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0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5



7.  도시의 극악 무도한 면을 끌어안다


    나이브 아트(naïve art)가 지역의 향수, 정서와 같은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일정한 지역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지만, 인간의 근원성에 접근한 나이브 아트(naïve art)의 경우, 지역성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런 인간의 근원성, 즉 아이가 그린 것 같은 천진난만함을 느끼게 하는 나이브 아트(naïve art)에는 한국의 경우, 장욱진씨의 작품들이 있었다. 그리고 정식 미술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미술 치료를 받으면서 정신대 할머니들이 그렸던 인간 내면의 그림들도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30- 정신대할머니의 그림.jpg


정신대할머니의 그림



     이와 같은 인간의 기본 정서를 바탕으로 한 로리 작품전을 한국에서 기획한다면 충분히 사람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산업혁명 이후, 어렵고 힘들었던 노동자 계층의 삶은 영국에서만이 아니라, 미국, 한국 등 당시 일반 대중들의 삶이었다. 따라서, 힘든 시절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 느끼는 시대적 감수성에 바탕한 전시를 한다면, 한국에서의 로리전도 충분히 가능한 전시임에 틀림없다.
     유럽의 산업혁명을 역사책이나 박물관에서 사실적 사건을 위주로 접한 젊은 세대에게 산업혁명의 이미지는 막연히 화석화된 역사적 인상으로만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들에게 쉽게 상상 할 수 있는 산업혁명의 장면이라면 빼곡히 들어찬 공장의 굴뚝위로 솟아오르는 연기와 먼지로 뒤덮인 탁한 회색 이미지를 떠올릴 것이다.
     테이트 브리튼의 <Lowry and the Painting of Modern Life>전은 산업혁명에 대한 이런 모호한 이미지의 정체를 자세히 드러낸 전시였다. 이것은 영국의 왕실 작가 L.S. 로리의 대형 회고전이었지만, 사실은 하나의 시대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역사적인 전시였다. 
     ‘현대 삶의 화가(a painter of modern life)’라는 부제의 첫번째 전시관 “Looking at Lowry”은 마네(Édouard Manet)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 시대의 프랑스 그림들을 연상시키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것은 로리가 맨체스터 아트 스쿨에서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인 아돌프 바레뜨(Adolphe Valette, 1876 – 1942)에게서 그림을 배웠기 때문이다.
 



30- Adolph Valette,  1910.jpg


Albert Square, Adolph Valette, 1910



     그는 인상파의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1832-1883)와 조지 피에르 서랫(Georges-Pierre Seurat ,1859 - 1891)의 영향아래, 동시대 삶 속에서 무엇이 가장 생생한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그것을 그림에 담아 내고자 했다.
 



30- Edouard Manet,1863.jpg


풀밭위의 점심, Edouard Manet,1863



     연기가 나오는 굴뚝, 축구 경기장의 관중들, 빨간 색의 2층 런던 버스 등으로 자신의 그림들을 꿈틀거리게 하면서, 노동계층 사람들을 향한 연민과 도시의 극악 무도한 면을 끌어안으려는 바램을 표현했다. 
     두번째 전시관(‘The Idea of Modern Life’)에는 로리의 작품들이 다른 작품들과 어떻게 다른지, 또 그 시대와 어떤 것을 공유하고 있었는지를 언급한 평론들이 같이 전시되어 있었다.
     당시 19세기 프랑스 예술이 추함과 낯선 것에 대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을 때, 시인 찰스 보들레르(Charles Pierre Baudelaire,1821-1867)는 우리들의 넥타이와 에나멜 부츠 안에서의, 즉 현실속에서의 시적 아름다움을 보여줄 것을 화가들에게 요청했었다.
     이 때, 로리는 도심의 복잡함과 시골의 한적함을 동시에 표현하면서 현대인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스승의 영향 아래, 프랑스식 그림에 동시대 영국 도시 생활의 색깔을 적용시켰다.
     그의 그림에 나타난 일상 생활속 섬세함에 있어 잘난 척 하지 않는 솔직함은 피사로(Camille Pissarro,1830 - 1903)를, 그리고 계산된 듯한 단순함은 우트릴로(Maurice Utrillo,1883-1955)를 연상시킨다고 평론가들은 말했다.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암울한 연민 속에서는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1853-1890)와 같은 초기 프랑스 사실주의 화가들도 엿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30- Camille Pissarro,1897.jpg


The Boulevard Montmartre on a Winter Morning,Camille Pissarro,1897


 

30- Maurice Utrillo, c.jpg


La Rue Norvins a Montmartre, Maurice Utrillo, c. 1910


 

30- van Gogh,1890.jpg


At Eternity's Gate, Vincent Willem van Gogh,1890



8. “사건 사고들이 나를 흥미롭게 한다 (Accidents interest me)”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4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54
740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하루 한 가지 eknews 2016.02.29 1276
739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6 file eknews 2016.02.29 1592
738 유로저널 와인칼럼 [CES 소믈리에르 임주희] 프랑스인들이 와인 시음회를 즐기는 방법 file eknews 2016.02.28 2476
737 영국 이민과 생활 결혼 후 별거 부부 배우자비자 어떻게 eknews 2016.02.23 2302
736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도니제티(Guetano Donezetti)의 람메르 무어의 루치아 (Lucia di Lammermoor) file eknews 2016.02.23 5481
735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포기하십시오. eknews 2016.02.22 1412
734 오지혜의 ARTNOW Delacroix and the rise of Modern Art file eknews 2016.02.22 1716
»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5 file eknews 2016.02.21 2039
732 영국 이민과 생활 해외서 1-2년후 배우자비자 신청시 미리 준비 할 사항 eknews 2016.02.16 1386
731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가에타노 도니제의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file eknews 2016.02.16 5997
73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책을 앞선다 -4 file eknews 2016.02.16 1970
729 오지혜의 ARTNOW Painting the Modern Garden : Monet to Matisse file eknews 2016.02.15 2311
728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실물경제와 미술 시장을 움직이는 손들 3-(2) file eknews 2016.02.15 3513
727 유로저널 와인칼럼 프리미엄 미국 와인, 우리도 있다! 오리건 & 워싱턴!! file eknews 2016.02.15 2374
726 최지혜 예술칼럼 미술사에서 실종된 예술가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4 file eknews 2016.02.14 1960
725 영국 이민과 생활 비자 BRP카드 분실과 재발급 신청 eknews 2016.02.09 5471
72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책을 앞선다 -3 file eknews 2016.02.09 2334
723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주세폐 베르디(Giuseppe Verdi)의 일 트로바트레(Il trovatore) file eknews 2016.02.09 4155
722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사람에게 기대하지 마라 eknews 2016.02.09 2053
721 오지혜의 ARTNOW UK’s FREE Museums file eknews 2016.02.07 1386
Board Pagination ‹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