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장

서울시,구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 서울 전역 확대

by eknews posted Sep 06,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서울시,구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 서울 전역 확대


생후 30일된 신생아가 무호흡 상태로 병원 응급실로 실려 와 기관내삽관 처치로 고비를 넘겼으나 그 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을 바로 이용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병원 측은 다른 병원을 수소문하고 서울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를 요청, 의료진은 기도삽관 중인 아기의 이송을 위해 환자감시장치, 신생아용 기관삽관 튜브 등 호흡보조장치를 바로 준비하고 출동해 신생아를 안전하게 이송했다. 

서울시는 심정지, 심근경색, 급성뇌졸중, 중증외상 등 중증응급환자를 병원간 이송할 때 전용 특수구급차를 이용하는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를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한다.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는 이동 중 상태 악화가 우려되는 중증응급환자 이송에 적합한 장비를 갖춘 중증응급환자 전용 특수구급차(Seoul Mobile Intensive Care Unit, SMICU)에 응급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응급구조사가 동승하여 전문 치료하는 서비스다. 

서울시는 25일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SMICU) 사업수행기관인 서울대병원이 지역응급의료기관급 15개 응급의료기관과 ‘중증응급환자 병원 간 이송 협약’을 맺어 총 39개 의료기관이 참여, 기존 15개구에서 25개 자치구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4월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급 24개 의료기관과 지역응급의료기관급 15개 응급의료기관과 협약을 맺고 서비스를 시행해 왔다. 

이 서비스는 중증응급환자 이송이 필요한 병원에서 서울대병원 중증응급환자이송센터에 서비스를 요청하면, 중증응급환자 전용 특수구급차와 의료진이 서울시 어느 병원이든 24시간 출동하는 방식이다. 이용 환자는 이송처치료만 부담하면 된다. 

서울시는 2015년 전국 최초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를 실시해 올 1~7월까지 중증응급환자 351명을 안전하게 이송, 위급한 시민의 생존율을 높이는 성과를 거뒀다. 

서울시는 앞으로 이 서비스가 전 지역으로 확대되면 그동안 일부 지역에서 중증응급환자 이송 중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기 어려웠던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