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고학력자가 취업에 유리하다

by eknews10 posted Apr 25,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프랑스, 고학력자가 취업에 유리하다


프랑스에서 대학 학위를 사람이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쉬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 졸업장이 고용을 위한 단단한 발판이 되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 시사주간지 렉스프레서LExpress 의하면 대학졸업생 82% 졸업 1 후에 일자리를 구한다. 2015 대학과정을 마친 학사Bac+3 이상의 학위를 받은 10 8명은 졸업 12개월 후면 고용이 됐으며 취업조건도 대부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관리직고용정보협회Apec조사를 보면 대학졸업생 대부분은 졸업 다음해까지 자신의 전공분야에 적합한 직장을 얻고 이들 93%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 Apec 연구 책임자 피에르 람블린은 이번 조사를 통해 채용현황의 새로운 신뢰감을 회복하게 해주는 고무적 결과가 있다고 평했다.


대학졸업장은 신속하게 노동시장으로 나가는 지름길일 아니라 장기 채용직에도 유리함을 증명한다고 피에르 람블린은 강조했다. 석사학위자Bac+5 절반은 졸업 1 관리직(53%) 되었으며 이들 55% 정규직으로 근무한다.


diplome.jpg



하지만 석박사 학위가 있다 하더라도 전공분야에 따라 차이가 난다. 과학기술, 경제경영, 사회과학 전공자들의 취업률은 80% 넘어서지만 순수과학은 68%, 문학, 언어, 예술은 77% 감소한다.


반면 학사학위생Bac+3/+4 고용형태는 조금은 다르다. 이들 9%만이 관리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45% 정규직이다. 특히 평균임금은 석박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들 절반은 총임금 21600유로 이상, 석박사 졸업생의 절반은 28000유로 이상을 받고 있다.


2017 Apec 평가는 석박사 졸업생의 상세한 구직과정과 직업만족도 취업현황에 초점을 모으고 있다. 이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구직요령은 구인란을 통한 지원이다. 32% 이러한 방법으로 취업을 했으며 인터넷에 이력서를 올리거나(15%) 자발적 지원(14%) 그리고 개인 인맥을 통한 구직(15%) 등도 주요 방법이다.


한편 취업을 위해 비정규직이나 저임금 그리고 장거리 직장을 선택하는 취약한 고용형태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직장만족도는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전반적 만족도는 평균 7/10으로 취업 적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박사 졸업자 24%, 학사졸업자 33% 생계유지를 위해 취업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료와의 관계, 자율성을 직장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꼽았으며 임금문제와 회사의 미래전망에 대한 기대치는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진출처 : 렉스프레스>


프랑스 유로저널 전은정 기자

 Eurojournal18@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