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7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지중해 문명지역 문화 예술 산책 8
예수의 족보에 나오는 여인들 이야기 (2)





룻과 보아스의 만남


여인들은 젊은 남자보다 늙은 보아스를 바라보았다.
젊은이는 아름답지만 노인은 위대하다.
젊은이들의 눈에는 불꽃이 보이지만
노인의 눈에는 빛이 보이기 때문이다.
밤이면 보아즈는 자기 사람들과 잠든다. 
보아즈의 꿈에 떡갈나무가 자기 배에서 나와 파란 하늘까지 올라간다.
나이 팔십이 넘었고 아들도 없고 더구나 아내도 없는데 이상한 일이다.
노인이 잠든 사이 모압 여인 
룻이 보아스의 발치에 가슴을 열고 누웠다.
보아스는 여인이 그곳에 있는 줄 몰랐다.
룻은 하늘이 자기에게 무엇을 원하는 줄 몰랐다.
룻은 생각에 잠겨 있고 보아스는 잠들어 있다.
사자들이 물 마시러 가는 조용한 시간이다. 
별들이 밤이 깊고 어두운 하늘에 빛나고 있었다.
천으로 가려진 눈을 반쯤 열며 움직이지 않고 누워있는 룻..
영원한 여름의 추수꾼인가, 이 주인께서 가시면서
무심하게 별들이 빛나는 밤하늘에 황금 낫을 던졌다. 

-잠든 보아즈-빅톨 위고의 세기의 전설 중 - 
 

작품은 바질이 성경과 위고의 시집에서 영감을 얻어 왔다. 
처음으로 화가는 옛 이야기 중에서 밤에 일어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꺄바넬이나 베흐네의 동양으로부터의 영감이 아닌 보편성과 시간의 초월을 그리는 쀼비 드 샤반느의 영향을 볼 수가 있다.
두 인물간의 직접적인 소통은 보이지 않지만 자연이 매개가 되어 자연속에 두 인간의 내밀한 호흡을 들을 수가 있다. 

룻의 시선이 초생달을 바라보고 있다. 하늘의 처분을 기다리고 바라고 있다. 이 밤의 장면에서 유일하게 내려오는 빛은 밤하늘의 파란 빛이다. 화가의 삶의 마지막 해에 그려진 유언적인 시선이 담긴 그림이다. 

수 천년 이어지는 전통의 이삭줍기는 농사지을 땅도 없는 가난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성서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배려를 말씀 책에 기록으로 남겨 놓았다. 

신명기에 이르기를 “네가 추수할 때에 밭 모퉁이까지 다 거두지 말고 그 한 단을 밭에 잊어 버렸거든 다시 가서 가져오지 말고 떨어진 이삭도 줍지말고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어라”
‘네가 올리브 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살피지 말고 남은 것은 객과 과부와 고아를위하여 남겨두라”
“네가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

노르망디 지방 셰르부르(Cherbourg) 인근의 한 작은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밀레는 노르망디 지방 부자들의 초상화를 그리면서 화가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셰르부르에 있는 또마 앙리 박물관에 가면 당시 그렸던 초상화들을 볼 수 있다. 21세에 땅을 포기하고 회화에 입문한다. 초상화로 데뷔하지만 고객들의 기호에 맞추지 못해 일찍 포기한다. 그리고는 18세기 취향인 신화적 영감을 그리며 때로는 관능적인 누드를 그리기도 한다. 

자신의 출신대로 농민을 그리면서 1848년부터는 농민 화가로 불린다. 1849년 파리에 콜레라가 돌자 그는 바르비종으로 내려온다. “이삭 줍는 여인들”은 가난한 농촌의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표현은 전혀 거칠거나 반항적이지 않다. 



화면 전경에 묘사된 세 여인은 땅에 떨어진 낟알을 줍고 있다. 세 여인 뒤로는 한창 수확을 하고 있는 일군의 농부들이 보인다. 

