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 100만대 이상 확산 된다

by eknews posted Dec 0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 100만대 이상 확산 된다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가 100만대 이상 확산 되고, 전국 시내버스 3만3000대도 전기차로 교체 된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했다.

우선 개인, 빌딩 등에서 직접 생산한 소규모 전력이나 남는 전력을 팔 수 있는 ‘에너지 프로슈머 전력 시장’이 개설된다.  
대학 10개 이상, 산업단지 100개소 이상, 유인도 절반을 대상으로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전개한다.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은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능형 전력망을 통해 자체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시스템이다.

신재생에너지와 단열기술을 접목한 제로에너지빌딩을 공공 주택에 시범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5년부터는 신축 건물의 제로에너지 빌딩을 의무화한다.  
기피시설, 유휴시설 등에 에너지 자립 모델을 적용해 주민 수익을 창출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총 100개소까지 확대한다.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 100만대 이상이 확산된다.

1022-경제 1 사진.jpg

제주도 전기차 100% 전환을 통해 대표 성공 사례를 도출한다. 주행거리가 짧은 제주도는 전기차 활용이 용이하며, 풍력발전과 연계해 친환경 관광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제주도 전기차 전환은 연료비 절감 효과가 높은 대중교통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우선 실시하고 향후 민간으로 확대한다.
2020년까지 충전 걱정 없는 전기차 이용 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1회 충전 거리를 기존 대비 2.5배 높이고, 민간 유료충전 서비스 사업을 활성화해 전국 단위 충전소를 확대한다.  

파급효과가 높은 시내버스(3만3천대)를 2030년까지 전기차로 교체한다.  
ESS를 2030년까지 10GWh 규모로 확대한다. ESS를 신재생에너지, 국내 배전망, 발전기 예비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우리 기업이 수출에 나설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영역의 ESS 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에 적극 대응한다.  
한편, 2030년까지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의 40%에 고효율 발전시스템을 적용한다. 셰일가스 개발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북미 시장과 중남미 시장을 겨냥한 수출산업화도 지원한다.

대용량 전력 송신 시 손실을 줄이고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초고압직류송전시스템을 고압선로에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발전소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해 저장하는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30년에는 매년 400만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한다.

한국 유로저널 안성준 기자
    eurojournal12@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