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35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지중해 문명지역 문화 예술 산책 ( 2 )

철학이 법정에서 사형 언도를 받았다



법은 정의로운가? 


49- 1.jpg


소크라테스의 죽음(La Mort de Socrate, par Jacques-Louis David 1748-빠리 1825-브럿셀) 

1.3m X 1.96 m 유화 1787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




18세기에 들어와 바로크와 로코코에 대한 반발로 신고전주의가 일어 난다. 혁명이다.


18세기 폼페이와 헤라쿨라놈의 고대 유적 발굴로 그리스, 로마의 고전을 동경하여 대리석처럼 냉정하고 이지적인 고대 예술을 따르고 모방하는 시절이 왔다. 고전의 모델을 따르면서 예술가의 개성은 희생시켜야 한다. 


다비드는 고대 그리스를 주제로 그림을 그리는 신 고전주의 화가로 1774년 로마의 대상을 받아 이태리를 방문하고 폼페이 유적을 방문하고 박물관들을 방문하여 대가들의 작품을 복사하여 고전주의 작품의 배경 장식을 가져왔다. 

그는 이태리에서 가져온 스케치를 바탕으로 1784년에는 오라스의 맹세를 그렸으며 영웅적이고 서사적이고 고귀한 주제를 가지고 대작을 그려나갔다. (그림)


49- 2.jpg



이 작품의 흐름의 연속선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1787"을 그렸다. 


그 후작으로 "아들의 시신을 가져오는 관리들1789"(그림)을 그려 나간다. 



49- 3.jpg




프랑스 혁명기를 살았던 다비드는 혁명의 와중에 잠시 공포정치의 주동자 로베스 삐에르 편에 섰다가 감옥에서 죽음을 기다리던 시절도 있었다. 운명이 허락해서 혁명의 소용돌이에서 살아 남은 후 자신의 예술의 길을 지키지 못하고 천재는 정치 권력에 불려 다닐 수 밖에 없었다.



49- 4.jpg


다비드의 자화상

1794년 교도소에서 수감중 유화 81 x 64cm 루브르 박물관



나폴레옹의 대관식을 통하여 모든 권력의 중심이었던 교회가 세속 권력의 둘러리 서는 광경을 화폭에 옮겼다. 


그로(Gros), 지로데 트리오종(Girodet-Trioson), 제라르(Gérard), 엥그르(Ingres)의 스승으로 전 유럽에 그의 예술적 영향력은 지대하였다. 


작품은 기원전 399년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자기의 제자들에게 마지막 작별(l'adieu)을 고하는 장면이다. 소크라테스의 재판 기록은 역사가들이 간직한 가장 오래된 커다란 재판 기록이다. 그 재판에 대한 기록은 제자 플라톤이나 크세노폰의 텍스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변호는은 국가의 소송(procès de la Cité)으로 아테네 고등법원이 담당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죄목은 그리스가 믿는 신들을 불신하는 것, 새로운 신들을 소개하여 젊은이들을 타락시킨 죄로 인해서 벌어진다. 괴이한 철학 사상으로 젊은이들을 혼란과 부패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형에 대한 선고는 사형이다. 나이 70세에 부당한 판결을 피하지 않고 형의 집행을 앞두고 오히려 자신의 소신을 죽음앞에서 펼쳐나간다.  "소신을 꺾고 자신의 가르침을 부인하든지" 아니면 "독배를 마시든지"의 선택이다. 독배를 들고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며 소크라테스는 떠난다 .


"오 인간이여, 가장 현명한 사람은 소크라테스처럼 자신의 지혜가 사실 아무 가치도 없음을 아는 사람이다"라고 법정의 피고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배심원들과 아테네의 지도부를 비난하고 있다. 



49- 5.jpg



그는 델프의 아폴로 신전 현판에 새겨진 "너 자신을 알라 그리하며 너는 신들과 우주를 알게될 것이다"라는 말로 그는 자기 친구들에게 자신의 운명에 대하여 염려하지 말라고 안심시킨다. 그는 영혼의 불멸을 믿는다. 그에게 죽음은 꿈이 없는 잠이다. 아니면 정의가 지배하는 장소로 떠나는 여행이다. 착한 자에게 나쁜 일은 결코 오지 않으리라는 확신이 있었다.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테오  bonjourbible@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updatefile 편집부 2024.06.02 5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5
39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프로방스 깊숙히 시간이 정지된 아름다운 흔적들 file 편집부 2018.08.12 1097
397 아멘선교교회 칼럼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줄을 우리가 아느니라 편집부 2020.01.27 1096
396 아멘선교교회 칼럼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1. 범죄로 인한 병 편집부 2019.04.08 1096
395 아멘선교교회 칼럼 그리스도인의 생활 - 교회에서 편집부 2019.03.04 1096
394 아멘선교교회 칼럼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편집부 2019.07.08 1095
393 유로저널 와인칼럼 임주희의 살롱 뒤 뱅 #12 악마의 와인, 샴페인 file 편집부 2018.12.16 1095
39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한 사람 이야기, 예수 이야기 (11) file 편집부 2018.02.12 1095
391 최지혜 예술칼럼 요즘 핫한 예술가는?(2) –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2) 편집부 2021.02.22 1094
390 아멘선교교회 칼럼 유로저널 1170호 아멘선교회 칼럼 file 편집부 2019.02.20 1094
389 아멘선교교회 칼럼 사람이 물과 성령 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편집부 2020.02.03 1093
388 제임스강의 행복나침반 34. 복을 주시는 사랑의 본체 편집부 2018.11.05 1093
387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40_2) - 와인의 품질(qualité)과 등급체계에 관한 생각들 (2) file 편집부 2020.10.20 1091
38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인생 순례의 길은 계속되어야 한다 (2) file 편집부 2020.09.15 1090
385 최지혜 예술칼럼 차이와 반복, 그리고 관계 file 편집부 2020.11.02 1089
384 박심원의 사회칼럼 사람이 희망의 메시지다 편집부 2017.09.25 1089
383 하재성의 시사 칼럼 사실과 주장(7) file 편집부 2019.02.25 1088
382 최지혜 예술칼럼 “색이 나로 인해 자연의 논리로써 캔버스 위에 펼쳐지기를 원한다” file 편집부 2020.05.04 1087
381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금운경 건강칼럼] 복부비만 편집부 2017.10.22 1080
380 박심원의 사회칼럼 아름다움이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다 eknews03 2017.08.21 1079
379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20): 레옹(Leon) file 편집부 2018.08.27 1078
Board Pagination ‹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