먼지가 뿌연 들판에서 농민들이 수확을 하며 짚단을 묶고 쌓는 이 장면은 그림의 배경 속에 가려져 있고, 멀리 오른쪽 끝에는 추수와 이삭줍기를 감독하는 말을 탄 인물이 보인다. 그 앞에는 베어 낸 단을 마차에 싣고 있다. 
열기를 뿜고 있는 하늘에는 새들이 버려진 알곡을 먹기 위해 떼 지어 날고 있는 모양이 검은 점들로 묻어나고 있다. 이삭을 줍는 세 명의 여인과 하늘의 새들 사이에 모종의 관계가 느껴지기도 한다.
 
여인들은 마치 부조처럼 배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윤곽은 두텁고 흐릿해 전혀 표정을 읽을 수가 없다. 천천히 그리고 묵묵히 한 알 한 알 이삭을 줍고 있을 뿐이다. 열심히 작업 중인 여인들은 익명의 여인들로서, 얼굴마저 가려져 있다. 

여인들의 움직임을 강하게 대비시키는 것으로 내리 쪼이는 강렬한 햇빛이 있다. 마치 한 여인이 연속적으로 작업하고 있는 모습이 화면에 비치고 있는 듯하다. 보는 이로 하여금 여인들의 허리 통증이 느껴지고, 밀짚으로 인해 살갗이 벗겨진 손가락, 햇볕에 그을린 얼굴과 손이 보인다. 

세 여인에게서는 짐짓 고귀함마저 느껴진다.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밀레에게서 어떻게 해서든 노동자들의 열악한 조건과 자본가에 대한 반항을 읽으려고 했다. 
그러나 정작 밀레에게 농민과 농촌을 그리는 것은 자기 출신에 대한 자부심에 기인한다. “나는 수사학적인 언어의 거짓보다 거친 언어의 진실을 사랑한다”고 했고, “나는 촌의 농부 중에 농부다”라고도 말했다. 
들라크르와는  “밀레는 농부이며 자신이 농부라는 것을 자랑하고 있다”고 말한다. 발자끄의 작품 《농민들》에 그려진 삽화를 보더라도 19세기 당시 사람들의 생각으로는 농부는 멍청함과 성질이 못된 것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도미에가 본 농촌 사람들은 사람보다는 차라리 짐승을 닮았다. 그러나 밀레는 그때까지 종교적 주제에 머물렀던 자신의 예술적 구도에 농촌의 작업들을 겹쳐 놓는다. 

당시 좌 우파의 논쟁에서 밀레는 이렇게 말했다. “예술에서 나를 감동시키는 것은, 보다 사회주의적이라고 불릴 위험에도 불구하고 인간적인 면이다. 나는 결코 누구를 위한 변명이나 옹호를 할 생각은 없다. 그냥 〈창세기〉 3장 19절의 ‘네 얼굴에 땀이 흘러야 식물을 먹고 필경은 흙으로 돌아가리니’라는 성경 구절에 충실하게, 땅의 노동에 바쳐진 인간에게 감동 받는다”라고 고백하였다. 

1857년 쌀롱전에 출품된 이 작품을 두고 우파에서는 이 세 명의 여인들을 혁명의 허수아비라고 몰아붙였고, 좌파에서는 제도의 희생자들이라고 비난했다. 

Jean-François_MilletThe_Gleaners.jpg

장 프랑스와 밀레(Jean François Millet, 1814~1875)
이삭 줍는 여인들(Les Glaneuses) 1857년, 캔버스에 유화, 85.3c×111cm, 오르쎄 박물관


밀레의 <이삭줍기>는 “항구적 빈곤의 파르카”(탄생 Clotho, 수명 Lachesis, 죽음 Altropos을 일컫는 세 명의 여신) 또는 “누더기를 걸친 허수아비”로 평가되며 스캔들을 일으켰다. 
당시 이삭 줍는 여인들은 민감한 사회문제였다. 당대의 문인 발자끄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허용된 이 권리의 남용을 비난하며 그 권리를 없애야 한다고 했고, 또 다른 사람들은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판단했다. 1848년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주의 선언 이후, 사회주의 계급의식이 미술에도 침입한 양상을 보여 준다. 

