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3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독일 등 유럽 지역, 새들 점점 사라져


 
독일을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새들의 수가 극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적절한 서식지가 부족하고, 주요 먹이인 벌레들의 수가 줄어드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점점 더 듣기 힘들어 질 것이라고 경고가 나왔다.
독일 언론 <Spiegel>지는 녹색당 주도의 최근 조사 결과를 인용하여, 독일에서 서식하는 새들의 수가 극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독일에서 1990년 이래로 2013년까지 푸른도요새의 수는 80%나  감소했고, 딱새는 63%, 흑꼬리도요새는 61%, 그리고 들종달새는 35%가 줄어들었다. 꿩의 일종인 자고새도 1990이래로 15년사이 그 수가 약 84% 감소했다. 독일에서 발견되는 조류의 수가 1990년 이래로 무려 3분의 1이상 극적으로 줄어든 셈이다.

1088-독일 1 사진.jpg

정부는 그 주요 원인을 ‘알맞은 조류 서식지가 부족’한 것으로 꼽았다. 또한 ‘제초제와 방충제의 사용으로 인한 벌레수의 감소’ 역시 중대한 원인에 속한다고 보고있다. 

녹색당 의원 슈테피 렘케(Steffi Lemke)는 새들의 수가 감소하는 현제의 실정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며 곧 봄철 새들의 지저귐을 듣기가 어려워 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그는 지나친  제초제 및 방충제의 사용과 상업적 농업 단일재배 형태에 대해서 방관하고 있다며 현 정부를 질책하고 나섰다. 

독일 환경보호연합(NABU, Naturschutzverbund) 역시 지난 겨울에도 독일에서 파악된 조류의 수가 또다시 약 17% 감소하였다고  보고했다. 무엇보다도 해마다 북, 동유럽에서 먹잇감을 찾아 독일로 날아오는 박새, 동고비 등의 철새가 가장 두드러지게 감소했다고 전하고 있다. 독일 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새끼를 기르는 부모 새들의 수가 1980년부터 2010년까지 무려 3억만마리가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사진 출처: Imago>
독일 유로저널 임영란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95 독일 어린이들의 삶, 비교적 좋아 file eknews21 2017.06.19 1529
8394 독일 물가, 다시 하락 file eknews21 2017.06.19 1783
8393 독일, 삶의 만족도와 정치인 신뢰도는 대체로 만족해 file eknews 2017.06.12 2672
8392 독일, 6월부터 바뀌는 각종 정책 file eknews 2017.06.12 1575
8391 메르켈 총리, 난민위기 전 인기 다시 찾아 file eknews21 2017.06.12 1661
8390 독일 경제, 브렉시트 극복할만 해 file eknews21 2017.06.12 1628
8389 독일, 의료공보험 비축금 165억 유로로 증가해 file eknews21 2017.06.12 1941
8388 OECD가 바라본 독일경제 전망, 독일 정부보다 더 긍정적 (1면 기사) file eknews21 2017.06.12 1552
8387 독일인 다수, 일요일 상점 오픈 원해 file eknews21 2017.06.12 1974
8386 독일 난민청, 직업교육 받지 않은 직원들이 송환 여부 결정해 논란 file eknews 2017.06.05 1476
8385 독일 정부, "무슬림 이주민은 독일에게 기회다" file eknews 2017.06.05 2530
8384 두명중 한명의 독일인, 특별히 부유하다고 느껴 file eknews21 2017.05.30 2167
8383 독일, 20년간 중간 소득층 실제임금 상승 0% file eknews21 2017.05.30 1719
8382 종이컵 반대 캠페인에 뮌헨시가 직접 나서 file eknews21 2017.05.30 2036
8381 독일 소비 분위기, 놀랍게 다시 회복 file eknews21 2017.05.29 1730
8380 독일 적금자들, 유럽 저금리책으로 3440억 유로 놓쳐 file eknews21 2017.05.29 2183
8379 독일, 빈곤층 어린이, 미성년자 계속해서 증가 file eknews 2017.05.22 1758
8378 4연임에 한 걸음 더 다가간 메르켈 총리 file eknews 2017.05.22 1556
8377 독일, 만 3세 이하 영유아 보육시설 부족 심각해(!면) file eknews21 2017.05.22 2040
8376 독일 집세, 제동법에도 불구하고 1년간 5% 상승 file eknews21 2017.05.22 1732
Board Pagination ‹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490 Next ›
/ 49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