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韓 기업가정신 수준, OECD 34개 회원국중 하위권

by eknews posted Feb 14,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韓 기업가정신 수준, OECD 34개 회원국중 하위권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수준은 137개국 중 27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을 기준으로 23위로 중하위권 수준에 머물렀다.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가 발표한 2017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37개국 중 27위로, 경제규모가 우리보다 작은 칠레, 에스토니아보다 뒤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중국 등은 순위가 상향된 반면 우리나라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점은 해당 중요 지표들에서 강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경제연구원 박현성 한경연 연구원은 “2016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규모(GDP)는 1조 4,044억으로 세계 11위를 기록한데 반해 상대적으로 기업가정신은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경제규모가 43위인 칠레의 경우 기업가정신지수 순위는 18위로 우리보다 아홉 계단 높았다. 또 우리보다 상위에 랭크된 에스토니아(23위)의 경제규모는 102위, 슬로베니아(26위)는 82위였다.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수준은 2015년 130개국 중 28위(상위 22%)에서  2016년 132개국 중 27위(상위 20%)로 한 계단 상승했으나, 2017년에는137개국 중 27위(상위 20%)로 비슷한 수준으로 장기간 정체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기업가정신 순위는 2015년에는 한국에 비해 다섯 계단 아래, 2016년에는 세 계단 아래였지만, 2017년 한국을 두 계단 앞섰다. 일본과 한국을 비교한 결과 일본은 14개의 평가항목 중 △기회인식, △신사업역량, △위험용인, △인적망형성, △모험자본을 제외한 나머지 9개 항목에서 한국을 앞섰다. 

또 지난해보다 12계단 상승해 48위를 기록한 중국은 세부항목에서 우리나라를 빠르게 쫓아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을 위한 ‘모험자본’ 항목 지수는 0.89로 한국 0.77보다 높았고, 향후 5년 내 50%이상의 성장을 계획하는 기업 비율인 ‘고도성장’항목도 한국보다 1.6배 높게 나타났다. 

중국은 리커창 총리의‘대중창업, 만중혁신(大衆創業, 萬衆創新)’를 기치로 기업가정신 제고를 위해 정부가 각종 규제개혁과 기술기반 창업지원에 나서고 있다. 

한편 전체 16위에 랭크돼 아시아 지역에서 기업가정신수준이 가장 높은 대만은 14개 항목 중 11개 항목에서 한국을 앞섰다. 

특히 대만은‘고도성장’지표가 1점으로 한국 0.38점보다 크게 높았고, △문화적 지원(대만 0.60점, 한국 0.33점), △기회인식(대만 0.56점, 한국 0.29점) 항목도 높아, 해당 항목의 상위 지표인 태도적 측면이 한국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만은 높은 실업률과 제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창업과 기업가정신 육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헤드스타트 타이완’, ‘아시아실리콘밸리’등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 유로저널 안규선 기자
   eurojournal12@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