이 작품은 마태가 적은 복음서의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천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 하냐”를 연상시킨다. 

1857년 쌀롱전에 출품된 이 작품을 두고 우파에서는 이 세 명의 여인들을 혁명의 허수아비라고 몰아붙였고, 좌파에서는 제도의 희생자들이라고 비난했다. 
밀레의〈이삭줍기〉는 “항구적 빈곤의 파르카”(탄생 Clotho, 수명 Lachesis, 죽음 Altropos을 일컫는 세 명의 여신) 또는 “누더기를 걸친 허수아비”로 평가되며 스캔들을 일으켰다. 

밀레는 그 자신과 동료 화가들이 밝혔듯 정치적이기보다 종교적인 화가였고, 그가 나타내려 한 것은 농민의 노동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 자연에 대한 서정이었으니까. 그러나 동시에 그는 현실도피나 감상주의에 빠지는 화가가 아니어서, 그가 직접 체험한 농민의 고된 현실을 정확히 포착했다. 그 온화한 화면에 깃든 한 줄기 예리함이, 19세기 중반 사회 갈등이 폭발하던 프랑스에서, 보수적 평론가들을 불편하게 하고 빈부격차 문제를 제기하던 사회 운동가들을 열광하게 했던 것이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테오  
Email: bonjourbible@gmail.com
 홈페이지: www.emofrance.paris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1076 박심원의 사회칼럼 지혜로운 말의 힘 편집부 2017.10.04 1304
1075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예술과 문화가 꽃피운 땅을 찾아가는 여정 - 지중해 문명 지역 문화 예술 산책 (2) file eknews03 2017.10.09 1479
1074 오지혜의 ARTNOW 이스트런던의 대표갤러리 The Approach (2) file eknews03 2017.10.09 1461
1073 최지혜 예술칼럼 유로저널 137 – 그녀는 진짜다 (Anne Imhof1) file eknews03 2017.10.09 1578
1072 영국 이민과 생활 한국국적 상실신고와 거소증신청 eknews03 2017.10.10 5987
1071 박심원의 사회칼럼 외모지상주의 편집부 2017.10.11 1431
107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예술과 문화가 꽃피운 땅을 찾아가는 여정 - 지중해 문명 지역 문화 예술 산책 (3) file 편집부 2017.10.16 1600
1069 최지혜 예술칼럼 퍼포먼스는 내 삶이다 (Anne Imhof 2) file 편집부 2017.10.16 3652
1068 김재완의 IT 융합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 file 편집부 2017.10.16 2529
1067 박심원의 사회칼럼 반복되는 일탈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편집부 2017.10.16 1392
1066 오지혜의 ARTNOW 올해로 50주년을 맞은 Lisson Gallery(1) file 편집부 2017.10.16 2180
1065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금운경 건강칼럼] 치매를 예방하려면 편집부 2017.10.22 1113
1064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금운경 건강칼럼] 복부비만 편집부 2017.10.22 1080
1063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금운경 건강칼럼] “저체온증”, 영양 결핍이나 술을 마셔도 유발 가능 편집부 2017.10.22 1273
1062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컴퓨터와 스마트 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증후군과 시신경의 약화를 예방하려면 file 편집부 2017.10.23 2006
1061 최지혜 예술칼럼 깨지는 경계선, 만들어지는 자화상 (Anne Imhof 3) file 편집부 2017.10.23 1460
1060 영국 이민과 생활 올여름 한국신청자 데이터 분실사태와 요즘 비자심사 편집부 2017.10.23 1514
1059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예술과 문화가 꽃피운 땅을 찾아가는 여정 - 지중해 문명 지역 문화 예술 산책 (4) file 편집부 2017.10.23 1405
1058 김재완의 IT 융합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 IT업체들의 외도 file eurojournal_editor 2017.10.23 1691
1057 박심원의 사회칼럼 가치있는 생각 편집부 2017.10.23 1471
Board Pagination ‹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