虎門, 최근 설경구가 주연한 우리영화 ‘열혈남아’는 사실 이 영화 제목을 그대로 차용했다)라는 작품으로 감독 데뷔를 했다. 유덕화와 장만옥이라는, 비교적 스타급 배우들이 출연했던 이 영화는 당시 국내에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던 주윤발과 ‘영웅본색’으로 대표되는 홍콩느와르의 한 작품으로 묻혀졌지만 사실 이 작품은 의리와 액션을 강조한 여타 홍콩느와르와는 분명 다른 영화였다. 즉, 홍콩 뒷골목 청년들의 허무를 통해 장차 중국반환을 앞둔 홍콩의 불확실한 미래, 홍콩이라는 도시가 지닌 고독과 허무라는 왕가위 감독의 주제의식이 시작된 작품이며, 그의 이러한 주제의식과 홍콩을 바라보는 시선은 이후 그의 작품들을 통해서도 끊임없이 제시되고 있다.

이후 연출한 ‘아비정전’ 역시 홍콩에 대한 그의 주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으로 당시 국내 영화평론가나 영화 전문지들을 통해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여전히 ‘홍콩영화=액션&도박&코미디’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던 관객들에게는 그저 지루한 영화일 뿐,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4년 다소 독특한 스타일의 무협사극 ‘동사서독’을 선보인 뒤, 택동(澤東)이라는 영화사를 직접 설립, 광각렌즈와 핸드헬드 기법을 이용하여 빼어난 영상미를 선보인 ‘중경삼림’으로 14회 홍콩 금장상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고 주연배우 양조위는 남우주연상 수상, 흥행에서도 엄청난 성공을 거두며 수많은 왕가위 매니아를 탄생시킨 작품으로 비평, 흥행 양면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내러티브 보다는 영상미와 음악으로 관객들의 감성을 사로잡은 말 그대로 ‘왕가위 스타일’은 비주얼 세대로 접어들던 당시 젊은이들을 매료시켰고, 도시인의 고독과 허무, 그 가운데 피어나는 일상을 통한 의사소통은 여타 영화들에서는 보기 힘든 그것이었음이 분명했다.

왕가위를 이야기 하려면 반드시 언급해야 하는 인물이 있는데 바로 크리스토퍼 도일(중국이름: 두가풍) 촬영감독이다. 1990년 ‘아비정전’ 이후 그는 왕가위의 모든 작품을 촬영했으며, 이외에도 ‘첨밀밀’이나 ‘영웅’, ‘무간도’ 같은 대작들도 촬영한 현존하는 홍콩영화계 최고의 촬영감독이다.

이후 1995년 ‘중경삼림’과 다소 비슷한 톤으로 그려낸 작품 ‘타락천사’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15회 홍콩 금상장 시상식에서 9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촬영상, 여우조연상 수상.
그리고, 드디어 1997년 ‘해피 투게더’를 통해 깐느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 깐느영화제 감독상이라는 큰 상을 수상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그 지명도를 높였다. 이제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2000년대에 들어서도 ‘화양연화’와 ‘2046’과 같은 작품으로 여전히 ‘왕가위 스타일’을 고수하며 끊임없이 작품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도시인의 고독과 허무, 홍콩의 암울함과 희망, 오렌지톤의 조명과 핸드헬드 기법, 올드팝의 삽입 등 그의 작품들은 거의 예외 없이 ‘왕가위 스타일’을 벗어나지 않고 있어 때로는 지나친 집착이 아니냐는 혹평도 있지만 홍콩이라는, 독특할 수 밖에 없는 배경을 통해 그려내는 그의 영상세계는 분명 그를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 중 한 명으로 뽑는데 주저할 수 없도록 하는 매력과 힘을 가진 것 같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1 사랑의 행로(The Fabulous Baker Boys, 1989) file 유로저널 2007.04.19 1271
250 그들이 법정에 선 까닭은 file 유로저널 2007.04.26 1159
249 지구는 우리가 지킨다 file 유로저널 2007.05.03 999
248 삶을 가르쳐준 그들이 있기에… file 유로저널 2007.05.09 1046
247 신부의 아버지(Father of the bride, 1991) file 유로저널 2007.05.18 2270
246 이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를 찾아서 (1) 팀 버튼 file 유로저널 2007.05.24 1570
245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를 찾아서 (2) 이명세 file 유로저널 2007.06.01 1728
»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를 찾아서 (3) 왕가위 file 유로저널 2007.06.13 1974
243 스크린을 통해 만나는 6.25와 북한 file 유로저널 2007.06.21 1090
242 스크린을 통해 만나는 베트남전 file 유로저널 2007.06.28 1487
241 행운인가, 불행인가? 배역의 그림자 file 유로저널 2007.07.05 1121
240 영화음악가 열전을 연재하면서 file 유로저널 2007.07.12 1320
239 영화음악가 열전 (1) 엔니오 모리꼬네 file 유로저널 2007.07.20 1189
238 영화음악가 열전 (2) 존 윌리암스 file 유로저널 2007.07.27 1631
237 영화음악가 열전 (3) 조성우 file 유로저널 2007.08.03 1603
236 영화음악가 열전 (4) 에릭 세라 file 유로저널 2007.08.08 1843
235 영화음악가 열전 (5) 대니 엘프만 file 유로저널 2007.08.15 1203
234 영화음악가 열전 (6) 니노 로타 file 유로저널 2007.08.22 1210
233 ‘디 워(D-war)’ 논란의 뒷북 (1) file 유로저널 2007.09.04 1192
232 ‘디 워(D-war)’ 논란의 뒷북 (2) file 유로저널 2007.09.13 140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 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