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SNS 영향력 커가지만, SNS 정보 ‘신뢰도’는 흔들리는 중 ***

by eknews posted Nov 30,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SNS 영향력 커가지만, SNS 정보 ‘신뢰도’는 흔들리는 중

갈수록 SNS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SNS에서 공유되는 정보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용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과 SNS를 사용하는 전국 만 19세~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SNS 신뢰성’과 관련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10명 중 4명(39.3%)만이 SNS의 정보를 신뢰하는 편(매우 신뢰 1.7%, 신뢰하는 편 37.6%)이라고 응답해, 2014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SNS 정보를 신뢰하는 사람들이 더욱 줄어든 것(14년 41.4%→16년 39.3%)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68-사회 3 사진 1.jpg

특히,응답장의 전체 24.1%는 아예 SNS 정보를 신뢰하지 않는다(전혀 신뢰하지 않음 3.2%, 신뢰하지 않는 편 20.9%)는 단정적인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SNS 정보를 신뢰하는 편이라는 의견은 고연령층(20대 28.4%, 30대 37.2%, 40대 46%, 50대 45.6%)에게서, SNS 정보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젊은 세대(20대 32.4%, 30대 28.8%, 40대 17.2%, 50대 18%)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은 특징을 보여, SNS를 바라보는 세대간 시각차이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평소 SNS의 사용이 많은 젊은 세대가 SNS상의 정보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1068-사회 3 사진 2.jpg 1068-사회 3 사진 2.jpg
 
10명 중 7명 '유언비어 유출 등으로 악용 소지'

SNS에서 전달된 정보는 대부분 사실인 경우가 많다는 의견이 단 21.3%에 그칠 만큼 SNS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도는 낮은 편이었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SNS상의 정보가 대체로 사실이라는 데 별로 동의하지 못하는 모습(20대 12.8%, 30대 15.2%, 40대 25.2%, 50대 32%)을 매우 분명하게 드러냈다. 

절반 가량(50.4%)은 SNS는 최초의 정보제공자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그 신뢰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가지고 있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정보가 빠르게 전달되지만, 정작 그 진위여부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정보 생산자가 누구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보니, SNS에 대한 기본적인 ‘불신’을 가진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2014년에 비해서 소폭 증가(14년 46.3%→16년 50.4%)한 결과이기도 하다. 전체 10명 중 7명(71.9%)이 SNS는 유언비어 유출 등을 통해 악용될 소지가 많다고 바라보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실제 최근 SNS를 통해 유언비어를 많이 접하게 된다는 SNS 이용자도 절반 이상(53.7%)에 달했다. 특히 SNS를 많이 사용하는 젊은 층일수록 최근 SNS를 통해 유언비어를 접해본 경험이 훨씬 많은(20대 64.8%, 30대 54%, 40대 48.8%, 50대 47.2%) 특징이 뚜렷했다.

1068-사회 3 사진 3.jpg
 
 
지인이 보내는 SNS 정보도 절반이하가 못믿어

SNS 정보에 대한 불신은 설령 지인이 보내 온 정보라고 해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인이 보내는 SNS 정보는 믿을 수 있다고 응답한 이용자가 42.5%에 불과했으며, 나와 정보를 많이 공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느낀다는 응답(49.3%)도 절반에 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다만 전체 10명 중 6명(58%)은 SNS에 믿지 못할 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판단력을 믿는다면서, 스스로 정보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SNS에서의 거짓된 정보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의견에는 절반 이상(52.9%)이 공감을 하였는데, 연령별로 상당한 인식 차이(20대 38%, 30대 49.2%, 40대 62.4%, 50대 62%)를 보이고 있었다. 

아무래도 SNS를 자주 이용하는 젊은 층의 경우 정보의 빠른 확산 속에 진실이 왜곡되는 현상을 종종 접하였기 때문에, 거짓된 정보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의견에 쉽게 동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1068-사회 3 사진 4.png


 
SNS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 줄어들어
 
 
평소 SNS상의 정보들을 ‘리트윗’이나, ‘전달’ 기능을 통해서 지인이나,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SNS 이용자도 그리 많다고는 볼 수 없었다. 전체 10명 중 3명(31.6%)만이 SNS에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공유하지 않는 편이라는 이용자(37.3%)보다 적은 수준이었다. 

2014년 조사에 비해서 SNS상의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줄어든(14년 36.5%→16년 31.6%)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남성(27.8%)보다는 여성(35.4%), 그리고 중/장년층(20대 27.2%, 30대 24.4%, 40대 31.6%, 50대 43.2%)이 SNS에서 얻은 정보를 많이 공유하는 편이었다. 



1068-사회 3 사진 5.png

SNS상의 정보를 공유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사람들에게 관련 정보를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63.3%, 중복응답) 때문이었다. 또한 타인과의 대화를 할 때 관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소재가 되는 경우가 많고(49.4%), 그 내용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싶어서(40.2%) SNS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그밖에 다른 사람들이 그 뉴스나, 정보에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고 싶고(32.9%), 최신뉴스나 정보를 공유하면 더 많은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어서(30.4%) 정보를 공유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SNS는 사람들 의견을 모을 수 있는 좋은 도구

SNS 정보의 낮은 신뢰도와 관계 없이 SNS는 앞으로도 중요한 소통의 도구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SNS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평가 결과, 전체 10명 중 7명(70.3%)이 향후 SNS 이용자가 좀 더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2014년 조사(71.7%)와 별 차이 없이 SNS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라는 예상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66%)보다는 여성(74.6%), 그리고 중/장년층(20대 62.8%, 30대 68.4%, 40대 75.2%, 50대 74.8%)이 SNS의 이용 증가를 보다 많이 전망했다. SNS의 순기능에 공감하는 목소리도 많은 편이었다. 

전체 63.3%가 SNS를 사람들의 의견이나 목소리를 모을 수 있는 좋은 도구라고 바라본 것으로, 비동의 의견은 단 4.8%에 그쳤다. 또한 세상을 바꿔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의견(49.1%)이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의견(8.3%)보다 훨씬 많았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20대 37.6%, 30대 44.8%, 40대 58.4%, 50대 55.6%) SNS가 세상을 바꿔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더 많이 내비쳤다. 물론 SNS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SNS는 부정적인 요소보다 긍정적인 역할이 더 많다는데 전체 27.9%만이 동의한 것으로, 특히 2014년 같은 조사에 비해 SNS의 긍정적인 역할에 주목하는 시각이 더욱 줄어들었다(14년 37.5%→16년 27.9%)는 점에서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1068-사회 3 사진 6.png

하지만 SNS의 긍정적인 역할이 더 많다는 시각이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의견(14.9%)보다는 우세하고, 잘 모르겠다는 의견(57.2%)이 상당히 많다는 점에서 SNS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시킬 여지는 충분히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SNS가 부정적인 요소보다 긍정적인 역할이 더 많다는 의견 역시 고연령층(20대 17.6%, 30대 22.8%, 40대 34.4%, 50대 36.8%)에서 보다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전체 10명 중 6명(61.4%)은 SNS에도 어느 정도 제재나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공감하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한국 유로저널 이상협 IT전문 기자
     eurojournal07@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