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6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도이체 포스트,  친환경 로지스틱 선두주자  등극 전망



독일 우편국 도이체 포스트가 친환경 전기 운송차량의 도입으로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이체 포스트는 나아가 전기 운송차량 생산으로 친환경 로지스틱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막대한 수의 자체 로지스틱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도이체 포스트는 그동안 오래된 디젤 엔진 차량을 운행함으로써 공기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왔다. 공기 오염이 심각한 함부르크, 슈트트가르트, 뮌헨 등의 대도시들은 이미 몇 년 전부터 도이체 포스트에 경고를 해 온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이체 포스트가 최근 전기 차량을 생산하여 도입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도이체 포스트의 전기 차량 사업은 큰 활기를 띄고 있는 듯 하다.


독일 IT 전문 언론 Heise Online은 도이체 포스트가 도입한 전기 차량, 이른바 스트리트 스쿠터 'Streetscooter'가 소비전력이 38kW에서 최대 48kW 이며 약 80k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실용적이면서도 친환경적 운송수단이라고 보도했다. 스트리트 스쿠터는 아헨 대학 RWTH에서 개발되었고, 적재 공간에 따라 Work S, M, L XL  등의 모델로 나뉜다. 도이체 포스트 DHL 그룹이 2010년 스트리트 스쿠터사를 설립하여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2017년 말까지 5천여대가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streetscooter.jpeg


도이체 포스트는 지난 4월 전자 자전거인 Work S와 전자 세발자전거 Work M 모델을 타기업에도 판매하겠다고 공지했으며 앞으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임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우편,소포와 전자상거래 부분 대표이자 전기차량 생산측 대표자 유르겐 게르데스(Jürgen Gerdes)는 "올해 안으로 스트리스 스쿠터의 생산 공장을 한 군데 더 설립하여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올해까지 총 2만여대의 전기 운송차량이 생산될 예정으로 도이체 포스트의 사업은 큰 활기를 띄고 있는 모습이다.

 

도이체 포스트는 전세계적으로 약 9만2천여대의 자체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정도인 4만 7천여대가 독일 내에서는 운행되고 있다. 작년 7월 보쿰Bochum에서 처음으로 65개의 전기 운송차량이 도입되었고, 2016년 말까지는 166여 대가 전국적으로 운행, 현재까지 총 약 3천여 대가 운행중이다.  그 외에도 만 오백여대의 전자 자전거와 전자 페달 세발 자전거인 큐비클 Cubicles도 도이체 포스트의 환경보호 정책에 적극 동원되고 있다. 


유르겐 게르데스는 "2025년까지 총 70%까지 도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줄이겠다"고 말했으며, 또한 "전기 운송차량을 자체 수요를 위해 생산할 뿐만 아니라 타기업에도 조달함으로써 친환경 로지스틱 기업의 선두주자가 되고자 한다." 고 밝혔다.  한편, 스트리트 스쿠터사는 현재 Ford사와 협력하여 전기 운송트럭을 개발 중에 있다.

 

<사진 출처: Deutsche Post>

 

유로저널 독일 임영란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유로저널광고

  1. 독일, 소비자물가 상승의 주범은 식료품과 집세

    Date2017.08.14 Byeknews21 Views1406
    Read More
  2. 독일인 95%, 친환경 전력시설 확장 원해

    Date2017.08.14 Byeknews21 Views1279
    Read More
  3. 독일, 경제생산력 예상외로 감소

    Date2017.08.14 Byeknews21 Views968
    Read More
  4. 총선 8주 앞둔 독일, 집권당 지지율 굳건해

    Date2017.08.08 Byeknews03 Views1041
    Read More
  5. 독일, 고객 동의없이 텔레마케팅 실시하면 큰 벌금 물어

    Date2017.08.08 Byeknews03 Views1229
    Read More
  6. 동독 근로자들, 더 많이 일하고 더 적게 벌어

    Date2017.08.07 Byeknews21 Views1953
    Read More
  7. 독일, 전체 빈곤층 감소했으나, 이주민 빈곤층 여전히 높아

    Date2017.08.07 Byeknews21 Views1491
    Read More
  8. 독일, 간병비용 개인부담 지역별 차이 커

    Date2017.08.07 Byeknews21 Views1818
    Read More
  9. 상승하는 사회보장보험비, 결국 수만개 일자리 사라질것

    Date2017.08.07 Byeknews21 Views1238
    Read More
  10. 독일 남부지역, 가장 혁신적

    Date2017.08.07 Byeknews21 Views1089
    Read More
  11. 독일 시립 도서관, 전자도서 대여 서비스 실시

    Date2017.07.25 Byeknews03 Views1663
    Read More
  12. 독일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장 순위 발표

    Date2017.07.25 Byeknews03 Views2340
    Read More
  13. 독일, 세곳중 한개 경영체 직업교육자리 공석(1면)

    Date2017.07.24 Byeknews21 Views1122
    Read More
  14. 독일인들의 소비태도, 소유 자동차 평균나이 9.3세

    Date2017.07.24 Byeknews21 Views1514
    Read More
  15. 독일의 내연기관엔진 사용금지, 60만개 일자리 사라질 것

    Date2017.07.24 Byeknews21 Views1611
    Read More
  16. 세금 많이내는 독일 직장인들, 실제 월급은 7월 19일 부터

    Date2017.07.24 Byeknews21 Views2010
    Read More
  17. 독일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 터키와 러시아보다 낮아

    Date2017.07.24 Byeknews21 Views931
    Read More
  18. 독일, 유기농 농산물 재배율 최고치 기록

    Date2017.07.18 Byeknews03 Views1746
    Read More
  19. 2025년 독일 학교, 출생과 이민자 증가로 학생붐 전망(1면)

    Date2017.07.17 Byeknews21 Views1190
    Read More
  20. 독일, 일하는 노인 두배로 증가해

    Date2017.07.17 Byeknews21 Views21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490 Next ›
/ 49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