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3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가을을 데리고 온 새아씨


두어달 전쯤에 새집으로이사를 하고 집앞이 너무 삭막하고 허전한 것 같아서 꽃들을 심고 현관 바로 앞에는 어린 코스모스 모종을 두포기 심었었다. 어느결에 이 둘은(한 아이는 목이 하이얗고 또 한놈은 갖 시집 온 새아씨의 볼처럼 분홍빛을 띈) 서로 경쟁이라도 하는듯 아침마다 그 맵시를 자랑하며 수많은 꽃망울을 터트려 낸다.


코스모스라(Cosmos)는 말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Kosmos에서 유래 되었다고 하며 그 의미는 질서(order) 또는 조화(harmony)라는 뜻이라고 한다. 8개의 코스모스 꽃잎이 질서 있게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 그럴싸 하기도 하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어 가노라면 신이 이 세상을 만들고 아름답게 꾸미고자하여 다른 꽃들을 만들기 전에 제일 먼저 연습 삼아 만들면서 이런색 저런색으로 시험을 하여서 코스모스의 색갈이 다양하다고도 한다. 어쨌거나 그렇게 본다면 결국 코스모스는 모든 꽃의 시도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20세기 초에 일본의 작가 <나쓰메.소세키>(Natsume So'seki)의 소설 "마음"에서 어느 하숙집 딸이 하숙생 중의  한사람을 사랑했는데 그녀는 자신의 사랑하는 마음을 꽃에 담아 매일매일 선생님의 방에 꽂아 두는 것으로 마음을 표현한다. 그때 그 꽃이 코스모스였던 것 같다.  요즈음의 풍경과는 다른 낭만적인 사랑의 고백이다. 한없이 가냘프고 여성스럽지만 해바라기를 닮았는지 늘 한 방향만을 바라보는 꽃 코스모스,  길가를 스치는 산들바람에도 크게 흔들리지만 쉽게 꺾이지 않는 코스모스 그녀의 조심스러운 첫사랑과 많이도 닮아 있지 않은가!

cosmos-1684037_1920.jpg


요즘은 전세계가 기후 온난화 현상으로 계절도 구분하기가 힘들지만 그래도 이 코스모스는 가을 꽃이다.  초가을의 대표적인 꽃 코스모스는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순정, 애정, 조화  등의 꽃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흰색은 소녀의 순정, 빨강색은 소녀의 순애(진심)을 표현한다고 한다. 그리 화려하지도 않으며 소박하면서도 형형색색의 색갈이 딱 소녀스러운 발랄함과 순정을 담고 있는 듯 서로 잘 어울린다.  하늘하늘 가냘픈 소녀의  모습을 닮은 꽃 코스모스는 그 꽃말과도 무척 잘 어울린다.  이 예쁜 코스모스는 1910년 경에 어느 서양 선교사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생물학적으로는 초롱이네 식구(초롱꽃 과)란다.  소녀처럼 가냘프고 새아씨처럼 곱디고운 이 코스모스는 보기와는 달리 그 생명력이 매우 강인하여 사람의 손이 별로 닿지 않아도 저절로 그 씨앗이 흩어져서 잘 태어나고 또 잘 자란다.  거기다가 초록 잎과 줄기, 그리고 꽃잎은 한약의 재료로 사용되어 부스럼이나 충혈 된 눈에 아주 좋은 약효를 나타낸다고 한다. 


역시 예쁜 놈은 예쁜 짓거리만 한다.  이토록 가냘프고 아름다운 코스모스가 인간의 몸에 이로움을 준다니 하는 말이다.   여하튼 코스모스는  지금 이 순간에도 나의 현관 바로 앞에서 그 가냘픈 몸짓으로 가을을 알리며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계절의 문지기 역할도 하고 있다. 아마도 오는 길에 가는 여름이라는 친구와 잠시 인사를나누며 "얘 여름아! 너 이제 가고 있니 나는 지금 가을을 데리고 인간세상으로 가는 길이야"라고 말했으리라. 


필자도 이제 아는체 그만하고 이 기순 선생님의 시와 이 흥렬 님의 곡을 합친 "코스모스를 노래함"을 독자들과 함께 노래하며 현관 앞에 서있는 친구들(코스모스)에게 아침 인사나 하러 가야겠다.

   

달밝은 하늘 밑, 어여쁜 네 얼굴  달나라 처녀가 너의 입 맞추고,

코스모스 너는 가을의 새아씨  외로운 이밤에 나의 친구로다.

밤은 깊어가고 마음은 고요타,  내 마음 더욱 더 적막 하여지니

네 모양도 더욱 더 처량하구나, 오로운 이 밤을 너 같이 새려니 

코스모스 너는 가을의 새 아씨  외로운 이 밤에 나의 친구로다.

이슬에 목욕 해 깨끗한 너의 몸,부드런 바람이 너를 껴안도다.

코스모스 너는 가을의 새 아씨


유로저널 탈럼니스트 김혜성

목사

전 한국 청소년 교육연합회 대표

London College of Technical, Lecturer(Social Work)

Society of Social Worker's East London(Chairman)


유로저널광고

  1. " 고귀한 희생"

  2. "0시 50분"

  3. "5월에 생각해 보는 소통"

  4. "거 듭 남"

  5. "브리마에게라도 배워라"

  6.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April is the Cruellest Month)"

  7. "상실의 시대"

  8. "생활 속의 음악"

  9. "석련화(Stringy Stonecrop) 처럼 견디시길----"

  10. "시민(국민)의 권리(1)"

  11. "시지프스의 바위올리기"

  12. "신 양반론"

  13. "언론은 민주사회의 거울 (2)"

  14. "여왕이 머물고 간 자리"

  15. "진정한 해방을 위한 준비"

  16. "짝패"

  17. "한국 민주주의의 부활"

  18. 7월이면

  19. 가을을 데리고 온 새아씨

  20. 가을을 알리는 들꽃들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Next ›
/ 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